KCI등재
조선 세종대 살인 유형 및 살인범 분석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911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43-201(59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세종은 살인 사건을 직접 검토하고 살인범에 대한 최종 판결을 진행하였다. 세종이 검토한 살인범 관련 기록에는 살인범의 성명이나 살인범과 피해자와의 관계 등 살인 사건의 기본적인 사항이 기재되었을 뿐만 아니라 살인의 동기나 의도, 방법 등을 알 수 있게 구살, 모살 등 살인 행위와 관련된 내용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었다.
세종대의 살인 행위는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살인 행위에 의도성이 있는가 아닌가를 판별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살인을 기재한 경우로, 모살, 고살, 오살, 희살 등이 이에 해당한다. 둘째, 살인의 방법에 따라 살인 행위를 분류하고 기재한 경우로, 구살, 타살, 축살, 독살, 교살, 방화살인, 저주살인 등이 해당된다. 셋째, 살인이 발생하게 된 계기 또는 동기에 의해 살인 행위를 분류한 것으로, 투살과 투구살, 강도 및 절도살인, 질투살인 등이 이에 해당한다. 즉 세종대 살인 사건은 고의성 여부, 살인 방법, 살인의 계기 등 세 가지 기준으로 분류되고 이에 따라 심사되었다. 즉 동일하고 일원적인 기준에 의해 살인 사건을 심사한것이 아니라, 살인 사건에 따라 이를 기재하고 심사하는 기준이 서로 달랐다고 할 수 있다.
세종 재위 32년간 살인 연루자는 모두 562명이다. 이중 살인 내용이 구체적으로 명시된 살인범은 401명인데, 그 가운데 모살범은 125명, 구살과 타살범 110명, 투살과 투구살범 40명 순이었다. 모살은 구체적 내용을 알 수 있는 살인의 약 31.2%, 구살과 타살이 약 27.4%, 투살과 투구살은 약 10% 정도였다.
모살, 고살, 구살, 타살은 살인범과 피해자의 관계 분석이 가능하였다. 모살범 중 남편을 모살한 28명 중 대다수가 내연남이 있었고, 내연남은 모두 내연녀의 남편 모살에 참여하였다. 두 번째로 많은 경우는 노비나 고공인이 주인 또는 주인의 친족을 모살한 경우이다. 세 번째 유형은 가족 또는 친족을 모살한 경우이다. 모살의 경우 상대적으로 약한 존재가 공동으로 모의하여 힘의 열세를 극복하고 계획 살인을 저지른 형태였다. 고살은 주로 친족 관계에서 발생했는데, 모살과 달리 친족 관계에서 힘의 우위에 있는 자가 우월한 힘을 이용하여 살인한 경우가 많았다. 구살과 타살의 경우, 남편이 아내를 구타 살해한 경우가 많았고, 친족 사이에서도 많이 발생하였다. 친족 사이의 구살과 타살은 4촌 이내의 다양한 친족사이에서 발생했는데, 갈등의 주된 요인은 경제 문제였다. 이외에 노비가 주인 또는 주인의 친족을 구타 살해한 경우가 많았다. 즉 구살‧타살은 대부분 가족 또는 친족 사이에서 벌어졌고, 이어 주인과 노비 사이라는 사회적 관계 속에서 벌어졌다.
King Sejong himself used to review the murder case and make the final judgment on the murderer. The records related to the murderer reviewed by Sejong not only contain the basic details of the murder case, such as the name of the murderer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urderer and the victim, but also the detailed information related to murder types, such as Gusal(hit to kill) and Mosal(planned murder), so that the motive, intention, and method of the murder can be known.
King Sejong’s The murder acts in Sejong Age can be roughly classified into 3 types. First, the murder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intentionality such as Mosal(planned murder), Gosal(intentional murder) and Osal(murder by mistake), Heesal(mischievous murder). Second, it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murder such as Gusal(hit to kill), Tasal(beat to kill), Chuksal(kick to kill), Doksal(poison to kill), Gyosal(choke to kill), burn to kill and curse to kill. Third, it was classified according to its motive such as Tusal(killing while fighting), Tugusal(killing by hit while fighting), robbery or theft murder, and jealousy murder. As such, the murders in Sejong Age were classified and examined according to three criteria: intentionality, method of murder, and motive for murder. In other words, the murder cases were not examined according to the same uniform standards, but diverse standards.
A total of 562 murders were examined during the 32 years of King Sejong’s reign. Among them, the cases of 401 murderers were specified in detail, of which 125 were planned murderers; 110 were hit or beat murderers; 40 were murderers while fighting. The murder by plan accounted for approximately 31.2% of the murders for which specific details were available; hit or beat murder accounted for approximately 27.4%; and fight murder and fight-hit murder accounted for approximately 10%.
In cases of planned murder, intentional murder, hit murder, and beat murd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urderer and the victim could be analyzed. Among the 28 planned murderers who killed their husbands, the majority had a secret lover, and all of the secret lovers participated in the murder of their mistress’s husband. The second most cases were the murders where a slave or high-rank official killed the master or the master’s relatives. The third type was to kill a family member or relative. In the case of planned murder, relatively weak persons conspired together to overcome their inferiority and commit the planned murder. The intentional murder mainly occurred in kinship relationships. Unlike the planned murder, the persons of the higher position in the kinship relationship committed the murder using their superior power. In the case of hit and beat murders, husbands used to beat their wives to death, and the murder also often occurred between relatives. Hit and beat murders happened between various relatives within the fourth degree of consanguinity, and the main cause of conflict was economic issues. In addition, there were many cases where slaves beat to kill their masters or master’s relatives. In other words, the majority of hit or beat murders occurred among family members or relatives, and then within the social relationship between masters and slaves.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