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딥페이크 규제의 법적 대응과 정책적 방향 — 미국 사례를 중심으로 한 한국의 개선 방안 모색 — = Regulating Deepfakes — Legal and Policy Frameworks in South Korea with Comparative Insights from the United States —
저자
이지나 (가톨릭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41-269(29쪽)
제공처
본 연구는 딥페이크(Deepfake) 기술에 대한 법적 규제의 필요성 주장 및 해당 규제의 추구 방향 모색을 목적으로 한다. 기술 혁신과 법적 대응 간의 조화로운 균형점을 도출하기 위해, 딥페이크 기술의 개념 및 발전 양상을 상세히 고찰한 후 해당 기술이 야기할 수 있는 법적 쟁점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개인정보 침해, 명예훼손, 선거 공정성 침해, 사기 범죄 등과 같은 법적 문제들을 유형별로 세분하여 검토할 것이다. 미국 딥페이크 규제의 주요 방향은 크게 선거 개입 방지, 아동 보호 강화, 딥페이크 콘텐츠 표시 의무화 등으로 구분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미국 내 규제 방식이 형성된 법적・사회적 배경을 탐색함으로써 거시적이고 체계적인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또한 한국과 미국의 딥페이크 규제 방식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표현의 자유 보호’와 ‘표현에 대한 규제’ 사이에서 각국이 취하고 있는 법리적 균형의 추구 방향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와 동시에, 기술적 대응과 법적 대응 간의 상호작용이 어떻게 조정되고 있는지도 알아보고자 한다. 더 나아가 양국의 법적・문화적 특성이 규제의 방향성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심층 분석함으로써, 규제를 둘러싼 광범위한 상관관계를 논리적으로 파악할 것이다. 한편, 딥페이크와 관련된 주요 판례와 사건들을 집중 분석하며 구체적이고 실무적인 법률 관련 문제점들을 정리하고, 현존하는 AI 탐지 기술의 한계로 인해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밖에 없는 법적 대응의 실효성 문제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글로벌 기업들의 AI 영상물에 대한 워터마크(watermark) 도입 시도는 기술적 대응책이 가능함을 암시적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적 수단과 관련하여서는 법적・교육적 대응과 결합할 때 더욱 효과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술적, 법적, 정책적인 면 등을 반영하여 통합적으로 대응하는 전략이 딥페이크 문제에 효과적이라는 점을 바탕으로 하여, 딥페이크 기술의 건설적 활용을 촉진하면서도 악용을 방지할 수 있을 균형 잡힌 법제 개선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더보기This study examines the legal regulation of deepfake technology, beginning with its definition and current development. It categorizes key legal issues, including privacy violations, defamation, election manipulation, and fraud, to provide a structured analysis. In the United States, deepfake regulation falls into three main areas: election-related content, child protection, and mandatory labeling. By exploring the legal and social contexts shaping these regulations, the study provides a broad perspective on the U.S. approach. A comparative legal analysis further examines how different countries balance freedom of expression with regulatory measures and integrate technical and legal responses. Understanding these regulatory differences highlights the role of legal and cultural contexts in shaping deepfake governance. The study also analyzes major cases, emphasizing the challenges of preventing deepfake-related crimes given AI’s rapid evolution. The dual nature of AI—both beneficial and harmful—calls for a nuanced discussion on ethical use and technological safeguards. Given that many deepfake perpetrators and victims are minors, digital ethics education is crucial. Additionally, recent efforts to introduce AI-generated content watermarks point to the need for technical solutions. Addressing deepfake challenges requires a holistic approach that integrates technology, law, and ethics, alongside cooperation among governments, industry, academia, and civil society. This study seeks balanced regulatory measures that curb misuse while fostering innovation. It proposes legal reforms,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practical policy recommendations to ensure effective oversight without stifling technological progress.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