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독일어수업에서 보이스스레드의 활용과 잠재성 = Anwendung und Potentiale von ‘VoiceThread’ im DaF-Unterricht in Korea
저자
발행기관
한국독일어교육학회(Koreanische Gesellschaft fur Deutsch als Fremdsprache)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6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3-52(20쪽)
KCI 피인용횟수
3
제공처
Web 2.0 wird in Korea im DaF-Unterricht bereits vielseitig genutzt, jedoch herrscht eine gewisse Unklarheit darüber, für welche Unterrichtsformen die Anwendung am sinnvollsten ist und welche Lerneffekte damit zu erzielen sind. Dieser Betrag soll daher die Frage behandeln, welches Lehr- und Lernpotential Web 2.0 dem DaF-Unterricht bietet und wie dessen positive Charakteristika z.B.
Schlüsselqualifikationen, wie kooperatives Lernen, Kreativität, autonomes Lernen etc. optimieren kann. Eigentlich für alle Fächer anzuwenden, bietet Web 2.0 gerade dem Fremdsprachenunterricht Möglichkeiten, den gemeinsamen Austausch auf visueller, auditiver und textueller Basis zu optimieren. Im Fokus steht das Web 2.0 Tool 'VoiceThread', das als Plattform fungiert, mit deren Hilfe die Interaktion zwischen der Lehrkraft und den Studierenden als auch unter den Studierenden selber gefördert wird. Dadurch lassen sich Lehrinhalte aktiver und ansprechender präsentieren und so die Ansprache der Beteiligten erhöht. Dieser Beitrag veranschaulicht anhand von ein paar Unterrichtsideen, wie VoiceThread zum kreativen Deutsch lernen angewendet werden kann, und legt dar, welche didaktischen Potentiale das Web 2.0 Tool 'VoiceThread' für den DaF-Unterricht hat.
디지털 내이티브라고 불리는 젊은 세대들은 뛰어난 인터넷 활용능력을 지니고 있으며 웹기반 자원을 다루는데 익숙하다. 2015년 통계에 따르면 청소년(10~20대)들은 일주일에 14.5시간, 20대는 21.0시간 인터넷을 이용한다. 이들은 거의 모두 매일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으며 ‘커뮤니케이션’, ‘자료 및 정보 획득’, ‘여가활동’ 등을 목적으로 인터넷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통계청 2016: 30-31). 이러한 최근 통계에 비추어 볼 때 대부분의 대학생들이 일상생활 및 학업에서 규칙적으로 웹자원을 활용할 것이라고 추측되며 학습관련활동도 상당 부분 인터넷 매체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리라고 추측된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함께 홈페이지나 웹사이트를 통해 공급자 측에서 사용자 측으로 흐르던 일방향적 의사전달은 웹 2.0 버전으로 진화하였다. 사람들은 인터넷 매체를 통해 공급자이자 사용자로서 스스로를 표현하고, 표현한 내용을 서로 공유하며, 함께 성장하는 과정 속에서 학습 또한 이루어진다. 웹 2.0은 웹서비스의 진화와 더불어 ICT 사용방법, 사람들의 생활방식, 사회의 모든 부분에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교육 분야도 이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바, 수업에 웹 2.0 기술을 접목하여 이것이 가진 교육적 장점을 최대화하려는 시도를 활발하게 수행하고 있다. 언어교육에서도 Web 2.0의 활용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으며 새로운 프로그램의 소개 및 수업 적용도 매우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많은 경우 웹기반 프로그램들이 언어의 네 가지 기능 중에서 한두 가지 기능만을 계발하는데 적합하거나컴퓨터 프로그램의 조작이 어려워그것을 익히는 데 시간과 노력을 많이 기울여야만 한다. 또는 수업내, 외적 활동에 두루 활용가능하거나 다방향적 상호작용을 가능하게하는 기능에서 한계를 지니고 있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제약에서 보다 자유로운 웹 2.0 도구 ‘보이스스레드’를 소개하고 독일어 교육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탐색하고자한다. 특히 음성언어와 외국어 표현(말하기와 쓰기)이 의사소통에서차지하는 중요성에 비추어 이 영역에서 보이스스레드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고찰하고자 한다. 먼저 교육 분야가 왜 웹 2.0에 주목하는지그리고 이것이 언어교육과 어떻게 연관되며 언어교육에 어떤 활용가능성이 있는지 고찰하겠다. 논문의 본론에서는 우리에게 다소 낯선 보이스스레드를 소개하고 이것을 활용한 수업을 예시하면서 보이스스레드를 독일어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겠다. 마지막으로 이에대한 향후 전망을 예견하면서 논문을 마무리하겠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10-17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Deutsch als Fremdsprache in Korea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3 | 0.33 | 0.3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8 | 0.28 | 0.602 | 0.06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