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대옹의 소성흔을 통한 소성방법 연구 -영산강유역 출토 대옹의 소성실험을 바탕으로- = A Study on Pot firing Method by Observing firing Trace of Large Pottery Jar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5-25(21쪽)
KCI 피인용횟수
3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In this study, the firing method of the excavated large pottery jar are inferred, by observing the firing trace which appeared in the experiment in which long necked pot firing is implemented, and the traces which appear in the pots excavated from various remains, in comparison.
In this experiment of long necked pot firing, a pot coffin for experiment object, was manufactured through divided molding method, in an open-air cover typed pot firing kiln which is covered with mud, taking the pots for coffin exclusive use from Yungsan River basin as the prototype model.
In the analysis of firing trace in the experiment, in case of sealed pot firing, the pots which are baked into soft substance and hard substance, are mostly the result of firing for which the pot is vertically placed in the kiln.
In this case, the appearance that the bottom part of the pot is transformed into soft substance, or that the dark spot which is intensified on the center part of the bottom remains, are shown, or the firing trace according to supporting bottom stone or the bottom separating material like sand in the kiln, remains.
In cover type open air firing, dark spots are identified, in some part of the lower section of the body region of the pot, and also in some part of the bottom, in case that the pot is laid in tilted placement mode in kiln for firing, and the dark spots are identified even in mouth region and in the lower section of the body region, in case that the pot is laid in lateral placement mode.
It is also found that the dark spots are formed even in the other parts except the bottom part and inside part of the pot according to being cover type open air firing, and the firing trace according to the collapsed wall of kiln, remains.
Finally, viewing through wide observation, it is grasped that the firing trace is related to the major usage of large pottery jar according to respective regions.
It seems, unlike other regions, particularly in the region of the Yungsan river basin, though sometimes exclusive kiln is manufactured and used for firing pots, as the scale of the large pottery jar had been enlarged radically according that the large pottery jar are used as exclusive use for coffin, mostly, the sealed open air firing method is used for manufacturing large pottery jar.
The large pottery jar from Jeju region are grasped to have similar appearance with that of Japan in Yayoi age, in firing method, which might be a good ground for inferring the existence of cultural interaction between the two regions.
본 연구는 대옹의 소성실험에서 나타난 소성흔을 관찰하여 여러 유적에서 출토된 대옹의 소성흔들을 비교 관찰하여 대옹 소성방법에 대해 추론하였다. 이번 대옹의 소성실험에서는 영산강유역의전용옹관을 모델로 분할 성형법으로 제작된 실험용 옹관을 진흙으로 피복된 덮개형 야외 소성요에서 소성하였다.
소성흔 분석 결과, 밀폐가마 소성에서는 연질과 경질소성된 대옹이 대부분 직치방식으로 소성된다. 이 경우 저부가 연질화되거나, 바닥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흑반이 남아있는 양상을 보이며 도지미를 이용한 이상재에 의한 소성흔이 남기도 한다. 반면 덮개형 야외소성은 대옹이 사치방식일 경우 동체하위와 바닥의 일부, 횡치방식은 구연부와 동체상위까지 흑반이 확인되었다. 또한, 덮개형 야외소성이기 때문에 대옹의 바닥 이외의 부분과 내면에도 흑반이 형성되며, 붕괴된 벽체에 의한 소성흔이 남게 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대옹의 소성흔 관찰을 통해서 보면, 지역적으로 대옹을 이용하는 주요 용도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영산강유역은 다른 지역에 비해 대옹이 전용옹관으로 사용되면서 규모가 파격적으로 커지고 있기 때문에 전용가마를 제작하기도 하지만 상당수는 좀 더 간편한 밀폐형 야외소성 방법을 이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제주지역 대옹은 일본의 야요이시대 옹관의소성방식과 유사한 양상이 파악되는데 이는 양 지역 간의 문화 교류관계도 추정해 볼 수 있을 좋은 자료로 여겨진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5-05-1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KOMUNHWA -> KOMUNHWA (Korea Antiquity)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1 | 0.71 | 0.7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4 | 0.69 | 1.562 | 0.4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