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과 여성의 성 역할 변화과정과 현재의 변화방향 = The Process of Gender Role Change and Current direction of change in Men and Wome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300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3-27(15쪽)
제공처
From the late 1980s until now, gender roles of men and women have shifted from traditional gender distinctions that have lasted a very long time since the past agrarian and industrial societies until the mid-1980s, It began to be divided according to individual tendency, choice, and ability of oneself.
In this respect, the biological differences that can distinguish men and women from each other in particular, the specific areas of women, namely ‘pregnancy and delivery’, have reached the level of being able to overcome male differences in women through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biotechnology .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these technologies has gradually removed the difference in performing social roles by overcoming the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or human beings, as well as specific areas of ‘pregnancy and delivery’.
In addition, due to the overcoming of biological differences throug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 gender role of men and women traditionally pursued in accordance with the feminism and the social change that is going on has become blurred, Harmony in the realm and enlargement of the active area of women in the social range have begun to appear. However, our society continues to recognize and act on the gender roles of men and women, yet they are not fully receptive to i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discuss the problems of various conflicts in our society and to overcome them.
1980년대 후반부터 지금까지 남성과 여성의 성 역할은 과거 농경사회와 산업사회 를 거쳐 1980년대 중반까지 매우 오랫동안 지속되었던 전통적인 성별적 구분에서 벗 어나 더 이상 무엇이 남성의 역할이고 여성이 역할인가를 구분하기 보다는 개인의 성 향과 선택, 스스로의 능력에 따라 나눠지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측면에서 남성과 여성을 가장 기본적으로 구분할 수 있는 생물학적 차이 특 히, ‘임신과 출산’ 이라는 여성 고유의 영역은 생명공학의 기술적 발전을 통해 남성의 여성의 차이를 극복할 수 있는 정도에 다다르고 있다. 또한 이러한 기술의 발전은 ‘임 신과 출산’ 이라는 특정한 영역 뿐 아니라 ‘신체적 능력의 차이’라는 남성과 여성 또 는 인간 각자가 가지고 있는 차이를 극복하여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는데 있어 그 차 이를 점차 없애고 있다.
또한 기술의 발전의 통한 생물학적 차이의 극복과 함께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여성운동과 그에 따른 사회적 변화에 따라 전통적으로 추구하던 남성과 여성의 성 역 할은 그 한계가 모호해졌으며 성 역할을 구분한다기 보다는 가정적 영역에서의 조화 와 사회적 영역에서의 여성의 적극적 영역 확대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그러나 여전히 우리사회는 남성과 여성의 성 역할에 대해 지속적으로 변화를 인식하고 진행하면서도 이것을 완전하게 받아들이지는 못하고 있다.
따라서 남성과 여성의 성 역할의 변화에 대하여 우리 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는 다양 한 갈등의 문제에 대하여 지속적인 인식변화에 대한 교육과 논의의 장이 적극적으로 필요한 시점이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