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어 중심 어휘지도가 중학생의 어휘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Teaching Collocations on the Impro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Lexical Competence
저자
발행사항
청원군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학과 영어교육전공 2010. 2
발행연도
2010
작성언어
한국어
주제어
DDC
420.712 판사항(22)
발행국(도시)
충청북도
형태사항
vii, 92 p. ; 26 cm
일반주기명
한국교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 민찬규
참고문헌 : p.69-74
소장기관
본 연구는 어휘지도의 두 형태, 즉 개별 어휘 목록을 중심으로 한 전통적 어휘지도 방법과 연어 중심의 어휘지도 방법이 중학생의 어휘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보다 효과적인 방법이 무엇인지 탐색하여 우리나라 영어 학습자들의 어휘력 향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창원시 소재 P중학교 3학년 남, 여학생 120명으로 선정하였고, 일주일에 두 번씩 정규 수업시간의 일부를 할애하여 명시적인 어휘지도를 12회 정도 실시하고 중간에 부분 정리 시간을 3회 가져 총 15차시의 실험기간을 가졌다. 실험집단은 개별 어휘 목록 중심으로 어휘를 학습하는 남, 여 각 1개반과 연어 중심으로 어휘를 학습하는 남, 여 각 1개 반으로 구성하여, 어휘노트를 제공하고 입력 강화 학습 자료를 만들어 익힌 어휘를 연습하게 하였으며, 또한 학습한 어휘를 활용하여 예문을 적게 하였다. 그리고 각 방법이 학습자들의 어휘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집단별로 알아보았다. 또한 사전·사후 설문 결과를 통해 각 집단별 어휘지도 방법이 학생들의 정의적인 영역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도 알아보았다. 그 결과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각 집단별 어휘지도는 학생들의 어휘 능력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두 실험집단 모두 사전 평가 점수보다 사후 평가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둘째, 연어 중심 어휘지도 방법이 학생들의 어휘 능력에 있어 개별 어휘 목록 어휘지도 방법에 비해 더 큰 향상을 보였지만 두 유형 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셋째, 두 집단은 흥미와 태도 면에서 각각의 어휘지도 방법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나 연어 중심 어휘학습 집단이 개별 어휘 목록 어휘학습 집단보다 더 긍정적이었으며, 두 집단간에는 유의미한 차가 있었다. 즉, 연어 중심 어휘 지도가 학생들의 흥미를 북돋우는데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요컨대, 어떤 방법이든 체계적인 어휘지도는 분명 어휘력 향상에 도움이 되므로 어휘도 영어 학습의 주요한 일부로 다룰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실험 기간이 짧아 두 유형의 유의미한 차이를 입증할 수는 없었으나 점수의 향상 정도와 설문지로 알아본 정의적 반응에서 연어 중심 어휘지도가 개별 어휘 목록 중심의 어휘지도보다는 어휘력 향상에 더 긍정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리라는 잠정적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그러므로 연어 중심의 어휘지도가 어휘력 향상에 인지적으로나 정의적으로 효과 있는 좋은 방안의 하나가 될 것이라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ve efficacy of the two methods of English vocabulary instruction-the traditional wordlist-based vocabulary instruction (G1) and the collocation-based vocabulary instruction (G2)―on the enhancement of the 3rd year middle school students' lexical competence and find a more effective way to improve their lexical competence.
The subjects were one hundred and twenty third year students (60 boys and 60 girls) of P middle school in Changwon. They had a total of fifteen classes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which were twelve explicit and systematic vocabulary lessons and three review hours. The research was conducted twice a week as part of a regular class. G1 was composed of thirty boys and thirty girls each. G2 was the same. They were given vocabulary notebooks with new words and worksheets for practice. After learning new vocabulary, they were asked to make sentences using the vocabulary. The efficacy of each method was examined by each group. Also, the data collection to examine the effects of this experiment on students' affective domain was done with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wo ways of vocabulary teaching conducted by group were found to be effective to enhance students' lexical competence. This is supported by the fact that the students' post-vocabulary test resul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students' pre-vocabulary test results.
Secondly, it was found that collocation-based instruction did have a larger effect on students' vocabulary competenc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experimental groups' vocabulary competence.
Thirdly, based on the questionnaire results, both G1 and G2 showed the positive response of each vocabulary instruction in interest and attitude, but G2 was more positiv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So to speak, it was proved that collocation-based instruction was more effective in making vocabulary teaching interesting.
In short, regardless of the ways, it was obvious that systematic and explicit vocabulary teaching was helpful to enhance students' lexical competence and it should be treated as a main part of English learning. Although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was not proved because of the time limit, judging from the improvement in score and the questionnaire results, the researcher concluded provisionally that the collocation-based vocabulary instruction would have a more positive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learners' lexical competence than the traditional wordlist-based vocabulary instruction. Therefore, the collocation-based vocabulary instruction has been seen to be another effective way of improving students' lexical competence cognitively and affectively.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