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또 다른 미국 예외주의?:조이스 애플비(Joyce Appleby)의 자본주의, 노예제, 그리고 미국혁명 = Another American Exceptionalism?: Joyce Appleby’s Capitalism, Slavery, and American Revolutio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41(41쪽)
KCI 피인용횟수
2
제공처
Joyce Appleby, who died on December 23, 2016 at the age of 87, has been recognized as a distinguished historian and author on American Revolution and capitalism, arguing that ideas about capitalism and liberty were fundamental in shaping the identity of early Americans and that they constructed a new social order based on those ideas. Appleby organized her ideas in books like “Capitalism and a New Social Order: The Republican Vision of the 1790s” (1984) and “Liberalism and Republicanism in the Historical Imagination” (1992), and attempted to offers a sweeping new history of capitalism, from its origins in the trading empires of the late Middle Ages all the way through to the Great Crisis of 2008, in “The Relentless Revolution: A History of Capitalism” (2010).
While it is easy to understand that Appleby, as a historian of capitalism, had tried to focus on the historical, economic, and structural analysis of American capitalism, she actually had concentrated on examining and shedding new light on the revolutionary culture and epoch-making role of capitalism, paying special attention to the cultural aspects like the change of one’s way of thinking and patterns of behavior. In doing so, Appleby has performed the grander project of redefining the historical origin of American republic and the American identity, based on the capitalistic ideas and convictions.
A history of ‘Appleby’s capitalism,’ as another American exceptionalism, is that of “a free and equal people” as an agent of change and innovation and the story of capitalism of democratic and liberal nature. According to Appleby, therefore, the early Americans embraced capitalism as their salvation, an alternative to empire and aristocracy. In this respect, it is not surprising that Appleby is at the pains of turning her back on the capitalist history of slavery as an extreme exploitation system of labor.
As long as Appleby regards capitalism mainly as a sort of culture or cultural system, rather than as a political economy, as a power relation, or as class relationships, however, a history of ‘Apple’s capitalism’ remains just as a unfinished story of American capitalism. Appleby’s story of American capitalism is needed to be written more with the story of the place of modern slavery in the history of capitalism, with the story of democratic and at the same time anticapitalistic tradition, and with the “vexed” relationship between the rise of capitalism and the commodification of human beings.
2016년 12월 23일, 87세의 나이로 타계한 미국의 역사가 조이스 애플비(Joyce Appleby)는 미국 독립혁명과 미공화국 초기의 정치사상 및 자본주의의 역사에 관한 대표적인 학자로 평가받고 있다. 애플비는 자유주의와 자본주의 사상 및 신념이 초기 미국인들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지배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며 이후 미국인들이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사회질서를 구축했다고 주장하면서 『자본주의와 새로운 질서: 1790년대의 공화주의적 비전(Capitalism and a New Social Order: The Republican Vision of the 1790s』”(1984)과 『역사적 상상력 속에서 자유주의와 공화주의(Liberalism and Republicanism in the Historical Imagination)』”(1992) 등의 저서를 통해 자신의 주장을 체계화했으며 말년에 집필한 『가차없는 혁명: 자본주의의 역사(The Relentless Revolution: A History of Capitalism)』(2010)를 통해 인류의 가장 강력한 발명품 중 하나인 자본주의의 역사에 대한 학문적 집대성을 시도한 바 있다.
“자본주의사가(historian of capitalism)”로서 애플비는 미국 자본주의의 기원과 발전 및 형태에 관한 역사적․경제적․구조적 분석에 몰입했던 역사가라기보다는 자본주의적 사상과 질서의 등장으로 인한 인간의 사고방식이나 행동양식의 변화라는 문화적 측면에 주목하면서, 특히 미국 독립혁명과 미공화국 건국 초기에 미국인들의 개인적 혹은 국가적 정체성 형성에 지배적인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해석하고 있는 자유주의와 그 문화적 구현체로서 자본주의의 혁명적 문화와 새로운 시대적 역할을 검증하고 재조명하는 데 집중해 왔던 역사가라고 할 수 있다. 애플비는 이를 통해 미공화국의 역사적 기원과 국가적 정체성을 자본주의적 사상과 신념의 토대 위에서 새롭게 재정의해보고자 하는 한층 거대한 프로젝트를 수행해 왔다고 볼 수 있는데 이 과정에서 ‘미국 예외주의(American exceptionalism)’의 역사서술이 자연스럽게 자리 잡았다는 점 또한 부정하기 어렵다.
애플비가 전통에 도전하고 이를 무너뜨리는 변화와 혁신의 주체로서 주목하는 “자유롭고 평등한 인간”은 애플비에게 바로 자본주의적 인간, 자본주의 문화를 기꺼이 수용한 인간으로 정의된다. 애플비가 판단하기에 자유주의와 자본주의는 부정할 수 없는 역사적 연관성을 가지고 있었다. 즉 “풍부한 자원과 유연한 사회적 규범을 가지고 있었던, 오직 미합중국에서만이 자유로운 사회에 대한 예지적 비전에 현실적인 힘을 실어주는 것이 가능”했던 것이다. 애플비 자신이 자본주의적 덕목 내지는 문화로 정의하는 자유와 혁신, 진취성, 창조적 지성, 그리고 진보 등은 바로 애플비가 만들어내는 또 다른 미국 예외주의의 핵심 개념들을 이룬다. 다시 말해, 애플비가 만들어내는 미국 예외주의의 실체는 바로 자본주의인 것이다.
하지만 또 다른 미국 예외주의로서 애플비의 미국 자본주의 해석에 대한 객관성과 정당성을 검토해 볼 때 ‘애플비의 자본주의’가 미국 자본주의의 역사를 제대로 담아내고 있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이 쉽게 해소되는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도 애플비에게 자본주의는 ‘문화’ 혹은 ‘문화체계’로서 역사적으로 가장 혁신적이었고 가장 자유에 부합했으며 가장 민주주의적이었고 또 무엇보다도 가장 진보적이었기 때문에 ‘선택’된 문화로서 이해된다. 이런 입장을 가진 애플비에게 노예제는 무척이나 거북스럽고 난감한 주제로 남아있다. 애플비가 ...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8 | 0.28 | 0.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5 | 0.36 | 1.048 | 0.06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