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비예기 항체선별검사에 의해 검출된 복합항체의 특성 = The Characteristics of Concurrent Blood Group Antibodies Detected by Unexpected Antibody Screening Tests
Background: Multiple alloimmunization is the production of two or more alloantibodies by an individual. These antibodies are significant because they can present major problems in compatibility testing.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operties of concurrent blood group (BG) antibodies in Korea.
Methods: The transfusion records of 540 patients from Dong-A University Hospital were reviewed to identify alloimmunized individuals. The records spanned a time period from September 2002 to March 2010. The data regarding transfusions an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ose patients making concurrent antibodies were gathered.
Results: Concurrent blood group antibodies were found in 23.9% (45/188) of alloimmunized patients, constituting 40.7% (100/246) of all antibodies. The most common alloantibody pair were anti-E/-c and anti-C/-e. The mean transfused RBC units, mean interval, and mean transfusion frequencies before detection of two or more antibodies were 2.4 units, 92 days, and 2.4 times, respectively. The majority of alloantibody pairs appeared and were undetectable at the same time. Among 45 patients (mean age 55.9 years, range 32 to 82 years), twenty-six (57.8%) were female and the remaining nineteen were male. Non-hematological malignancy accounted for a major share (26.7%) in the underlying disease.
Conclusion: Antibody concurrence varied by BG antigenic specificity. Rh antibodies, in particular anti-E with anti-c appeared to be highly linked. Unlike in Western countries, anti-K was less common in Korea and so the pairs involving this antibody were scarce. More prospective investigations are needed to delineate the immunologic phenomenon of multiple alloimmunization. (Korean J Blood Transfus 2010;21:115-121)
배경: 복합면역반응은 한 개인에서 두 개 이상의 적혈구 동종 항체가 만들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항체는 수혈 적합성 검사에서 중요한 문제를일으킬 수 있어 의의가 있다. 우리는 한국인에서존재하는 복합 항체의 특성과 빈도를 알아보고자하였다.
방법: 2002년 9월부터 2010년 3월까지 동아대학교병원에서 항체동정검사를 실시한 540명의수혈기록과 병력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복합항체의 종류와 빈도, 지속성에 대해 조사하였고,복합항체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 중에서수혈자의 성별, 나이, 질환군별로 분석하고 적혈구 수혈량, 수혈기간 및 수혈횟수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적혈구 복합항체는 전체 동종면역환자의23.9% (45/188)에서 발견되었고 전체 동정된 항체의 40.7% (100/246)를 차지했다. 가장 흔한 복합항체 조합은 anti-E+c 그리고 anti-C+e였다. 복합항체가 동정된 환자들의 평균 수혈량은 2.4단위,마지막 비예기항체 선별검사 음성에서 양성 사이의 기간은 평균 92일, 평균 수혈횟수는 2.4회였다. 대부분 같은 시기에 나타나고 수혈 후 함께지속되거나 역가가 감소하였다. 복합항체가 동정된 45명의 평균 나이는 55.9세, 범위는 32∼82세였고, 26명(57.8%)이 여성이었고 나머지 19명이남성이었다. 기저질환으로는 악성종양이 가장 높은 비율(26.7%)을 나타냈다.
결론: 복합항체는 적혈구 항체 특이성에 따라다양하게 나타났다. 복합면역은 Rh계열의 항체가 가장 많았으며, 서구와 달리 항-E+c의 빈도가가장 높았고 항-K와 조합을 이룬 복합항체의 빈도는 매우 낮았다. 복합면역반응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보다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19 | 0.19 | 0.1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18 | 0.16 | 0.267 | 0.03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