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東寮 河載文의 생애와 시 = Dongryo Ha Jae-mun’s Life and Poetr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39-167(29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소장기관
본고는 하재문의 삶과 시에 포커스를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학업을 위한 입문 단계에서부터 완성단계에 이르기까지 몇 차례의 거주지 이동은 그가 추구하고자 한 학문적 인프라 구축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진주 九台에서 태어난 그는 우선 남명 조식의 강학 공간인 山天齋에서 남명학파의 인물들과 『남명집』을 교정하며 학문연구와 강학 활동에 주력하였다. 그의 이런 활동은 남명학파의 결집을 가져왔고 남명학을 계승발전 시키는 효과도 발휘하였다. 그는 또 족조 하달홍에게 양질의 교육을 받기 위해 하동의 安溪로 이주하였다. 안계 마을은 하홍도에 의해서 개척된 학문적 공간임과 동시에 진주하씨의 남명학과 주자학 형성에 지분을 제공한 의미있는 學村이었다. 하재문은 스승인 하달홍이 운명하자 거주지를 安溪에서 다시 士谷으로 옮겼다. 사곡으로 온 그는 東寮라는 書齋를 지어 후진양성에 주력하였다. 강학 공간 역시 山天齋에서 慕寒齋, 모한재에서 다시 東寮로 옮기는 양상을 띠었다. 하재문의 시는 꾸밈을 일삼지 않고 沖澹하고 순수하여 속세를 벗어난 흥취가 있었다는 점이다. 또 시작에 있어서 변체시를 많이 창작했다는 것과 詩會 활동을 통하여 남명학의 결속을 이끌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하재문 시의 특징점 중의 하나는 잡체시에 관심을 보여 다향한 형태로 구현하고 있다는 점이다. 칠언율시 한 수에서 2구씩 끊어서 正名對, 同類對, 疊韻對, 連珠對를 사용하였다. 이것은 六對에서 雙聲對와 雙擬對를 제외한 것이다. 또한 오언절구 2수에서 한 수는 回文으로 읊었고 한 수는 隔句對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建除體, 回文體, 玉連還體 각 1수를 읊었으며, 1에서 10까지 숫자를 가지고 지은 數詩, 그리고 人名과 藥名을 가지고 읊은 잡체시도 있다. 한편 하재문은 산수 자연을 매우 좋아하여 方丈山·錦山·花岳·靈嶽 등의 名山과 華山亭·孤山亭·涵月亭·雷龍亭·矗石樓·神仙臺, 落水齋 등의 누정, 그리고 雙磎寺·靈嶽寺·龍門寺·菩提庵·多率寺·大源庵 등의 佛舍를 두루 유람하였다. 이는 1868년(39세)과 1877년(48세)에 方丈山 大源庵에서의 詩會, 1876년 錦山의 보리암 유람에서의 詩會(47세), 1888년 靈嶽의 靈嶽寺(현 多率寺)에서 詩會(59세) 등을 통해서 알 수 있다. 이들 詩會뿐만 아니라, 1894년 白雲洞에서의 修稧(65세)는 벗들과의 친목을 도모함은 물론 그 궁극적 목적은 남명의 학문과 사상을 계승하고자 하는데 있었다.
더보기In this paper, Ha Jae-mun’s life and poems were examined. His several movements of residence were closely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academic infrastructure that he pursued from the introduction process to the competition stage of study. He was born in Gutae(九台), Jinju, and was devoted to academic research and educational activities while proofreading 『Nammyeongjip』 at Sancheonjae(山天齋), the place, where Nammyeong Jo Sik studied, with the figures of the Nammyeong School.
These activities of his brought about the unity of the Nammyeong School, and helped the study of Nammyeong succeeded and developed. He also moved to Ahngye(安溪) of Hadong in order to get good education from his relative, Ha Dal-hong. The Ahangye village was a meaningful place(學村), which was an academic space cultivated by Ha Hong-do and also offered some share to the development of the Nammyeong study and neo-Confucianism of Juhassi. Ha Jae-mun moved from Ahngye(安溪) to Sagok(士谷) when his teacher, Ha Dal-hong, passed away. After coming to Sagok, he made a library(書齋) called Dongryo(東寮), and focused on training the younger generation. He also moved his study place from Sancheonjae(山天齋) to Mohanjae(慕寒齋), and then from Mohanjae to Dongryo(東寮) again. Ha Jae-mun’s poems were frank, quiet and clean(沖澹), innocent and interesting beyond the secular society. In addition, when he wrote poems, he created many Byeonche poems, and led the unity of Nammyeong study through his activities in poetry clubs(詩會).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Ha Jae-mun’s poetry is that he wrote poems in various forms with interest in Japche poems. He used Jeongmyeongdae(正名對), Dongryudae(同類對), Cheopwundae(疊韻對), and Yeonjudae(連珠對) by dividing by two phrases in one Seven-seon-yul poem, excluding Ssangseongdae(雙聲對) and Ssangeuidae(雙擬對) from Yukdae(六對). Moreover, with two poems of Oheonjeolgu, he recited one as Hoimun(回文), and for another, he used Gyeokgudae(隔句對). And he recited each of Geonjeche(建除體), Hoimunche(回文體), and Okryeonseonche(玉連還體), and he also wrote a number poem(數詩) with the numbers from one to ten, and a Japche poem with the names of persons(人名) and medicine(藥名). On the other hand, Ha Jae-mun liked landscape of nature very much, so went sightseeing far and wide to the famous mountains(名山), such as Bangjang Mt.(方丈山), Geum Mt.(錦山), Hwaak(花岳), and Yeongak(靈嶽), beautiful pavillions, such as Hwasanjeong(華山亭), Gosanjeong(孤山亭), Hamwoljeong(涵月亭), Noiryongjeong(雷龍亭), Chokseoklu(矗石樓), Sinseondae(神仙臺), and Naksujae(落水齋), and Buddhist temples(佛舍), such as Ssanggye Temple(雙磎寺), Yeongak Temple(靈嶽寺), Yongmun Temple(龍門寺), Bojeam(菩提庵), Dasol Temple(多率寺), and Daewonam(大源庵). It can be seen in the poetry club(詩會) at Daewon Temple(大源庵) on Bangjang Mt.(方丈山) in 1868(at the age of 39) and 1877(at the age of 48), that at the sightseeing in Boriam on Geum Mt.(錦山) in 1876 (at the age of 47), and that at Dasol Temple(靈嶽寺)(the present Dasol Temple(多率寺)) on Yeongak(靈嶽) in 1888(at the age of 59), etc.. In addition to these poetry clubs(詩會), at Sugye(修稧) in Baekwundong(白雲洞) in 1894(at the age of 65), he not only had quality time with his friends, but also intended to inherit the studies and ideas of Nammeyong as the ultimate purpose.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5-15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남명학연구소 -> 경남문화연구원영문명 : The Nammyonghak Study Institute -> Institute of Gyeongnam Culture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6 | 0.66 | 0.5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2 | 0.5 | 0.98 | 0.22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