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학동전 정상 소아에서 연령별 혈청 총 IgE 집먼지진드기 특이 IgE 및 ECP 치에 관한 전국적 조사 연구 = A Study of Serum Total and House Dust Mite-Specific IgE , and ECP Levels in Healthy Korean Children Under 7 Years of Age
저자
이하백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박규창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양승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김용주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오재원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문수지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나영호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안영민 (강남병원) ; 최재경 (삼척의료원) ; 김광우 (포항선린병원) ; 이승재 (포항성모병원) ; 한동기 (영덕제일병원) ; 박진녕 (목포의료원)
발행기관
대한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The Official Publication of the Korean Society of Allergology)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1999
작성언어
Korean
KDC
516.939
등재정보
KCI등재,ESCI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57-166(10쪽)
제공처
목 적 : 혈청 총 IgE와 알레르겐 특이 IgE는 알레르기 질환의 진단을 위한 초기검사 방법의 하나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가장 주요한 알레르겐인 집먼지진드기(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 : Dp, D.farinae :Df)는 조기 노출 및 감작에 의하여 천식, 비염 및 아토피 피부염의 발병 가능성을 높여 주고 있기 때문에 자주 검사의 대상이 되고 있다. 한편, 알레르기 염증에 관여하는 호산구의 생산물인 eosinophil cationic protein(ECP)는 기관지 상피세포 손상, 기관지 염종 및 기관지 과민반응을 유발하는 것으로 밝혀진 후 혈청내 ECP 측정의 임상 응용이 활발하다. 본 연구는 학동기전 정상 소아에서 혈청 총 IgE 및 집먼지진드기 특이 IgE 및 ECP의 국내 정상참고치를 제시함으로써 알레르기질환의 진단에 필요한 기본적인 자료를 설정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방 법 : 1996년 5월부터 1997년 8월까지 서울, 경기, 강원, 경북, 전남 등 진국 5개 지역에서 무작위로 선정되고 그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9개 병원의 육아상담실에 내원한 그리고 보육기관에서 거주하면서 발열이나 상기도 감염 및 알레르기질환의 과거력과 가족력이 없는 7세 미만의 건강한 소아 44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로 부터 각각 말초 정맥혈을 채취 후, 원심분리하여 -20℃에서 냉동 보관 후 혈청 총 IgE, Dp-lgE, Df-IgE 및 ECP치를 fluoroimmunoassay(UniCAP, Pharmacia-Upjohn, Sweden)로 측정하고, 그 각각의 결과에서 기하평균과 신뢰구간을 구하여 분석 평가하였다.
결 과 :
1) 연령별 혈청 충 IgE는 출생 후 4새까지 서서히 증가하다가 이후에 완만한 커브를 나타내었다.
2) 혈청 집먼지진드기 특이 IgE(Dp-IgE와 Df-IgE) 치는 3세 이후 특히 남아에서 나이가 들면서 학동기까지 각각 서서히 의미있게 증가하였다.
3) 혈청 ECP치는 출생 후 4세까지 점차적으로 증가한 후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4) 혈청 총 IgE, Dp-IgE와 Df-IgE 및 ECP치는 남아와 여아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5) 혈청 총 IgE, Dp-IgE와 Df-IgE 및 ECP치의 지역별 차이를 보면 Dp-IgE와 Df-IgE가 도시 지역에서 해안에 가까운 기타 도시 지역보다 다소 높았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6) 혈청 총 IgE, Dp-IgE와 Df-IgE 및 ECP치 사이의 상관성을 보면 총 IgE와 Dp-IgE(r=0.321, P<0.001) 및 Df-IgE(r=0.324, P<0.001) 그리고 Dp-IgE와 Df-IgE(r=0.943, P<0.001) 사이에 각각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ECP치와는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다.
결 론 : 혈청 총 IgE 및 ECP치는 4세 전후에 그리고 집먼지진드기 특이 IgE는 3세 이후에 증가를 시작하는 것으로 미루어 조기 감작의 예방이 필요하며, 본 연구 결과는 학동전 소아의 정상 참고치로서 이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use : Serum IgE have been shown to be related to allergic disease and used for an initial diagnosis of allergic diseases. House dust mite such as 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Dp) and D. farinae(Df) is very important for inhalant allergens, which may be a cause and/or triggering factor of atopic diseases. On the other hand, eosinophil cationic protein (ECP) causes epithelial damages of the airway, and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has been used as a useful indication of allergic inflammation. To date,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longitudinal patterns of total and inhalant allergen-specific IgE, and ECP in normal children in Korea.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reference levels of serum total and Dp- and Df-specific IgE and ECP in healthy children under 7 years of age by the groups of different age and gender.
Methods : Total, and Dp- and Df-specific IgE and ECP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by fluoroimmunoassay(UniCAP, Pharmacia-UpJohn, Sweden) in serum from 449 healthy children under 7 years of age by using a population-based cohort followed from 1996 through 1997. All subjects were enrolled from eight large health organizations in geographically defined area such as Seoul and four local cities.
Results : Serum total IgE concentration showed steady increase with age from birth to 4 years, and a plateau. In contrast, Dp- and Df-IgE levels showed apparently continuous increments after 4 years of age. ECP showed variable increase until 4 years of age and slow decrease afterward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ose results by gender and/or the living area, but much higher increments of Dp- and Df-IgE of boys from 3 years of age through 6 years were found.
Conclusion : We found feasible results of total, Dp- and Df-specific IgE, and ECP in serum from healthy children under seven years of age, which may be useful for a reference.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