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언어개혁과 국가건설 : 튀르키예와 인도 비교분석 = Language Reforms and Nation-Building in Türkiye and India: A Comparative Analysi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835-868(34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본 연구는 튀르키예와 인도를 중심으로 언어 정책 (language policy), 민족주의 (nationalism), 국가 건설 (nation-building)의 상호작용을 연구한다. 민족 정체성 (national identity)에 대한 언어의 영향과 교육 분야에서의 적용을 조명하며, 언어 정책과 계획 (Language Policy and Planning)의 영역을 종족적 민족주의 (ethnic nationalism)와 시민적 민족주의 (civic nationalism)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종족적 민족주의에 뿌리를 둔 튀르키예는 공통의 언어와 문화에 기반을 둔 통일된 국가 정체성을 구축하려고 하였다. 이 접근법은 효과적으로 언어적 통일성을 촉진시킨 반면 언어적, 그리고 정치적인 영역에서 소수의 목소리를 소외시켰다. 이처럼 소수의 권리가 보호되지 못하는 것은 교육의 영역에서 분명히 드러났다. 민족의 통합 추구와 다양성의 보존 사이의 이러한 갈등은 종족적 민족주의의 이중성을 보여준다.
반대로 시민적 민족주의를 바탕으로 한 인도는 다국어 사회에서 공유된 시민권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인도의 언어 정책은 지역 언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소수 언어의 권리 보호를 보장한다. 또한 하나의 공식 언어를 채택하지 않고 힌두어와 영어, 두 언어를 공식 언어로 채택하며 포괄성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언어적 다양성과 소수 권리에 대한 인도의 헌신은 교육의 Three Language Formula (TLF)에 반영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도는 아직까지 이러한 정책들을 완벽하게 시행하는 데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와 같이 국가들이 수행하는 언어 개혁은 각각의 장단점을 가진 민족주의 성향에 따라 다르다. 그러나 공통된 관찰은 국가의 민족주의 형태와 상관없이 국가 정체성과 소수 권리를 조화시키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이다. 세계화된 현대 사회에서 국가의 힘은 다양성을 수용하는 능력에서 온다는 점을 고려하면 앞으로 이러한 어려움은 많은 국가들이 겪고 극복해야 할 과제로 보인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intricate interplay of language policy, nationalism, and nation-building, with a specific focus on Türkiye and India. It examines the realm of language policy and planning (LPP) through the perspectives of ethnic and civic nationalism, shedding light on their influence on national identity and their application in the field of education. Türkiye's journey, rooted in ethnic nationalism, sought to construct a unified national identity grounded in a common language and culture. While this approach effectively promoted linguistic uniformity, it also marginalized minority voices, in both linguistic and political spheres. This was evident in the realm of education, where minority rights were inadequately protected. This tension between the pursuit of ethnic unity and the preservation of diversity underscores the intricate nature of ethnic nationalism and its consequences for minority rights. Conversely, India's commitment to civic nationalism emphasized the significance of shared citizenship within a diverse, multilingual society. India's language policy celebrated the richness of linguistic diversity,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regional languages and ensuring the protection of linguistic minority rights. The adoption of both Hindi and English as official languages exemplified inclusivity and a rejection of ethnic favoritism. Their dedication to linguistic diversity and minority rights is reflected in the Three Language Formula (TLF) in education. Nevertheless, the implementation of these policies encountered challenges. In conclusion, this article underscores the paramount importance of striking a delicate balance between national unity and the protection of minority rights, irrespective of the chosen form of nationalism. It is evident that language reforms undertaken by nations vary based on their unique nationalistic orientations, each with its pros and cons. However, a common observation is that nations, regardless of their form of nationalism, face challenges in reconciling national identity and minority rights.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