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시경적 용종 절제술을 시행받은 145례의 위용종에 대한 임상 및 병리학적 연구 = Clinicopathologic Analysis of 145 Cases of Gastric Polyps Removed by Endoscopic Polypectomy
내시경 시술의 발달로 위에서 발생되는 여러 종류의 용종 중 크기가 악성일 경우는 외과적 절제술이 시행되고 있고 그 외 대부분의 병변은 내시경적 치료가 가능해졌다. 이런 점에서 저자는 위에서 발생되는 용종의 임상적, 병리학적 특징과 각종 내시경적 용종 절제술의 치료 효과와 안정성을 관찰하고자 하였으며, 내시경적 용종 절제술 후 추적 관찰하여 용종의 재발이나 위암의 발생을 확인하고자 한다.
더보기Gastric polyps are narrowly defined as macroscopically localized mucosal elevations composed of epithelial elements. They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 hyperplastic polyp and adenoma. Hyperplastic polyps usually occur in a chronically inflamed mucosa with a mild degree of atrophy and composed of normal-appearing epithelial cells, so hyperplastic polyps rarely become malignant.
When dysplasia occurs to the polyps, malignant potential increases. Adenoma is composed of immature cells with varing degrees of dysplasia and its malignant potential is very high. So according to the size and pathologic findings, the therapeutic modalities are variable. And they should be removed for prevention of gastric cancer.
We have performed endoscopic polypectomy such as snare polypectomy, strip biopsy or "O"ring ligation in 145 patients from July 1988 to June 1995 and evaluat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histopathology of the polyps. Twenty three patients who had had adenoma and had been undergone mucosectomy were followed up endoscopically for 6 to 24 month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One hundred and forty five patien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ratio of male to female was 0.7:1(59 men, 86 females) and mean age was 50.4 (range: 31-79). The polyps were most frequent in the 6th decades of age.
2.The common clinical symptoms were epigastric discomfortness(41.3%), epigastric pain(29.7%), indigestion(17.9%) and abdominal discomfortness(6.9%).
3.The location of polyps were antrum(47.3%), body(45.0%) and fundus(7.7%). The number of patients with multiple polyps were 16(11.0%) and 139 patients had single polyp. The most frequent size of polyps was 0.5-1.0 cm and the next was 1-2 cm.
4.The gross findings of polyps by Yamada's classification were type II (35.5%), type III (29.6%), type I (21.3%) and type IV(13.6%). On histologic examination, hyperplastic polyps were 68.6% and adenomatous polyps were 23.7%.
5.The methods of polypectomy were mucosectomy in 23 cases(strip biopsy : 18, "O"ring ligation : 5) and snare polypectomy in 122 patients. If adenomatous polyps were reseated incompletely, we applied the laser therapy. When snare polypectomy could not be performed, strip biopsy was done. The effectiveness and rate of complications of mucosectomy was not different from that of snare polypectomy.
6.The most frequent complication of polypectomy was epigastric pain(23.4%) and the next was bleeding(14.5%). We could manage epigastric pain with medical therapy. The bleeding was controlled with Nd : Yac laser in five cases, with hypertonic saline-epinephrine injection therapy in five cases and with conventional medical therapy in 11 cases.
7.Among the patients with adenomatous polyps or dysplasia, we followed up 23 cases for 6 to 24 months (mean: 16 mon). There was no recurrence, but in one case gastric carcinoma was detected on other site.
In the patients wish gastric polyp, polypectomy should be performed for precise diagnosis and treatment and the methods of polypectomy are taken according to their size and morphologies. Polypectomy is an effective preventive therapy for gastric cancer with low procedural complications.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