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임진왜란기 문경지역 개성고씨(開城高氏)의 위상과 역할 = Status and Roles of the Gaeseong Goh family in Munkyeong Area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Called Imjin War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911.4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5-52(28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개성고씨는 문경을 대표하는 사족이다. 개성고씨는 高乙那를 시조로 하고 高末老를 중시조로 삼고 있다. 개성고씨가 문경에 세거하기 시작한 것은 중시조고말로의 12세손인 高士原이 용궁현 왕태로 낙향하면서 부터이다.
개성고씨는 임란기를 전후하여 문과 급제자를 배출하면서 향촌을 주도하는 사족으로 성장하였다. 문경 입향조인 고사원 이후 지속적으로 무과 급제자를 배출하였던 개성고씨는 高興雲부터 문과에 급제하였다. 그의 아들 高仁繼는 1606년(선조 39)에 식년문과에 급제하였다. 高尙顔은 1576년(선조 9)에 문과에 급제하여 경상도 일대의 지방 수령을 역임하였다. 한편 고상안의 형 高尙曾은 비록 과거에 급제하지는 못했지만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에 참여하였다.
개성고씨는 학문적으로 퇴계학파와 연결되어 있었다. 高尙顔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퇴계학파의 학통을 계승한 학봉 김성일, 서애 류성룡에게 서신을 통해 교유하였다. 高仁繼는 관직을 역임하면서 중앙의 인물들과 교류했을 뿐만 아니라 류성룡의 문하에 출입하면서 퇴계학파에 속하는 인물들과 교류하였다. 한편 高尙曾은 류성룡과 직접적인 사제관계는 파악되지 않지만 의병활동을 하면서 간접적인 교류는 있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개성고씨는 퇴계학통을 계승하면서 문집의 발간을 통해 학문적 전통을 계승하였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문경지역 사족들은 의병활동을 전개하였다. 국가 및 지역 공동체가 외세에 의해 유린되는 현실을 접하고, 또한 관병의 패퇴로 이의 극복이 국가의 힘을 기다려서는 불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하자 대대적인 의병활동에 나선 것이다. 특히 개성고씨 가문은 전통적인 유학사상으로 훈도되어 있었음으로 나라가 위기에 처할 때 처사로서 은둔생활을 고집하지 않고 떨쳐 일어나 구국활동에 적극 가담함으로써 충절사상을 구현하는데 진력을 다하였다.
임진왜란이 종결된 후 가장 시급한 문제는 민생의 삶이었다. 이에 고상증은 座首의 직임을 맡아 수령을 보필하면서 향촌질서를 회복하고 민생의 삶을 향상시키는데 적극적으로 노력하였다. 고상안과 고인계, 그리고 진주강씨의 강설은 용궁현 왕태동에서 향약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향약은 임진왜란으로 중지되었는데 전란이 끝나자 개성고씨와 진주강씨는 향촌사회의 복구와 질서를 회복하기 위해 향약의 중수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고상안은 임진왜란 이전의 농업생산을 복구하기 위해서 『農家月令』을 저술하였다. 고상안은 백성이 옷을 입고 배를 채워 춥고 굶주리지 않게 하는 것은 모두 농사의 힘이기 때문에 농사가 백성에게는 天下之大本임을 분명하게 하였다. 따라서 전후 복구를 위한 가장 절실한 문제인 농업생산의 복구를 위해서 『農家月令』을 저술하게 된 것이다. 『農家月令』을 언문으로 번역하여 農夫와 農婦들이 쉽게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모하였다. 農家에서 실제로 실행해야 할 일을 기록함으로써 왜란 이전의 농업생산을 복구하는데 최선을 다하였다. 한편 고상안의 농업기술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은「效嚬雜記」에도 나타난다.
The Gaeseong Goh family represents one of the distinguished families in Munjyeong. Goh Eul-nah (高乙那) is devoted as the progenitor of this family and Goh Mal-no (高末老) as a great forefather who revived this family. The settlement of the Gaeseong Goh family in Munkyeong started as Goh Sa-won (高士原), the 12th descendant generation from Goh Mal-no, rusticated to Wangtae of Yongkung district.
The Gaeseong Goh family raised itself to a distinguished leader in Munkyeong area after its family members passed national examinations around Imjin War. While the members of this family had continually passed the military service examinations since Goh Sa-won, Goh Heung-un (高興雲) started the family history of the successful national examinations in humanities and his son Goh In-gey (高仁繼) passed National Siknyeon Humanities Examination in 1606 (the 39th year of King Seonjo). Goh Sang-eon (高尙顔) passed the National Humanities Exam in 1576 (the 9th year of King Seonjo) and served as local heads in Kyeongsang area. Goh Sang-eon’s brother Goh Sang-zeung (高尙曾) could not pass the exams and instead joined the voluntary people's forces in their resistance against the Japanese invading army.
When it comes to scholarship, the Gaeseong Goh family had relations with Taegae School. When Imjin War broke out, Goh Sang-eon corresponded by letters with Kim Seong-il and Ryu Seong-ryong from Taegae School. While he was in government service, Goh In-gye not only interacted with federal government officials, but he also had companionship with scholars from Taegae School via Ryu Seong-ryong. Goh Sang-zeung’s direct relation with Ryu Seong-ryong was not verified, but it has been presumed that he kept an indirect connection with Ryu through the activities of the voluntary people's forces. Succeeding Taegae School, the Gaeseong Goh family published a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and was able to establish a scholarship of its own.
When Imjin War broke out, the distinguished families in Munkyeong joined the voluntary people's forces in their resistance against Japan. Specifically, the Gaeseong Goh family firmly held the traditional Confucius philosophy of faithful allegiance to the King and the nation, so that the whole family committed itself to the resistance activities through the voluntary people's forces to save the country from Japanese invasion rather than retreating to a remote countryside.
The most urgent matter after the war was the stabilization of the people’s livelihood. Assisting a local government head, Goh Sang-zeung made an utmost effort to restore the stability and improvement of livelihood of the local people. Goh An-sang, Goh In-gye and Gang Seol of Jinju Gang family tried to implement Hangyak, a self-government rule, but it was interrupted because of Imjin War. After the war, the Gaeseong Goh and the Jinju Gang families actively engaged in the continuation of the implementation of Hangyak.
Go An-sang wrote an agriculture book entitled Nonggawolryeong (『農家月令』) in order to help farming families to restore to the level of the pre-war product. He made it clear that agriculture was the prop of the people’s livelihood because farming provided them with basic needs for daily lives. He re-wrote the book in the Korean alphabet so that the uneducated farmers could read and understand easily. This book gave detailed and practical instructions for farming. Goh An-sang’s interest in agricultural skills and technology was also shown in his essay collection Hyobinjapgi (「效嚬雜記」).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