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R&D 지원수단의 정책적 선택 = 효율적 재정지출 vs. 시장친화적 조세지출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6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53-184(32쪽)
KCI 피인용횟수
2
제공처
기업의 연구개발 활동을 장려하기 위해 정부는 ‘정부주도의 목적사업’ 수행에 적합한 ‘재정지출’(subsidy)과 ‘시장기능 활성화’를 통한 광범위한 보조금 지급이 가능한 ‘조세지출’(tax credit)이라는 정책수단을 선택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두 가지 관점에서 현행 우리나라의 중소기업 R&D 지원정책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한 후 지원수단의 선택시 고려해야 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먼저 2004~2013년 기간 중 우리나라의 R&D 기업은 평균적으로 소규모화가 이루어졌으며, IT산업의 R&D 기업 비율이 20.4%에서 44%로 증가했다. 또한 낮은 기초연구비중과 높은 제품혁신 비율 등 연구개발비의 단계별 구성 비율(기초-응용-개발)과 용도별 구성 비율(제품혁신-공정혁신) 추이의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한편, 정부의 R&D 정책수단은 정부와 시장이라는 경제주체 주에서 누가 연구 과제를 선정 · 수행하는 것이 더 효율적인가에 대한 평가를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첫째, 조세지출 방식의 R&D 지원은 시장친화적이며, 행정비용의 절약이라는 장점을 가지나 효율적 예산과정의 통제를 받지 않는 정책수단이므로 주기적 점검과 평가로 투명한 관리가 가능해야 한다. 둘째, 재정지출을 통한 지원은 부처별 ‘예산이기주의식’ 관점에서 벗어나야 하며, 전문성과 선별능력의 강화를 수반해야 한다. 셋째, 단기 사업화가 어려운 기초과학에 대한 투자나 공공성이 높은 연구개발 투자 및 사회적으로 시급성을 요하는 분야는 ‘직접적인 재정지출’의 선택이 바람직하다, 넷째, 정부의 사업능력이 부족하다면 ‘어설픈 개입’(재정지출)보다는 ‘시장의 자발적 선택’(조세지출)을 통해 R&D 투자를 유인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그러나 연구투자 단계에 집중되어 있는 R&D 조세감면 수단을 창업 및 기술이전단계의 지원으로 유연하게 운용할 필요가 있다. 연구원 인건비에 집중된 현행 조세지출(전체 R&D 조세지출의 99%)도 설비투자에 대한 지원으로 확대하여 실질적인 R&D 투자의 활성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도개편이 필요하다.
더보기To resolve the market failure associated with a R&D underinvestment problem, two types of government intervention can be introduced. One is the ’financial supports’ (or subsidy) having purpose of business led by government; the other is ‘tax benefits’ (or tax credit) reducing tax for the encouragement of voluntary R&D activitie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D supports of Korean government and private R&D investment, and derives the policy implications that need to be considered when choosing the R&D policies. We find that, for the past 10 years between 2004 and 2013, R&D companies became smaller and the ratio of R&D companies of IT industry has been increased from 20.4 % to 44.4 %. However, there i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proportion on each R&D stage and purpose, which includes low ratio of fundamental research and high ratio of product innovation. We suggest policy implications about the R&D supports. First, the R&D tax reduction is a market-friendly policy that can also achieve low administrative expenses and comprehensive beneficiaries. However, it is required to have regular monitoring and evaluation system as tax subsidy is not controled by the efficient budget process. Second, for the government R&D expenditure, it requires the responsibility and high standard in the perspectives of the expertise. Third, with the government’s direct investment on R&D, it is possible to have a selective support on the business with high social benefits.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choose a R&D expenditure policy, for the basic research and public R&Ds. Forth, if the government officials cannot manage the R&D projects, it is recommended to choose the R&D tax expenditure policy. In this case, however, we should consider the limitation of a current policy, i. e., the support on business investment stage is accounted for 99% of records of the entire R&D tax reduction, but the support on start-up or technological transfer stage is limited.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8 | 0.58 | 0.7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1 | 0.81 | 1.23 | 0.15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