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의 “종심(從心)”과 장자의 “소요유(逍遙遊)”의 현대 노년학적 함의 = A study on the Confucius' "Jongshim" and Jiantsu's "Soyoyu" for the meaning of modern old ages
저자
김권환 (경동고등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69-87(19쪽)
KCI 피인용횟수
2
DOI식별코드
제공처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ompare and contrast the idea of 'Jongshimsoyokbulyugu' and 'Soyoyu' which is the highest state of learning proposed by Confuscius and Jiangtsu, and to explores the meaning in the life of modern old ages.
Aging is one of the oldest existential problems man has had faced. In particular, old people in modern society are faced with concrete problems of old age such as social alienation, loss of meaning, and loneliness. This study attempts to establish philosophical human model of aging people in order to find a clue to solving the problem. It wants to find the meaningful elements that constitute ideal state of life in old age in modern society, in 'Jongshim' and 'Soyoyu' of Confucius and Jiangtsu, the highest state of life that man can reach.
The follow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exist between 'Jongshim' and 'Soyoyu', the highest mental state proposed by Confucius and Jiangtsu. First, they are similar in that they both aspire the "highest level of freedom". However, while the former seeks proactive freedom, the latter the passive one.
Second, while the two ideas are similar in that people in that state can "freely communicate with others", the former attempts self-centered communication while the latter "other-centered" communication.
Third, while the two ideas are similar in that they both "affirm spiritual pleasure", the former seeks "pleasure of filling" while the latter "pleasure of emptying".
Fourth, while the two ideas are similar in that people in both stages "are engaged in real life", the former focuses on trying to live the "life of the saint" while the latter the "sound life".
The author's view is that Confucius' Jongshim and Jiantsu's Soyoyu can naturally merge to have the following implication for the modern ideal man in old age. First, the ideal old age must be close to the state of free man. Second, the ideal old state must succeed in communication with others. Third, the ideal old age must enjoy the philosophical pleasure which is balanced in "filling" and "emptying". Fourth, the ideal old age must be in balance of character and life, and must engage in the world properly.
본 논문은 공자와 장자가 제시한 수양의 최고 경지인 ‘종심소욕불유구’와 ‘소요유’를 비교하여 그 차이와 유사성을 고찰하고 이것들이 현대 노년의 삶에 주는 함의를 찾는 데 목적이 있다.
나이를 먹는다는 것은 인간이 맞닥뜨린 가장 오래된 실존적 문제 중 하나였다. 특히 현대의 노인은 사회로부터의 타자화, 노년의 존재 의미의 상실, 고독이라는 구체적인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본 연구는 나이 들어가는 주체의 철학적 인간상 수립을 통하여 본 문제의 해결 실마리를 찾고자 한다. 바로 공자와 장자가 제출한 인생의 최고 경계인 ‘종심’과 ‘소요유’에서 현대의 이상적 노년상을 구성하는 의미 요소를 찾고자 하는 것이다.
공자와 장자의 최고의 정신 경계인 종심과 소요유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유사성과 차이점을 보인다. 첫째, 두 경지가 모두 ‘수준 높은 자유를 추구한다는’라는 점에서 일치하지만 전자가 적극적 자유에 해당한다면 후자는 소극적 자유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두 최고 경지에서 주체는 모두 ‘타자와의 소통이 자연스럽다’는 점에서 일치하지만 전자가 자기중심적 소통을 시도한다면 후자는 타자 중심적 소통을 시도하는 방법을 취한다. 셋째, 두 경지는 ‘정신적 열락을 긍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일치하지만 전자는 채움의 열락을 후자는 비움의 열락을 추구한다. 넷째, 두 경지는 모두 ‘현실적 삶에 나름의 방식으로 참여하고 있다’는 점에서 유사하지만 전자가 성인(成仁)의 태도로 참여에 방점을 찍고 있다면 후자는 전생(全生)의 태도로 생명에 방점을 찍고 있다.
필자는 공자의 ‘종심’과 장자의 ‘소요유’는 자연스럽게 결합되어 현대 이상적 노년상 구성에 다음과 같은 함의를 가진다고 본다. 첫째, 이상적 노년은 자유인의 경지에 가까워져야 한다. 둘째, 이상적 노년은 타자와의 소통에 성공해야 한다. 셋째, 이상적 노년은 채움과 비움이 조화된 철학적 열락을 누리는 삶으로 채워져야 한다. 넷째, 이상적 노년은 인격과 생명을 조화시켜 세계에 적절히 참여해야 한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10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인문예술연구소 -> 인문예술학회영문명 : institute of Humanities and Art -> Humanities and Art Society | KCI등재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