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20세기에 진단한 한국 한문학의 실태 –일제강점기 기고 글을 중심으로 = The State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n the 20th Century: Focusing on Articles Contributed to Newspaper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저자
김보성 (원광대학교 한문번역연구소)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40(36쪽)
제공처
인문학의 위기는 꾸준히 거론되었다. 21세기를 처음으로 맞이할 무렵, 인문학자들은 과학과 공학의 위상이 높아진 상황에서 사이버문화에 필요한 인문학 연구를 모색하거나, 새로운 문학서비스 패러다임을 구축할 것을 권고했다. 20여 년이 흐른 현재에는 인공지능(AI) 시대에 걸맞은 인문학으로 거듭나기 위해 인문학과 과학의 연계를 적극적으로 시도하고 있다. ‘디지털인문학’이라는 새로운 분야가 개척된 것이다.
한문학은 한문으로 된 문학을 다루는 분야이자 한문으로 된 문헌을 이야기하는 학문이다. 즉, 한문학은 문학이라는 하나의 정체성을 넘어 여러 분야를 포괄하는 인문학의 성격도 지닌다. 따라서 한국 한문학의 과거 흐름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한국 인문학의 미래를 읽어내는 길이 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과거’는 한국 한문학의 위기를 처음 공개적으로 선언한 20세기 초반과 해방 전후 나라의 기틀이 신설되기 시작한 20세기 중반을 가리킨다.
20세기 초반에는 ‘한문학’과 ‘신문학’을 두고 논쟁이 벌어졌다. 1914년 6월 매일신보에 실린 윤상현의 「한문학의 쇠퇴」는 한국 한문학의 가치와 효용을 설파했다. 그는 신문학을 제대로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한문학에 정통해야 하며, 언론·사회·학계 등이 힘을 합쳐 청소년이 한문을 배우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같은 해 7월 매일신보에 실린 청엄의 「한문학 쇠티론을 읽고」는 윤상현의 글을 전면으로 반박했다. 인신공격에 가까운 비방이나 그중 서양인이 동양 서적을 수입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냉철히 분석하여 참조할 만하다. 20세기 중반에는 ‘한자’와 ‘한글’을 두고 의견 대립이 팽팽했다. 정래동의 「고전연구의 제문제」와 「한문교육에 관한 관견」은 ‘조선의 특수성을 강조하는 연구’와 ‘조선의 사실을 정리하는 연구’의 장단점을 파악하여 절충할 것, 중학교 한자교육의 체계를 정비할 것 등 한국 한문학 연구·교육의 방향을 제시했다.
이상의 20세기 초중반 글에는 현재에도 생각해볼 만한 화두와 적용해볼 만한 방안이 없지 않다. 한 세기 전에 이루어진 한국 한문학 담론을 거울삼아 21세기 한국 한문학이 나아갈 길을 꼼꼼하게 살피는 작업이 간과되어서는 안 된다.
The crisis of humanities has been consistently discussed. As the world entered the 21st century, scholars in the humanities recommended exploring humanities research necessary for cyberculture or establishing new literary service paradigms amid the increased prominence of science and engineering. Now, over 20 years later, efforts are actively made to transform humanities into a discipline suited for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by actively attempting to integrate humanities and science. This has led to the emergence of a new field called ‘digital humanities.’ Korean classical literature (韓國漢文學) refers to literature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and the study of documents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Thus, Korean classical literature encompasses various fields beyond the realm of literature, embodying the interdisciplinary nature of humanities. Therefore, accurately understanding the historical trajectory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may offer insights into the future of Korean humanities. Here, 'the past' refers to the early 20th century when the crisis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was first publicly declared and the mid-20th century when the foundation of the nation began to be established before and after liberation.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re was a debate betwee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nd ‘new literature.’ Yoon Sang-hyun’s “The Decline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published in the Maeil Shinbo in June 1914, criticized the value and utility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He argued that to properly accept new literature, one must be proficient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nd that the media, society, and academia should join forces to create an environment for youth to learn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In the same year, Cheong Eom’s “Reading the Theory of the Decline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n the Maeil Shinbo in July refuted Yoon Sang-hyun’s article entirely. It provided a thorough analysis of the reasons why Westerners import Eastern books, which could be considered a near-personal attack or defamation. In the mid-20th century, there was a fierce debate between ‘Chinese characters’ and ‘Hangul.’ Jung Rae-dong’s “The Core Issues of Classical Studies” and “Observations on Chinese Character Education” presented the direction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research and education, acknowledging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studies emphasizing the uniqueness of Korea and those organizing Korea’s facts.
The discussions in the early to mid-20th century still present topics worth considering and avenues worth exploring today. It is essential not to overlook the task of meticulously examining the path Korean classical literature will take in the 21st century by using the discourse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from a century ago as a mirror.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