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일개 한방병원에 내원한 산욕초기 산모의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분석 =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eases of Early Postpartum Women in a Korean Medicine Hospital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73-84(12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llect and analyze the KCD codes applied to the treatment of 27 postpartum women who had been treated with Korean traditional medicine in a Korean medicine hospital, so that this study may be used as a basic data for setting the direction of postpartum Korean medical treatment research.
Methods: It was approved by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of ⃝⃝ University medical center (IRB approval number : WSOH IRB H1708-02-01).
Twenty-seven postpartum women who had been treated at ⃝⃝ University medical center were received outpatient treatment for two weeks (from September 27, 2017 to January 5, 2018), and the KCD codes applied to the mothers were collected after obtaining the consent. On the day of registration of the study, the fertility, obstetric history and high-risk pregnancies were identified through an interview.
Results: 1. The mean age of the 27 subjects was 33.33±3.99 years old. Among the subjects, 17 mothers (63.0%) were high-risk pregnancy and 10 mothers (37.0%) were normal.
2. Among the 22 major disease categories, 8 categories were used. M code (musculoskeletal system) was used 243 times (70.85%), followed by R code (unclassified symptom) of 51 times (14.87%) and U code (special purpose code) of 23 times (6.71%).
3. The most commonly used code among the ten frequently used codes was M25.57 (joint pain, ankle and foot), a total of 47 times. Of the remaining nine codes, except for R60.1 (systemic edema) and U68.4 (The deficiency of yang in Bi), all codes were M codes (musculoskeletal system).
4. The M code (musculoskeletal system) was the most used major disease category in high-risk group, a total of 159 times. But in specific categories, the most commonly used code was R60.1 (systemic edema), a total of 28 times.
5. In normal group, the M code (musculoskeletal system) was the most used major disease category, a total of 84 times. Also, in specific categories, the most commonly used code was M25.57 (joint pain, ankle and foot), total 29 times.
6. The U code, corresponding to 'the diagnosis of childbirth and other obstetrical medical use', was used 23 times (6.71%), O code three times (0.87%) and Z code two times (0.58%), which was less than 10% of the total number of codes used.
Conclusion: When analyzing KCD codes related to Korean medicine treatment for postpartum diseases, it is important to select the KCD codes that reflect the actual clinical state.
목적 : 일개 한방병원에서 한의치료를 받은 산욕초기 27명의 산모를 대상으로 치료 시 적용된 KCD 코드를 수집, 분석하여 산후의 한의진료 자료구축 연구에 대한 방향 설정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방법 : OO대학교기관생명윤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이하 IRB)의 승인을 받아 실시하였다(IRB 승인 번호 (WSOH IRB H1708-02-01). 2017년 9월 18일부터 2018년 1월 5일까지 OO대학교 부속한방병원 한방부인과에서 한의치료를 받은 초기 산욕기 산모 27명의 동의를 얻어 2주간 외래를 방문하여 한의치료를 받을 때마다 적용된 KCD코드를 수집하였다. 연구등록당일에는 문진을 통하여 출산력, 산과력 및 고위험산모 여부를 확인하였다.
결과 : 1. 대상자 27명의 평균 연령은 33.33±3.99세였으며, 고위험 산모가 17명(63.0 %), 일반 산모가 10명(37.0 %)이었다.
2. 전체 22개의 질병 대분류 8개의 분류가 사용되었으며, M코드(근골격계통)가 243회(70.85%), R코드(달리 분류되지 않은 증상)가 51회(14.87%), U코드(특수목적 코드)가 23회(6.71%) 순이었다.
3. 다빈도 상위 10개 세분류 상병코드 중 가장 많이 사용 된 코드는 총 47회로 M25.57(관절통, 발목 및 발)이었고, 나머지 9개의 코드 중 R60.1(전신부종), U68.4(비양허증)을 제외하면, 7개의 코드가 모두 M코드(근골격계통)였다.
4. 고위험군의 질병대분류 또한 M코드(근골격계) 가 159회로 가장 높았으나, 세분류 상병코드 중 가장 많이 사용된 것은 총28회로 R60.1(전신부종)이었다.
5. 일반군의 질병대분류 또한 M코드(근골격계) 가 84회로 가장 높았으며, 세분류 상병코드 중 가장 많이 사용된 것은 총29회로 M25.57(관절통, 발목 및 발)이었다.
6. ‘분만 및 기타 산과 의료이용 진단코드’에 해당하는 U코드가 23회(6.71%), O코드가 3회(0.87%), Z코드가 2회(0.58%)사용되어, 전체 사용된 코드 건수의 10% 미만이었다.
결론 : 출산 후의 한방의료 이용질환에 관한 상병코드 분석 시, 실제 임상현장을 반영한 상병코드의 선정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8 | 0.38 | 0.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9 | 0.43 | 0.545 | 0.13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