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제주 지역개발의 비판적 성찰로서 문충성의 1990년대 시 연구 -생태지역주의(Bioregionalism)적 사유를 중심으로- = A Study of Moon Choong-sung’s 1990s Poetry as a Critical Reflection on Jeju Regional Development -Focusing on Bioregionalist Thought-
저자
이은란 (광운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65-98(34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본 연구는 제주 출신 시인이자 기자, 불문학자인 문충성(文忠誠, 1938~2018)의 1980년대 말~1990년대 시집에 드러난 근대 개발주의에 대한 저항으로서 ‘생태지역주의(Bioregionalism)’를 고찰하고자 한다. 생태지역주의는 실존적이고 구체적인 삶의 터전으로서 ‘지역’을 중시하며, 지역을 인간과 다양한 생물종들이 공거하는 장소이자 정치적 실천의 구심점으로 사유한다. 한국 사회에서는 1990년대에 이르러 중앙에 의해 주도된 지역 개발에 대한 비판과 지역화와 지역의 생태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지만, 독재 개발주의의 잔재와 세계화의 흐름은 오히려 지역 내에서 지방 유지와 기업의 영향력을 심화하고 지역공동체를 붕괴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했다. 특히 제주 4․3과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빨갱이의 섬’으로 낙인찍힌 제주도는 한국의 지역 개발이 가진 역사성을 뚜렷하게 보여주는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1980년대 말에서 1990년대 사이에 출간된 문충성의 시집은 생태지역주의적 의식을 바탕으로 제주공동체를 와해시킨 군사정권의 반공․개발주의, 그리고 자본주의의 세계화를 날카롭게 비판한다. 문충성의 시에서 ‘초가지붕’과 ‘슬레트 지붕’의 선명한 대조를 통해 드러나는 농촌근대화 정책과 새마을운동의 폭력성은 섬 전체의 생태계를 붕괴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산담’, ‘돌하르방’, ‘목석원’을 다룬 작품에 나타나듯이, 1970년대 이후 가속화된 제주의 관광 개발은 ‘보존’과 ‘폐기’ 사이에서 길항하는 모순적인 정책을 통해 공동체의 자연과 전통을 자원화한다. 또한 시인은 국가와 지역공동체의 첨예한 대립이 발생한 ‘탑동’과 ‘한라산’을 중심으로 전쟁과 학살, 개발주의에 작동하는 근대성의 폭압을 고발한다. 나아가 문충성은 ‘영등제(풍어제)’나 ‘쉼팡돌’과 같은 자연과의 수평적인 관계망으로 형성된 제주공동체의 의례와 전통을 시에 구현함으로써, 자연을 개발과 정복의 대상이 아닌 공동체의 일원으로 존중하는 제주인의 정신을 드러낸다. 시인의 작품에 나타난 생태지역주의는 국가 주도의 반공․개발주의에 대항하는 정치적 응전이자 문학적 실천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깊다. 더 넓게는, 인류 공동의 자원을 소유와 개발의 논리로 파괴하는 근대성의 폭력과 문명중심주의적 사고에 대한 저항으로 해석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Bioregionalism’ as resistance to modern developmentalism in the poetry of Moon Choong-sung, a poet, journalist, and French literature scholar born in Jeju, focusing on his collections published from the late 1980s to the 1990s. Bioregionalism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region” as an existential and concrete living foundation, regarding it as a place where humans and diverse species cohabitate and political praxis can be enacted. In South Korea, criticism of central-government-led regional development and growing interest in localization and regional ecology emerged in the 1990s. However, remnants of authoritarian developmentalism and the forces of globalization deepened the influence of local elites and corporations, contributing to the disintegration of local communities. Particularly, Jeju Island, stigmatized as the “island of communists” following the Jeju 4․3 and the Korean War, stands out as a region that vividly reveals the historical nature of Korea’s regional development.
Moon Choong-sung’s poetry of the late 1980s to the 1990s critically examine the anti-communist developmentalism of military regimes and the globalization through the lens of ecological regionalism. For instance, the stark contrast between the “thatched roofs” and “slate roofs” in his poetry highlights the violence of rural modernization policies and the Saemaul Movement, which contributed to the collapse of the island’s ecosystem. Furthermore, as seen in works addressing ‘sandam’, ‘dolharubang’, and ‘Moksokwon’, Jeju’s accelerated tourism development since the 1970s created contradictions between “preservation” and “disposal,” commodifying the community’s natural environment and traditions. The poet also critiques the oppressive modernity that underpins war, massacres, and developmentalism, focusing on contested sites such as ‘Tap-dong’ and ‘Hallasan’, where conflicts between the state and local communities were most acute. Moreover, through rituals and traditions such as ‘Yeongdeungje’ and ‘simpangdol’, which embody horizontal relationships with nature, Moon Choong-sung’s poetry reveals the spirit of Jeju’s people, who respect nature not as an object of exploitation but as a member of their community. The ecological regionalism in Moon Choong-sung’s poetry is significant as a form of political resistance and literary praxis against state-led anti-communist developmentalism. More broadly, it can be interpreted as resistance to the violence of modernity and civilization-centric thinking, which destroys humanity’s shared resources under the logic of ownership and development.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