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들뢰즈의 “표현” 개념으로 살펴본 아동 낙서(화)에 대한 현상학적 고찰 = The Empirical Phenomenology of Child Doodling,from the Viewpoint of Deleuzian Concept of “Expressio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91-119(29쪽)
제공처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아동의 낙서(화)를 들뢰즈의 “표현” 개념에 기반하여, 현상학적 방법으로 연구하는 것이다. 연구문제는 “아동은 낙서를 통해 낙서, 예술, 교육의 관계를 어떻게 인식하는가?,” “아동에게 낙서는 어떤 의미를 생성하는가?”의 인식에서 출발한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낙서(화)는 자발적으로 선택하는 표현이다. 낙서(화)는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주체적인 표현의 행위이며, “취미”이다. 낙서(화)는 자신을 표현하고 성장하는 자아로서 기록하는 표현이다. 둘째, 낙서(화)는 “아무 때나”와 “규율화된 시간”에 표현한다. 이것은 크게 도주선적 표현과 정주적 표현의 현상학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셋째, 낙서(화)의 표현 장소는 개체의 성향에 따라 “규율화된 장소성”과 “자유로운 장소성”으로 나타난다. 넷째, 낙서(화)의 도구는 연령별, 개인별 발달 정도에 따라서 달라지는 양상을 보인다. 또한 종이 매체를 넘어서 휴대전화 어플까지 다양한 매체를 사용한다. 다섯째, 낙서(화)의 목적은 세 가지로 나타났다. ① 무목적성, ② 타자를 향한 소통과 교류의 표현, ③ 그림의 일환으로서 낙서. 여섯째, 낙서(화) 체험의 본질은 의미와 무의미의 경계 사이에 놓여있다. 낙서가 때로는 “별 의미 없는 생각나는 대로의 행위”이기도 하고, “감정”을 새롭게 표현하는 행위이기도 하였다. 낙서는 대상을 이미지로 표현하는 조형예술이다. 낙서 표현은 살아있는 존재 실존의 흔적이자 “자신을 나타내는 본질적인 표현”이다. 아동 낙서(화)는 존재의 실존에서 우러나오는 다양한 속성들, 또 속성에 따라 나오는 다양한 표현들이 본질로서 현상한 것이다. 낙서는 성장하는 존재가 표현하는 하나의 현상이며, 표현은 인간 존재의 성장을 위한 실존의 방식이자 배움이다. 들뢰즈는 예술 창작을 배움과 연관 짓는다. 예술(낙서)은 새로운 세계를 창조하는 차이 나는 생성이며, 주체로 성장하는 배움의 기록이다. 따라서 미술교육은 세계를 재현하는 행위가 아니라 표현의 행위가 되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더보기This study addresses child doodling from empirical-phenomenology perspective, in 5W1H and on the basis of Deleuzian epistemology toward the concept of “expres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ncludes following points. First, the act of doodling is voluntarily chosen. That is, doodling expresses students’ subjectivity through its voluntary form of participation, and it is also a “hobby.” In addition, doodling expression is a type recording about self growth. Second, doodling is expressed either in random time or regularized time. By such time-interval difference, the doodling can be addressed from two different phenomenological approaches: one centered on the Deleuzian concept of line of flight, and the other centered on staticness. Third, the expression places for doodling are characterized as either “regularized site” or “liberal site,” depending on each individual’s tendency. Fourth, the tools for doodling vary by the stage of age and personal development. Also it covers various types of media including both printed one and mobile applications. Fifth,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several purposes of doodling such as non-purposefulness, communicative expression, and an alternative manner of drawing. Sixth, the essence of doodling experience is cast at the border between significance and non-significance. That is, the doodling is sometimes an improvised behavior coming from mind without special significance, but in other times it is an act to refresh one’s emotional expression. After all, it is a figurative art in which an object is expressed into an image. All these findings shows that doodling expression is a vestige of living existence, and also the essential expression of the self. As well, the child doodling is a phenomenon revealing essence of: (1) various attributes derived from existential presence, and (2) various expressions coming from such attributes. Doodling is a phenomenon expressed by children as they grow. It’s a way of expressing existence and learning. Deleuze says that art and learning are related. Art, doodling, allows for the subject to create new worlds, which are a record of the subject’s learning and growth. Taking account for all those, art education should be regarded not as the act to represent the world, but the act to create the expression.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