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21세기 한국의 팽창된 모성: 자식 장래를 위한 변주 = The Inflated Motherhood in 21st Century Korea: Variations for the Future of Children
저자
이미영(Mi Young Yi) (한남대학교) 연구자관계분석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59-193(35쪽)
제공처
이 소론은 한국 여성의 모성 경험에 대한 연구다. 현재 여성이 엄마가 되지 않으면 무가치한 삶이라는 모성 신화가 깨지고 있다. 동시에 자기 자식을 제대로 돌보지 못하고 타인을 존중하지 못하는 가해적인 모성이 난립한다. 한국 역사를 돌아보면 이상적인 모성이 변화하였다. 조선시대에는 입신양명한 아들을 키운 엄마가 훌륭한 어머니였다. 8.15해방과 6.25전쟁을 거치면서 부재하고 무능한 가장을 대신해서 자식을 지키고 키우는 억척스러운 엄마가 이상화되었다. 엄마는 자식의 장래를 위해서 뒷바라지하고 희생하는 것이 당연하였다. 산아제한으로 자녀수가 줄면서 엄마는 딸과 아들을 가리지 않고 집중해서 투자하고 올인한다. 21세기에는 소비주의와 SNS 영향으로 자식을 위해 소비하며 과시하려는 모성이 커졌다.
자식의 생명보존, 성장과 사회 적응능력을 위한 모성적 관행이 자식에게 유익하지만 때로는 가해적이기도 하다. 어떤 엄마는 자식에게 폭력적으로, 자기도취적으로, 희생적으로 심지어 냉담하게도 보일 수 있다. 마태복음의 세 엄마의 모성도 현재 한국의 모성과 다르지 않다. 연구자는 한국어의 ‘자식을 위하여’와 ‘자식 때문에’가 엄마와 자식 사이의 관계의 질을 보여주는 중요한 실마리로 보았다. 실제로 기독교인 엄마들의 문장완성으로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더하여 기독교인 엄마들이 자식을 위해서 어떤 내용을 기도하는지 살펴보았다.
자식의 장래가 자신의 업적이 된다고 믿는 엄마가 자신의 욕망이나 기대를 과하게 투입하는 모성을 ‘팽창된 모성’이라고 할 수 있다. 팽창된 모성은 자식에게 가해적이고 관계를 오염시키고 공동체를 와해시킨다. 팽창된 모성은 숙고와 목회신학적인 조율이 필요하다. 현실적으로 엄마가 ‘자식에게 주기’를 덜고 ‘자기 돌봄’을 더 해야 한다. 모성을 역할이 아니라 자식과 나누는 미학적 관계로 새롭게 바라본다. 자식과 엄마가 자유로워질 수 있으려면 계속 새로운 모성 상상하기가 요청된다.
This thesis is a study of Korean women's experiences of motherhood. The prevailing myth that a woman's life is worthless without motherhood is gradually being dismantled. Concurrently, there is a proliferation of harmful maternal behaviors characterized by neglect and disrespect towards their children and others. A historical overview of Korea shows the evolution of the ideal of motherhood. In the Joseon Dynasty, mothers who raised sons who achieved great success were considered exemplary. Following the liberation on August 15 and the Korean War, mothers who resiliently filled the void of absent or incapable fathers, protecting and nurturing their children, were idealized. Mothers were traditionally expected to support and sacrifice for their children's future. With the implementation of birth control policies and the subsequent decrease in the number of children, mothers began to invest more intensively in both sons and daughters. In the 21st century, influenced by consumerism and social media, there is an increasing trend of mothers spending and showing off for the sake of their children.
Maternal practices for preserving a child's life, growth, and ability to adapt to society are beneficial but sometimes harmful. Some mothers may appear violent, narcissistic, sacrificial, and even callous toward their children. The depiction of motherhood in the Gospel of Matthew, featuring three mothers, is not unlike the current state of motherhood in Korea. The researcher considers the Korean expressions 'for the sake of the child' and 'because of the child' as important clues in understanding the quality of the mother-child relationship. This was analyzed through sentence completion exercises conducted with Christian mothers. In addition, the study examined the content of prayers Christian mothers offer for their children.
A mother who believes her child's future achievements are her own may be described as having an 'Inflated motherhood,' characterized by an excessive investment of her desires and expectations. Inflated motherhood can harm the child, damage relationships, and disrupt communities. This Inflated motherhood calls for thoughtful reflection and pastoral-theological tuning. Realistically, mothers must reduce their focus on 'giving to their child' and increase 'self-care.' Motherhood should be re-envisioned not as a role but as an aesthetic relationship shared with the child. For mothers and children to become truly free, a continual reimagination of new forms of motherhood is necessary.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