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1980~90년대 인천의 소영화관 연구 - 영화관 입지의 지역별 분포를 중심으로 - = A Study on Small Movie Theaters in Incheon in the 1980s and 1990s - focusing on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movie theater locations -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7-43(37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This study aims to outline the history of small movie theaters in Incheon by examining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locations of small movie theaters in Incheon in the 1980s and 1990s. To this end, the Incheon area was divided into three regions: Nam-gu, Buk-gu, and Jung-gu and Dong-gu.
Chapter 2 examined the situation of local theaters in Incheon in 1981 and the background of the appearance of ‘small theater’. In 1970, the number of local theaters in Incheon was 18. However, by 1981, there were 13 locations. In the 1980s, the number of local theaters in Korea increased rapidly. This is because, through the performance law amended in 1981, it was legally possible to open a ‘small theater’ with less than 300 seats. As a result, many small movie theaters were opened in Incheon, and the number of local theaters increased again.
Chapter 3 reconstructed the development of small movie theaters in Incheon in the 1980s. The regional diffusion of the screening space was achieved by opening a small movie theater in an area where there was no movie theater. In the 1980s, a total of 19 small movie theaters were opened in Incheon. Nine of them were opened in Nam-gu. In this area, the distribution of locations of small movie theaters was spread along the east-west axis with ‘Jungang Geugjang’ as the center.
In Buk-gu, 7 small movie theaters were newly opened in the 1980s in addition to the existing 4 local theaters. In this area, the locations of small movie theaters were distributed along the north-south axis centered on Bupyeong Station.
In Jung-gu and Dong-gu, in addition to the existing 5 local theaters, 3 small movie theaters were opened. The locations of small movie theaters in this area showed that the distribution of the existing local theaters was maintained.
Chapter 4 reconstructed the decline of small movie theaters in Incheon in the 1990s. The popularization of video culture in the 1990s had a major impact on the decline of local theaters. The reorganization of the landscape of the theaters in Incheon is also related to this situation.
There are two major aspects of the change of small movie theaters in Incheon. One was to close the business, and the other was to change to a 'small video theater', a similar industry.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all small movie theaters with a single screen disappeared in Incheon.
이 연구는 1980~90년대 인천지역에서 소영화관 입지의 지역별 분포를 살펴봄으로써 인천지역 소영화관의 역사를 개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대상을 남구, 북구, 중구·동구의 3개 권역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1981년 인천의 지역극장 상황과 소영화관의 도입 배경을 살펴보았다. 1970년 인천의 지역극장 수는 18개소였다. 그러나 1981년에 이르는 동안 13개소가 되었다. 그런데 1980년대에 전국에서 지역극장의 수가 빠르게 증가하였다. 이것은 1981년에 개정된 공연법을 통해 좌석 수가 300석 미만인 ‘소극장’의 개관이 법적으로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인천에서도 많은 소영화관이 등장하며 지역극장의 수가 다시 증가하게 되었다.
3장에서는 1980년대 인천지역 소영화관의 지역별 전개 양상을 재구성하였다. 영화관이 존재하지 않던 지역에 소영화관이 들어선 것은 상영 공간의 지역적 확산을 가져왔다. 1980년대에 인천에서는 총 19개소의 소영화관이 개관하였다. 그중 남구에서 9개소가 개관했다. 이 지역에서 소영화관의 입지 분포는 중앙극장을 중심으로 동서축으로 확산한 형태를 보였다.
북구에서는 1980년대에 기존의 지역극장 4개소에 더해 소영화관7개소가 새로 들어섰다. 이 지역에서 소영화관의 입지 분포는 부평역을 중심으로 남북축으로 확산한 형태를 보였다. 중구·동구에서는 기존의 지역극장 5개소에 더해 소영화관 3개소가 들어섰다. 이 지역에서 소영화관의 입지는 기존 극장의 분포가 유지되는 형태를 보였다.
4장에서는 1990년대 인천지역 소영화관의 지역별 전개 양상을 재구성하였다. 1990년대에 비디오 문화가 대중화된 것은 지역극장의 퇴조에 큰 영향을 주었다. 인천 극장가의 판도가 재편된 것도 이러한 사정과 관계가 있다. 인천지역에서 소영화관의 변천 양상은 크게 두 가지로 나타났다. 하나는 폐업하는 것, 다른 하나는 유사 업종인 ‘비디오물소극장’으로 변경하는 것이었다. 결과적으로 인천지역에서 모든 소영화관이 사라졌음을 확인하였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3 | 0.63 | 0.5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8 | 0.53 | 1.059 | 0.0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