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한⋅중 ‘Studying’ 프레임 문화요소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the Cultural Elements of the ‘Studying’ Frame between Korean and Chinese using Text Mining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91-215(25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about the core and non-core elements set in the “Studying” frame of FrameNet based on Frame Semantics. FrameNet divides the core elements of “Studying” into Institution, Student, Subject and Teacher, and divides the non-core into Co-Participant, Participant, Depictive, Duration, Explanation, Intended Academic Credit, Level, Manner, Place and Time. This paper compares and analyz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cultural elements in Korean and Chinese with respect to factors excluding Period, Description and Time. This paper uses text mining based on ‘Sejong Corpus’ in Korean and ‘Chinese Treebank 9.0’ in Chinese to analyze the core and non-core elements set in FrameNet’s “Studying” frame.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Regarding ‘Institution’, both Korean and Chinese had something in common that ‘Academy’, a private education institution, was ranked at the top in addition to regular educational institutions.
Regarding ‘Students’, both Korean and Chinese have a common point that education for children is important.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that ‘Dai Han’, ‘Working Student’ is ranked at the top in Korean and ‘Foreign Student’, ‘Engineer’ in Chinese.
Regarding the ‘Subject’, both Korean and Chinese have something in common that ‘English and Computer’ are ranked at the top, placing importance on learning this subject. However, in Korean, foreign languages such as ‘Chinese, French’ and ‘Arithmetic, Mathematics’ subjects are ranked at the top, but in Chinese, ‘French’ is ranked at the top as a foreign language, and subjects related to ‘Math’ do not appear at the to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vocabulary referring to teachers in both Korean and Chinese regarding ‘Teacher’. However, it can be seen that China tends to strictly distinguish positions compared to Korea. It is a morpheme related to ‘Teacher’, and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mother-in-law’ appearing in Korean and ‘parents’ appearing in Chinese.
Regarding the ‘Intended Academic Credit’, both Korea and China have something in common that is closely related to ‘enter school’ or ‘employment’. In addition, it is noteworthy that the ‘revolution’ emerged as an academic intention in Chinese.
The place where education was conducted in both Korean and Chinese about ‘Place’ generally had something in common that it was a ‘classrooms’. In addition,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Temple’ reflecting the pre-2000s era appears in Korean, and ‘Juvie, factory and office’ appear as places in Chinese.
본고는 틀의미론(Frame Semantics)을 기반으로 한 프레임넷(FrameNet)의 ‘Studying’ 프레임에서 설정한 핵심요소와 비핵심요소에 대해 한국어와 중국어 사이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 분석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프레임넷은 ‘Stuyding’의 핵심요소(core)를 기관(Institution), 학생(Student), 과목(Subject), 교사(Teacher)로 구분하고, 비핵심요소(non-core)를 공동참여자(Co-participant), 묘사Depictive, 기간Duration, 설명Explanation, 학업의도Intended academic credit, 수준Level, 방식manner, 장소Place, 시간Time로 구분하고 있다. 본고는 이 중 기간, 설명, 시간을 제외한 요소들에 대해 한국어와 중국어에 나타난 문화요소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한다. 본고는 한국어는 ‘세종코퍼스’를, 중국어는 ‘chinese Treebank 9.0’을 기반으로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하여 프레임넷의 ‘Studying’ 프레임에서 설정한 핵심요소와 비핵심요소를 분석한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기관’에 대해 한국어와 중국어 모두 정규 교육 기관 이외에 사교육 기관인 ‘학원’이 상위에 랭크되어 있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따라서 한국과 중국 모두 사교육이 주요한 교육 기관 중 하나임을 알 수 있다.
2. ‘학생’에 대해 한국어와 중국어 모두 ‘학생, 제자’ 이외에 ‘아이, 어린이’ 등의 어휘가 상위에 랭크되어 있어 연령이 낮은 아이나 자녀에 대한 교육이 중시된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한국어에는 ‘따이한, 고학생’이, 중국어에는 ‘유학생, 엔지니어’가 상위에 랭크되어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3. ‘과목’에 대해 한국어와 중국어 모두 ‘영어, 컴퓨터’가 상위에 랭크되어 이 과목에 대한 학습을 중시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한국어에서는 ‘중국어, 불어’와 같은 외국어 및 ‘산수, 수학’ 과목이 상위에 랭크되어 있으나, 중국어에서는 ‘불어’가 외국어로서 상위에 랭크되어 있고, ‘수학’과 관련된 과목은 상위 순위에 출현하지 않는다는 차이점이 있다.
4. ‘교사’에 대해 한국어와 중국어 모두 교사를 지칭하는 어휘에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중국어에서는 직위를 나타내는 ‘副’가 추가된 어휘가 상위에 랭크되어 있어 중국에서는 한국에 비해 직책을 엄격히 구분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특기할 점은, ‘교사’과 관련된 형태소로 한국어에서는 ‘시어머니’가 출현하고, 중국어에서는 ‘부모’가 출현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5. ‘공동참여자’에 대해 한국어와 중국어 모두 ‘부모’나 ‘엄마’가 주요 공동참여자라는 공통점이 있다.
6. ‘묘사’에 대해 한국과 중국 모두 ‘열심히, 힘쓰, 스스로’ 등 학습 과정에서 보이는 상태가 비슷했다. 그러나 중국어에서는 ‘천천히(慢儿慢儿)’가 출현하지만, 한국어에서는 이에 대응하는 어휘가 출현하지 않았다.
7. ‘학업의도’에 대해 한국과 중국 모두 대체로 ‘진학’이나 ‘취업’과 밀접히 연관된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외에 중국어에서는 ‘혁명(革命)’이 학업 의도로 출현한 점이 특기할 만하다.
8. ‘수준’에 대해 한국어에서는 ‘초급, 중급, 우수’ 등 교육 수준을 표시하는 어휘와 자주 함께 출현하지만, 중국어에서는 ‘기초(基础), master’ 이외 어휘는 출현하지 않는다는 차이가 있다.
9. ‘방식’에 대해 한국어와 중국어 모두 공부 방식이 대체로 ‘모방, 암기, 연습’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10. ‘장소’에 대해 한국어와 중국어 모두 교육이 수행 ...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06-08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Society For Chinese Cultural Research -> The Society For Chinese Cultural Studies | KCI등재 |
2015-05-0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Chinese Cultural Research -> The Journal of Chinese Cultural Studies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2 | 0.32 | 0.2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5 | 0.23 | 0.549 | 0.0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