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상하이협력기구(SCO)와 러시아의 군사안보적 이해에 대한 고찰: 대(對)미 견제를 중심으로 = A Review on Shanghai Cooperation Organization(SCO) and the Military Safety Comprehension of Russia:FocusingonContaining US Influence
저자
윤영미 (평택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61-282(22쪽)
KCI 피인용횟수
3
제공처
The area of Central Asia during the Post-cold War Era has emerged as a chessboard of powerful countries for achieving global hegemony as Central Asia served many strategic functions, such as its abundance in energy resources for geo-economy, its geo-political advantages, and as a military key point important in strategy.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Manas Air Base in Kyrgyzstan in 2001, the United States got to be able to construct a new BTC oil pipe line that does not pass through Russia in 2005. It was able to use the Almati Air Base in Kazakhstan in 2008 as well. This means that the USA air Force and the NATO Air Force can directly provide support forth eir anti-terrorism operations in Central Asia, specifically in Kyrgyzstan and Afghanistan. Thus, Russia is containing the expansion of the political, economic, and military influence of the USA by maintaining its close relationship and increasing its cooperation with China in all aspects. Especially, Russia, centering on Shanghai Cooperation Organization(SCO), is enhancing its joint military, as well as economic and energy resource cooperation with other member nations in Central Asia, including China. Furthermore, Russia is focusing on its through SCO.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military comprehension in terms of Russian restraint on SCO, focusing on mult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based on the principle of multilateralism by Robert O.Kohane, JohnRuggie, and James Caporaso.
Recently, Russia is reducing the factors that threaten the safety of Central Asia and seeking to renew its relationship with the USA by negotiating for Strategic Arms Reduction Talks(START-1) with the USA and working out their missil edefense(MD) problems. The relationship between Russia and the US, which was referred to as the “New Cold War” during Putin’s regimeis currently in the process of renewal interms o f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However, a series of disarmament negotiations with Russia and the withdrawal of MD in Eastern Europe do not mean that the US’s influence in Eastern Europe has diminished. Accordingly, Russia will stick to the multilateral safety cooperation to minimize or exclude the US’s influence on the Eurasian continent. In other words, Russia will concentrate on actively and aggressively enhancing military security cooperation with member nations, including China, through SCO, and expanding mult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in SCO. In addition, Russiais expected to seek to improve the extension of the organization by expanding the number of member nations and strengthening its relationships as a strategic company focusing on the cooperation with China in terms of economy and energy resources. Eventually, with member nations, Russia will plan the rights and interest of member nations by jointly coping with the nuclear disbarment Russia is leading, the activities of international terrorism, separatism, and the threat posed by Islam extremism. Russia will concentrate its capability on containing US influence and building military trust centering on member nations, including China, by enhancing SCO’s regional role.
탈냉전기 중앙아시아 지역은 지경학적으로 풍부한 에너지자원과 지정학적으로 에너지자원 수송 지역이자 지전략적으로 군사적 요충지로 세계의 패권이 둘러싼 거대한 체스판으로 부상했다. 미국은 2001년 키르기스스탄에 마나스 공군기지 건설을 시작으로 2005년 러시아를 통과하지 않는 새로운 송유관인 BTC 노선의 건설과 2008년 카자흐스탄의 알마티 공군기지까지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미 공군과 나토 공군이 카자흐스탄에서 중앙아시아의 대테러전과 아프간 작전을 직접 지원할 수 있게 됨을 의미한다. 이에 러시아는 전방위적으로 중국과 긴밀한 관계 유지와 협력을 통해 동 지역에 대한 미국의 정치경제적 및 군사적 영향력 확대를 견제하고 있다. 특히 러시아는 상하이협력기구(SCO)를 중심으로 중국을 포함한 다른 중앙아시아 회원국들과 합동 군사훈련은 물론 경제 및 에너지자원 협력 등을 강화하고 있다. 더욱이 러시아는 SCO를 통한 ‘다자안보협력’ 구축에 주력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코헨인(Robert O. Kohane)과 러기(John Ruggie)와 카포라소(James Caporaso)의 다자주의(multilateralism) 이론에 기초해 다자안보협력을 중심으로 SCO에 대한 러시아의 대미 견제라는 관점에서 군사안보적 이해를 고찰해 봄에 있다.
최근 러시아는 미국과 전략무기감축(START-1) 협상과 동유럽의 MD 해결을 통해 중앙아시아 지역에 대한 안보위협 요소를 축소하고 새로운 관계를 모색 중이다. 푸틴 시기 ‘신냉전’으로 불릴 정도로 악화했던 러-미 양국관계는 화해와 협력의 ‘재설정(reset)’이 진행 중이다. 그러나 일련의 러시아와의 군축협상과 동유럽에서의 MD 철회가 미국의 동 지역에 대한 영향력의 축소를 의미하지 않는다. 따라서 러시아는 유라시아대륙을 중심으로 미국의 영향력을 최소화 내지 배제하려는 다자주의적 안보협력을 고수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러시아는 적극적이고 공세적으로 SCO를 통해 중국을 포함한 회원국들과 군사안보 협력 강화와 SCO의 다자안보협력의 역할 확대에 주력할 것이다. 또한 러시아는 SCO의 회원국 확대를 통해 동 기구의 외연을 증진을 도모하고 중국과의 경제 및 에너지 협력을 중심으로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공고히 할 것이다. 궁극적으로 SCO를 통해 러시아가 주도하는 핵군축, 국제테러 활동, 분리주의, 이슬람극단주의의 위협에 공동 대처함으로써 회원국의 권익과 안전을 도모할 것이다. 러시아는 SCO의 역할 강화를 통해 미국의 영향력 견제와 중국을 비롯한 회원국을 중심으로 군사적 신뢰 구축과 안보문제에 역량을 집중할 것이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3-15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세계평화통일학회 ->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영문명 : The Society of world Peace and Unification -> The Korean Association of Peace Studies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8 | 0.58 | 0.5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4 | 0.48 | 0.882 | 0.06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