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통의 확장: 국립박물관의 쉬운 전시 정보 제작 = Expansion of Communication : Creating Easy-to-understand Exhibition Information at National Museums
저자
류승진 (국립중앙박물관 전시과)
발행기관
학술지명
박물관과 연구(Bangmulgwan gwa yeongu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Journal))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900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40-61(22쪽)
제공처
The recent rise in interest toward accessibility improvement initiatives by national museums has highlighted the complexity of exhibition information as a key criterion for evaluating high-quality exhibitions. In this context, this paper explores the creation and application of easy-to-understand exhibition information implemented by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while also examining its sustainability and future direction.
Even before the recent accessibility improvement initiatives, the desire for easy-to-understand exhibitions was evident not only among visitors but also among museum curators responsible for organizing exhibitions. With the refinement of legal frameworks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 legal mandate was introduced requiring the use of easy-to-read materials to ensure information access right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response, museums have shifted their accessibility improvement efforts from focusing primarily on physical and sensory accessibility in spaces and facilities to enhancing intellectual and emotional accessibility across all information provided by museums. For example, the accessibility improvement initiatives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have evolved from developing resources for individuals with physical or sensory disabilities, such as Braille guides, sign language videos, and tactile exhibition objects, to providing clearer and more straightforward exhibition information using easy-to-read materials designed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owever, at present, easy-to-understand exhibition information is offered only in limited locations for a select user base, raising potential concerns about new forms of discrimination within exhibition spaces between those who have access to such information and those who do not. Furthermore, due to the academic nature of museum exhibitions, which are grounded in scholarly research outcomes, exhibition information is often unilaterally delivered by curators to visitors and can result in a lack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To address these issues,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made an all-out effort to provide comprehensive, unrestricted and easy-to-understand exhibition information during its December 2023 special exhibition titled Tree and Serpent, Early Buddhist Art in India. Creating easy-to-understand exhibition information that conveys engaging exhibition narratives in clear and accessible language for all, while upholding the objectivity of a public institution and ensuring inclusivity without discrimination for all, required constant communication among the various stakeholders involved in the exhibition. This effort demonstrated that easy-to-understand exhibition information for all visitors is achievable through the expansion of communication among all participants in the exhibition process.
최근 국립박물관의 접근성 개선 사업이 화두로 떠오르면서 전시 정보의 난이도는 좋은 전시의 평가 기준 중 하나가 되었다. 이 글에서는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도입한 쉬운 전시 정보의 제작과 활용 방식에 대해 살펴보고, 향후 지속 가능성과 방향성에 대해 생각해 보고자 한다.
쉬운 전시에 대한 열망은 접근성 개선 사업 이전에 이미 관람객뿐만 아니라 전시를 만드는 박물관 학예연구사들 사이에서 찾아볼 수 있었다. 장애인 관련 법적 제도 정비에 따라 발달장애인의 정보 접근 권리를 보장하는 읽기 쉬운 자료의 사용이 법적으로 의무화되었다. 이에 발맞추어 박물관의 접근성 개선 사업도 박물관의 공간과 시설에 대한 물리적·감각적 접근성 개선에서, 박물관이 제공하는 모든 정보에 대한 지적·정서적 접근성 개선으로 변화하고 있다. 예를 들어, 국립중앙박물관의 접근성 개선 사업도 지체 및 감각 장애인을 위한 점자 안내, 수어 영상, 촉각 전시품 등의 콘텐츠 개발에서, 발달장애인을 위한 읽기 쉬운 자료를 활용한 쉬운 전시 정보 활용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현재로서는 제한된 위치에서 선별적 대상에 한해 쉬운 전시 정보를 제공하고 있어, 전시실 안에서 쉬운 전시 정보를 사용하는 이와 그렇지 않은 이를 구분하여 새로운 차별이 발생할 우려도 있다. 한편 학술적 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하는 박물관 전시의 성격상, 전시 정보가 전시 기획자로부터 관람객에게 일방적으로 주입되어 전시 기획자와 관람객 사이의 소통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국립중앙박물관이 시도한 특별전 〈스투파의 숲, 신비로운 인도이야기〉의 전면적 쉬운 전시 정보 제공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누구나 쉽고 재밌게 즐길 수 있는 이야기가 있는 전시를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말로 전달하기 위해 모든 전시글을 쉬운 전시 정보로 변화하는 과정과 실제 사례 분석을 통해 주의할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누구도 차별하지 않고 공공기관의 객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쉬운 전시 정보를 만들기 위해서는 전시를 둘러싼 다양한 관계자들의 활발한 소통이 필요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모두를 위한 쉬운 전시 정보는 전시를 둘러싼 모든 이들의 소통이 확장될 때 비로소 가능해질 것이다.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