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조선 후기 선서(善書)의 수용과 유행의 요인 - 『증정경신록(增訂敬信錄)』과 『경신록언셕』의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 = Factors on the Adoption and Prevalence of Goodness Books(善書) in the Late Joseon - Focusing on the Content Analysis of JeungjungGyeongsinrok(增訂敬信錄) and Gyeongsinrokeonseok -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국제어문(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International Context)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6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8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99-126(28쪽)
제공처
조선 후기에 성행한 민간도교의 선서는 당대 사회의 동요에 대응하는 사상계·종교계의 대안의 하나였다. 경기도 양주 불암사에서 간행된 한문본 『增訂敬信錄』(1795)과 언해본 『경신록언셕』(1796)은 청나라에서 가장 유행한 선서인 『경신록』을 저본으로 간행된 조선 최초의 선서이다. 『증정경신록』은 역대의 중요한 선서와 권선문을 찬집한 선서의 종합으로서 높은 가치를 지닌다. 여기에는 권선징악과 인과응보의 교리를 비롯하여 생명윤리와 생활의학 등 다양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경신록언셕』은 『증정경신록』에서 민간에서 요긴하게 쓰일 만한 내용을 뽑고, 여기에 「행불비전공덕례」와 「공과격찬요」 등 功過格 계통의 선서를 補入하여 언해한 책이다. 『경신록』이 사찰에서 간행된 것은 권선징악과 인과응보라는 주제가 불교와 합치되기 때문이며, 특히 조선 후기 사찰의 주요 독서 대상이었던 『명심보감』과 내용상 공통점이 있어 『경신록』 수용에 도움이 되었을 것이다. 한편 『경신록』속의 靈驗記는 선악 응험의 경험담을 敍事文 형식 속에 담아내 독자들에게 오락성과 신뢰성을 동시에 주고 있어, 이것이 선서의 민간 파급에 영향력을 가졌음을 알 수 있다. 『증정경신록』과 『경신록언셕』은 선서가 대단히 성행한 고종 대1880년에 왕명으로 다시 간행·유포되었는데, 이로써 이 책들이 조선 후기 유통된 선서 중에서도 중시되었음을 알 수 있다.
더보기The Goodness Book of Folk Taoism was widely read during the late Joseon was one of the alternatives to thought and religion to cope with the social unrest of the time. JeungjungGyeongsinrok(增訂敬信錄, 1795) published in Bulamsa, Yangju, Gyeonggi-do and the Korean annotation version, Gyeongsinrokeonseok(1796) was the first Goodness Book in the Joseon based on Gyeongsinrok, Goodness Book that was most popular in the Qing dynasty. Gyeongsinrok has its high value as a collection of Goodness Books compiling cardinal chronicles of Goodness Books with didactic writings. Various contents of living ethics and living medicine as well as doctrines of `encouraging good and punishing evil` and `retributive justice` are in Gyeongsinrok. Gyeongsinrokeonseok is a book that has the content educed from Gyeongsinrok and requisite to the folk with Korean annotations supplemented with Goodness Book from the realm of Gongguoge(功過格) including Hangbulbijeongongdeokrye(行不費錢功德例) and Gongguoge-chanyo(功過格纂要) The reason that Gyeongsinrok was published in Buddhist temples was because of the subjects of `encouraging good and punishing evil` and `retributive justice` were in good accord with Buddhism, and especially for the adoption of Gyeongsinrok, helpful was the content of Gyeongsinrok common with Myeongsimbogam, one of primary reading objects in Buddhist temples in the late Joseon. In the mean time, Yeongheomgi(靈驗記) in Gyeongsinrok presented stories of experiences from `virtue and vice and retribution` in a narrative form which evoked amusement and confidence to readers, all of which are found to be an influence in far-reaching effects of Goodness Book to the folk. Gyeongsinrok and Gyeongsinrokeonseok were re-published and distributed in King Kojong in 1880 when the Goodness Book were much prevalent, and thus these books were found to be regarded as important among the Goodness Books in circulation in the late Joseon.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