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보육교직원용 다차원적 심리건강 검사 개발 및 타당화
저자
임효진(Hyo Jin Lim) ; 류재준(Jaejun Ryu) ; 어유경(Yookyung Eoh) ; 도례미(Ryemi Do) ; 강지현(Ji Hyeon Kang) ; 문수연(Sooyeon Moon)
발행기관
학술지명
인지발달중재학회지(Journal of cognitive Enhancement and Intervention)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주제어
KDC
3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73-98(26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직원의 심리건강을 평가하기 위한 자기보고식 검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또한 개발된 심리건강 검사의 문항과 요인에 있어서 어느 정도 신뢰도와 타당도를 보이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검사 개발과 타당화를 위해 선행연구와 문헌조사를 거쳐 144개의 예비문항을 구성한 뒤, 전국 대상의 20-50대 보육교직원 439명을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문항 내용분석, 상관분석, 신뢰도 검토 등을 통해 내용타당도를 확인하여 최종 115개의 본검사 문항을 확정한 뒤 보육교직원 623명을 대상으로 본검사를 실시하고, 자료에 대해 상관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사용하여 구인타당도(수렴타당도, 판별타당도), 준거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개발된 검사는 내용에 따라 환경과 개인,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을 고루 포함하여 8개 요인(직무환경, 직무소진, 성격강점, 성격약점, 내재화 문제, 조직화 문제, 심리적 안녕감, 대처전략)으로 구분되었고, 이에 따른 확인적 요인분석의 적합도가 양호하였고 표준화계수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수렴타당도와 판별타당도가 확인되어 해당 검사의 구인타당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어 기존 검사들(교사효능감, 직무만족, 조직몰입, 긍정정서)과의 준거타당도를 검토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패턴을 보여, 개발된 검사의 타당도를 전반적으로 확보하였다.
결론: 보육교직원의 직무 특성을 반영하여 이들의 심리건강을 측정할 수 있도록 개발된 검사는 보육교직원의 심리적 문제뿐 아니라 성격 강점과 자원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으며 양호한 심리측정적 타당도를 갖췄다. 개발된 검사가 보육 장면에서 두루 사용되어 보육교직원의 안녕과 영유아들의 복지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self-report inventory to assess the psychological health of childcare professionals. Additionally, the study also aims to evalu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items and factors within the developed psychological health assessment.
Methods: A preliminary set of 144 items was creat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review. The initial test was administered to a nationwide sample of 439 childcare professionals aged 20 to 50. Content validity was assessed through item content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liability checks, resulting in a final selection of 115 items. This finalized test was subsequently administered to 623 childcare professionals,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o verify construct validity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and criterion validity.
Results: The developed inventory included a balanced range of protective and risk factors across eight factors: work environment, job burnout, personality strengths, personality weaknesses, internalizing problems, organizational issue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coping skills.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dicated good model fit, and standardized factor coefficien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dditionally,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confirmed the inventory’s construct validity. Criterion validity was verified through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existing assessments, including teacher efficacy,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ositive affect, confirming the overall validity of the inventory.
Conclusions: The psychological health inventory developed in this study reflects the specific job characteristics of childcare professionals. It is designed to assess not only psychological challenges but also personality strengths and resources. The inventory exhibits robust psychometric properties and is expected to serve as a valuable tool in childcare settings in Korea, contributing to the well-being of childcare professionals and the welfare of young children.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