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체험경제이론에 기반한 스포츠 브랜드 팝업스토어 공간디자인 사례연구 -나이키, 아디다스, 푸마의 체험형 팝업스토어를 중심으로- = Case Study on Sports Brand Pop-Up Store Space Design Based on Experience Economy Theory -Focusing on Experiential Popup Stores of Nike, Adidas, and Puma-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29-346(18쪽)
제공처
본 연구에서는 현대 소비자의 니즈와 브랜드 마케팅에서 경험의 중요성 변화에 주목하여, 스포츠 브랜드 분야에서 급부상하고 있는 체험경제이론에 기반한팝업스토어 공간디자인을 연구하고 분석하였다. 스포츠 브랜드 팝업스토어 공간은 브랜드 문화와 제품 정보를 전파하는 중요한 채널이 되었으며, 체험경제이론의 도입은 소비자에게 독특한 경험을 제공하고 브랜드 인지도를 크게 향상시키며, 팝업스토어 공간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를 통해 스포츠 브랜드팝업스토어는 브랜드 가치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소비자와 깊은 관계를 형성할 수 있었다. 이러한 추세가뚜렷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스포츠 브랜드 팝업스토어 공간에서 체험경제이론이 어떻게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심층적이고 체계적인 학술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체험경제이론과 스포츠브랜드 팝업스토어 공간디자인의 개념 및 특성을 고찰하고, 스포츠 브랜드 관련 디자인 사례 분석을 통해스포츠 브랜드 팝업스토어 공간디자인의 발전 방향을모색하며, 브랜드 마케팅 전략 수립에 필요한 이론적참고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에 두고 있다.
연구 범위는 엔터테인먼트 체험, 교육 체험, 현실도피 체험, 미적 체험 등 체험경제이론의 표현 방식과스포츠 브랜드 팝업스토어의 공간적 특성에 대한 이론 조사 및 사례 분석을 포함한다. 연구 대상은 글로벌 100대 브랜드(Best Global Brands) 보고서를 기준으로, 스포츠 브랜드 가치 상위 3개사인 나이키, 아디다스, 푸마로 한정하여 현재 스포츠 브랜드 팝업스토어의 공간디자인을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은 관련 문헌 조사와 인터넷 검색을 통해체험경제이론과 스포츠 브랜드 팝업스토어 공간의 특성을 요약한 후, 체험요소와 팝업스토어 공간의 특성을 결합하여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체험요소 측면에서, 현실도피 체험이 팝업스토어 공간과 가장 잘 결합되었으며, 신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체험요소의 융합이 팝업스토어의미래 성장 가능성을 열어주는 방향으로 작용했다. 둘째, 팝업스토어의 공간적 특성에서 브랜드는 다양성을활용해 이미지를 강화하고, 희소성 전략으로 특별 기념일에 한정판 제품을 출시하여 장기적인 마케팅 효과를 도모했다. 마지막으로, 브랜드 전략 측면에서, 나이키와 아디다스는 체험요소 기반의 팝업스토어 디자인에서 성과를 거두었고, 푸마는 향후 상호작용 전략과 공간 배치 개선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것이다. 결론적으로, 팝업스토어 디자인은 브랜드 전략의 핵심 요소로, 다양한 체험적 요소와 공간적 특성의 결합을 통해 브랜드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체험경제이론은 스포츠 브랜드 팝업스토어의 공간디자인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기업마케팅을 촉진하는 핵심 요소가 되었다. 향후 체험경제이론에 기반한 스포츠 브랜드 팝업스토어 공간디자인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진행되면, 스포츠 브랜드의 마케팅 전략 아이디어에 중요한 촉진제 역할을 할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changing importance of experience in modern consumer needs and brand marketing. It examines and analyzes the pop-up store space design based on the experience economy theory, which is gaining prominence in the sports brand sector.
Sports brand pop-up stores have become an important channel for disseminating brand culture and product information. The introduction of experience economy theory has provided consumers with unique experiences, greatly enhanced brand awareness, and played a key role in the development of pop-up store spaces.
Through this, sports brand pop-up stores have been able to effectively convey brand value and build strong relationships with consumers. Despite this clear trend, in-depth and systematic academic research on how experience economy theory can be effectively utilized in sports brand pop-up store spaces remains insuffici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experience economy theory and sports brand pop-up store space design, examine design case studies related to sports brands, and seek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sports brand pop-up store space design, providing theoretical reference materials for brand marketing strategy formulation.
The scope of the study includes theoretical research and case analysis on the expressions of experience economy theory such as entertainment experiences, educational experiences, escapism experiences, and aesthetic experiences, as well a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sports brand pop-up stores. The study focuses on the top three sports brands—Nike, Adidas, and Puma—based on the Best Global Brands report, and analyzes the current spatial design of their sports brand pop-up stores.
The research method involves summarizing the characteristics of experience economy theory and sports brand pop-up store spaces through related literature and internet searches, followed by a case study combining experiential elements with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pop-up store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experiential elements, escapist experiences were the most effectively integrated with pop-up store spaces, and the combination of various experiential elements using new technologies opened up potential growth opportunities for pop-up stores. Second, in terms of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pop-up store, brands strengthened their image by leveraging diversity and employed a scarcity strategy, launching limited-edition products on special occasions to achieve long-term marketing effects. Lastly, from a brand strategy perspective, Nike and Adidas have achieved success with experience-based pop-up store designs, while Puma can enhance its competitiveness by improving interaction strategies and spatial layouts in the future.
In conclusion, pop-up store design is a key element of brand strategy, as it maximizes brand value through the combination of diverse experiential element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As the experience economy continues to grow, future research should explore more innovative ways to integrate new technologies and create deeper consumer interactions within pop-up store spaces. By enhancing the experiential aspects of pop-up stores and refining spatial designs, brands can better meet the evolving needs of consumers and maintain a competitive edge in the marketplace.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