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대학 글쓰기에서의 ‘계획하기’ 단계 수업 사례 연구: 발견 학습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lanning’ Stage in University Writing: Focus on Heuristics
저자
한주희 (충남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419-436(18쪽)
제공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글쓰기의 ‘계획하기’ 단계를 ‘발견 학습’에 기반하여 설계하고 운영한 사례를 소개하고 그 결과와 효과를탐색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D광역시에 소재한 C대학교 학생 196명을 대상으로 2023년 2학기부터 2024년 2학기까지 대면으로 진행한 교양 필수 과목 기초글쓰기 강좌에서 수행한 ‘계획하기’ 단계를 소개하였다. McComiskey가 주장한 ‘사회 과정 글쓰기’의 방법인 ‘발견 학습’을 차용하였으며 이를 적용한 교육 모형을 설명하였다. ‘계획하기’ 단계에서 학생들이 활동한 결과물을 분석하였고, ‘발견학습’에 기반한 학습자의 맥락 중심 학습 과정을 전제로 한다.
결과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화제를 사회맥락적 차원에서 분석하여 자신이 쓸 글의 주제와 목적을 명확히 설정할 수 있었다.
둘째, 자료를 다각도로 이해하고 분석하여 능동적⋅비판적 읽기가 가능하였다. 셋째, 주제와 내용의 괴리가 적은 개요 작성이 가능하였다. 넷째, 동료 학습을 통해 공동체적 담론으로 확장된 대안을 생산하였다.
결론 ‘발견 학습’에 기반한 ‘계획하기’ 교육은 과정 중심 글쓰기가 지닌 단계별 교육법의 한계를 보완하고 주제나 자료가 지난 사회⋅ 문화적 가치를 비판적 담론에 근거하여 자기 관점을 논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협력학습을 동반했을 때 상호작용의효과와 담론적 중재 효과가 배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examples of designing and operating the ‘planning’ stage of university writing based on ‘Heuristics’ and to explore its results and effects.
Methods To this end, a study was conducted on writing courses conducted from the second semester of 2023 to the second semester of 2024 targeting freshmen at C University in D Metropolitan City. And in the writing course, it was introduced focusing on the ‘planning’ stage. We borrowed ‘Heuristics’, a method of ‘social process-writing’ created by McComiskey, and explained an educational model applying it. The results of students' activities in ‘Planning’ were analyzed. And it presupposes the learner's context-oriented learning based on ‘Heuristics’.
Result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y analyzing the topic from a social context level, they were able to clearly set the subject and purpose of their writing. Second, by understanding and analyzing the data from vari ous angles, active and critical reading activities were possible. Third, it was possible to create a harmonious over view of the subject and content. Fourth, a solution for the community was produced through collaboration learning.
Conclusions The ‘planning’ education based on ‘discovery learning’ supplemented the limitations of existing uni versity writing. And the social value of the subject or material could be viewed critically. The value of this study is that learners can argue their perspectives based on this. In addition, cooperative learning showed the effect of interaction and discourse mediation.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