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종양의 임상 및 병리조직학적 검색 = A Clinico-pathologic Study of Bone Tumor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1980
작성언어
Korean
KDC
510.000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63-274(12쪽)
제공처
소장기관
1970년 1월부터 1979년 12월까지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 교실에서 검색된 총 124례의 골종양 및 유종양병소를 임상적 및 병리 조직학적으로 검색분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성별분포는 남자 71례(57.3%), 여자 53례(42.7%)로 성별간에 큰차이가 없었으나 남자가 약간 우세한 경향을 보였다.
2. 연령분포는 10∼19세에서 35례(28.2%)로 가장 높았다.
3. 종양별 빈도는 원발성 양성골종양 및 유종양 병소, 57례(46.0%), 전이성 악성골종 39례(31.4%) 원발성 악성골종 28례(22.6%), 순이었다.
4. 원발성 양성골종 및 유종양 병소에서는 골연골종이 12례(21.0%), 거대세포종이 12례(21.0%)로 가장 많았고 연골종(19.2%)의 순이었다. 원발성 악성골종양에서는 골원성육종이 13례(46.4%)로 가장 많았고 연골육종, Ewing씨 육종, 악성 임파종 및 섬유성 육종이 각각 3례(10.7%)순이었다.
전이성 악성종양은 1례의 악성흑색종을 제외하고는 모두 상피성 암종에 속하였다.
5. 종양별 연령분포는 원발성 골종에서는 10∼19세가 35계(41.2%)로 가장 높았고 전이성 악성골종은 50∼59세에서 15례(38.5%)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6. 원발성 양성골종 및 유종양병소 중 가장많은 골연골종은 남자가 여자보다 11 : 1로 많이 발생했으며 10∼29세가 10례(83.3%)로 가장 높았으며, 원발성 악성종양중 가장 많은 골원성육종도 남자에서 5 : 1정도로 호발되었으며 10∼19세 및 20∼29세에서 각각 4례(30.8%)로 가장 발생빈도가 높았다. 전이성 악성골종의 남녀의 비는 거의 동일했으나 남자가 51.3%로 약간 많았다.
7. 원발성 골종양은 경골에서 23례(27.1%), 대퇴골에서 22례(25.9%)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전이성 악성종양은 대퇴골과 악골에 각각 9례(23.1%)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이 늑골, 척추의 순이었다.
8. 초진시의 주증상은 종괴 및 종창, 동통 및 압통의 순으로 관찰되었다.
이상의 소견을 종합하여 보면 본검색의 골종양분포는 외국의 보고 및 우리나라의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와도 유사하였다. 다만 외국에서 많이 발생하는 다발성 골수종이 본 검색에서는 1예도 없었으며 우리나라의 타 보고에서도 그 빈도가 낮았던 것이 특기할 차이로서 이 문제는 앞으로 많은 검토가 요망된다고 하겠다.
(이 논문의 자료작성에 노고를 아끼지 않았던 김용진 선생에게 감사드린다.)
Neoplasms of bone occur sporadically and the management of certain tumors of bone remains as one of the most perplexing problems of clinical medicine despite a therapeutic measures including ablative surgery, with or without radiotherapy and chemotherapy. Much problems for precise diagnosis of bone tumors were written in recent years. In spite of significant advances in the roent genologic diagnosis of the bone tumors, X-ray findings alone are sometimes misleading. The precise pathological diagnosis is the crucial determining factor in planning appropriate treatment.
Histopathological studies were made on 124 cases of bone tumors and tumor-like lesions, were submitted to the Department of Pathology, College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uring the period of 10 years, from Jan. 1970 to Dec. 1979.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ex distribution of bone tumor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that of the male, 71cases(57.3%) and of the female, 53 cases(42.7%)
2. The age distribution of bone tumors revealed 10-19 years (28.2%) in peak age.
3. Among the histological distribution of bone tumors, 57 cases (46.8%) were primary benign bone tumors with tumor like lesions, 28 cases (22.6%) were primary malignant bone tumors and 39 cases (31.4%) were metastatic bone tumors.
4. Osteochondroma and Giant cell tumor were the most frequently encountered primary benign bone tumor (12 cases, 21.0% each), followed by chondroma (11 cases, 19.2%). Osteogenic sarcoma was the most frequently encountered primary malignant bone tumor (13 cases, 46.4%), followed by chondrosarcoma, Ewing's sarcoma and malignant lymphoma (3 cases, 10.7%. each)
5. The peak age incidence of primary bone tumors was 10-19 years (35 cases, 41.2%) and of metastatic bone tumors was 50-59 years (15 cases, 38.5%)
6. Among the primary benign bone tumors and tumor-like lesions, osteochondroma was most frequent and marked male predominence (11.1) and peak age incidence was 10-29 years (10 cases, 83.3%). Osteognic sarcoma was the most frequent primary malignant bone tumor and showed male predominence (5 : 1), and peak age incidence was 10-19 years and 20-29 years (4 cases, 30.8%. each).
7. Primary bone tumors arised most commonly in the tibia (23 cases, 27.1%), followed by femur (22 cases, 25.9%). The most common sites of the metastatic bone tumors were femur and jaw bone (9 cases, 23.1%, each).
8. Clinical symptoms and signs were palpable mass and swelling, pain and tenderness, etc. in order of frequency.
In summary, these findings were similar to various reports in other countries, except for multiple myeloma.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