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단일서사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개별 이미지 연구 = A Study on Several Images linked through Mono Narrative: Focusing on the Way of the Cross (a.k.a. Via Dolorosa)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주제어
KDC
001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3-56(24쪽)
제공처
질베르 뒤랑이 말했듯이, 지금은 ‘이미지 범람의 시대’이다. 따라서 전통적으로 현실에 비해 열등하다고 여겨지며 허상 정도로 받아들여져 온 이미지는 현대 철학에 이르러 ‘표상과 사물 사이의 존재’라고 여겨지면서 많은 담론을 낳고 있다. 그런데 오늘날 이미지는 ‘표상과 사물 사이의 존재’를 넘어 점차 표상(재현)도 사물(구체적 대상)도 아닌 그저 (인식의)통로로서 기능하며 변모돼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의미를 담은 기호가 기존 문자 텍스트에서 이미지(이미지 텍스트)로 확대되고 있다는 의미다. 즉, 오늘날의 이미지는 과거 시대의 문자 텍스트처럼 의미를 전달하는 매개체, 즉 매체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십자가의 길’은 이러한 경향을 보여주는 좋은 예다. 예수 수난의 현장을 기억하기 위한 ‘십자가의 길’은 기독교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는 역사적 순간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는 공간스토리텔링의 현장이자, 복수의 개별공간이 단일서사로 이어진 이미지 집합체이며, 다양한 형태와 형상으로 변주되어 나타나는 기념물이기도 하다. ‘십자가의 길’은 강렬한 서사가 담긴 이미지가 공간을 지배하고 공간 스토리텔링을 이끈다는 점에서 ‘이미지텔링’의 현장이라고 할 수 있으며, 거기서 도출할 수 있는 이미지의 매체성에 대한 논의는 향후 특정 이미지가 몇몇의 기의들과 이어지는 과정 및 분리되는 과정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이 글은 오늘날 이미지가 미디어의 성격을 띠며, 그렇기 때문에 특정한 이미지들은 트랜스미디어적 속성으로 기의들과 연결되고 있음을 고찰하기 위한 시리즈 연구의 첫 번째 탐구이다. 이미지가 미디어적 속성을 가짐을 고찰하는 전통적인 관점들을 수용하며 정리하기 위해 ‘신화’와 ‘현재적 경험서사’의 특성을 동시에 보여주고 있는 가톨릭의 ‘십자가의 길’을 주요 연구대상으로 삼아 오늘날 이미지가 갖는 특질에 대한 논의의 문을 열고자 한다.
더보기As Gilbert Durang said, this is the age of image flooding. Therefore, the image, which has traditionally been regarded as inferior to reality and has been accepted as an illusion, is regarded as a “existence between representation and object” in modern philosophy, generating a lot of discourse. However, today's image is gradually transforming beyond the “existence between representation and object” by functioning as a channel of (recognition) rather than a representation (reproduction) or an object (specific object). This means that symbols containing meanings are expanding from existing text to images (image text). In other words, today's image functions as a medium, that is, a medium, that conveys meaning like text in the past era. The Way of the Cross is a good example of this trend. The “Way of the Cross” to remember the scene of Jesus' suffering is the site of spatial storytelling that tells the story of the most important historical moment in Christianity, a collection of images that lead to a single narrative, and a monument that appears in various shapes and shapes. “The Way of the Cross” can be said to be the site of “imagetelling” in that images containing intense narratives dominate space and lead to spatial storytelling, and discussions on the media nature of images that can be derived from it will provide insights on the process and separation of certain images in the future. This article is the first exploration of a series of studies to consider that images today take on the character of media, and that is why certain images are linked to symbols with transmedia attributes. In order to accommodate and organize traditional perspectives that examine images have media attributes, we would like to open the door to discussions on the characteristics of today's images by using Catholicism's “Way of the Cross,” which simultaneously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myth” and “real time-experience narrative.”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