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추천 알고리즘의 이유 제공 방식에 따른 사용자 경험 연구 -동영상 추천 플랫폼을 중심으로- = A study on user experience according to the way of providing reasoning for recommendations -Focused on the video recommendation platform-
Living in an information society, people tap into state-of-the-art technology, specialized in various fields. For example, the AI algorithms can be used to recommend a variety of contents in some platform services but the way of recommending the unilateral contents is controversial. Thus,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user experience varies in accordance with the way of providing a reason for recommendation. Through the case analysis, the way of providing a reason for recommendation was divided into 'no information-type', 'message-type', 'tooltip-type', and 'report-type'. Also, the survey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usefulness, reliability, satisfaction, and intention of continuous use the recommended algorithms. According to the way of providing a reason for recommendation, user experience was different, especially, 'report-typ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user experience factors compared to the 'no information' type. This study confirmed that it is necessary to explain the outcome of the recommendation algorithm by experimentally verifying the user experience from the way of providing a reason for recommendation. It is essential that the operating function of the recommendation algorithms come together with user's right to know, which is contributing to practical usefulness and enjoyment, suggesting the direction of use based on reliable value.
더보기정보 사회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고도화된 전문 기술을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다. 그중 알고리즘은 뉴스, 음악, 영상 스트리밍 등 추천 서비스에 활용되어 사용자에게 선택의 편리함을 제공한다. 그러나 사용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콘텐츠가 일방적으로 추천되는 방식에 대해 논란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추천 알고리즘의 추천 이유 제공 방식에 따라 변하는 사용자 경험을 살펴보았다. 사례 분석을 통해 추천 이유 제공 방식을 '정보없음형', '메시지형', '툴팁형', '리포트형'으로 구분한 후 유형별 실험물을 제작하여 추천 알고리즘의 이유 제공 방식에 대한 유용성, 신뢰도, 만족도, 지속사용의도에 대한 설문 조사와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추천 알고리즘의 이유 제공 방식에 따라 사용자 경험은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리포트형'은 현재 추천 서비스와 유사한 '정보없음형'과 비교해 모든 사용자 경험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는 추천 알고리즘의 이유 제공 방식에 따른 사용자 경험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추천 알고리즘의 결과를 설명하는 것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추천 알고리즘의 사용 목적이 기능적 유용성과 즐거움 제공에서 사용자들의 알권리를 충족시켜 신뢰 가치를 바탕으로 한 활용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