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KCI등재

    무령왕릉 출토품의 미술사 연구 현황과 과제 = Art Historical Review on the Study of Artifacts from the Tomb of King Muryeong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The Tomb of King Muryeong was excavated at the Songsanri Tomb sites in Gongju city in 1971. The tomb owner was King Muryeong and his Queen consort of the Baekje Kingdom who lived in the early sixth century CE. Given the inscriptions from the tomb, it has been identified as the only undisturbed and clearly dated royal tomb in Baekje as well as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Korea. All artefacts from this tomb are the most important primary material resources for understanding the cultural history of the early sixth century, as absolute chronological datum were very rare during the period in Korea as well as in East Asia. Many scholars in Korea and Japan in various fields have seriously studied the artefacts from the tomb since its excavation. In this paper,I attempted a critical review of these previous studies over fifty years by focusing on the art historical view and future tasks.
    For the artefacts in the Tomb of King Muryeong are important archaeological findings, most previous scholars have studied these artefacts using the hybrid methodology of archaeology, history, art history, or material culture studies. Most subject artefacts from previous studies can be divid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ir original material identities: 1 ceramics, 2 metalcrafts, 3 other material objects, 4 paintings and pattern designs. The last group, paintings and pattern designs, is the most important and characteristic group to research from an art historical view, for they can be studied and interpreted to understand the ideological background through iconological and iconographical analysis.
    The most recent interesting researches in this art historical view are focused on the iconographical identifications and interpretations of the pattern designs of the royal couple’s gold crown ornaments and bronze mirrors. Such new studies have revealed that the Baekje's material culture in the period of King Muryeong show wider, complex, and direct international relationships with Goguryeo and the northern China Beiwei Buddhist culture than previous studies, which only disclosed limited relationships with southern China or Daoism. Future research tasks concerning these artefacts should be processed in light of the contemporary international cultural relationships and identity of Baekje in East Asia.

    더보기

    1971년 공주 송산리 고분군에서 발굴 조사된 무령왕릉은 6세기 전반의 절대 연대를 가진 백제 왕실의 도 굴되지 않은 유일한 고분이다. 여기에서 출토된 각종 출토품들은 절대편년자료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삼국시 대 6세기 전반의 문화를 연구하는 데에 가장 중요한 기준작들로서, 발굴이후 50여년간 다양한 장르의 학자들 에 의해서 심도깊게 연구되어 왔다. 이 논문에서는 무령왕릉의 발굴 이후 2021년까지 진행된 연구들 중에서 특히 미술사적 관점에서 진행된 연구 성과들을 중심으로 연구 현황과 향후 과제들을 살펴 보았다.
    현존하는 무령왕릉 출토품들은 고고학적 발굴품이므로, 발굴 당시의 맥락을 고려하면서 연구될 필요가 있 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연구는 미술사와 역사학, 고고학의 복합적 방법론을 응용하여 진행되어 왔다. 이중에 서도 미술사적 연구의 대상이 되는 주요 작품들은 재질별 성격에 따라 1도자기, 2금속공예품, 3기타 공예 품, 4회화 및 문양 등 네 종류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그중에서도 특히 미술사의 독특한 연구 방법론인 도상학 과 도상해석학적 분석은 주로 출토 유물들에 표현된 회화 및 문양의 형상 분석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무 령왕릉의 사상적 배경을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단서가 된다. 최근 연구들 중에서 가장 주목되는 것은 무령왕 릉 출토품 중에서도 특히 중요한 왕과 왕비의 관식과 동경 도상 분석 연구를 통해서 무령왕 시대의 문화가 매 우 광범위하고 다양한 국제 교류 양상이 이루어졌으며, 특히 남조보다도 중국 북방의 북위 및 고구려의 불교 문화와 관련된 도상들이 확인되었다는 점이다. 이들에 대한 향후 연구는 좀 더 동시대 국제적 관계와 문화적 상황을 고려하여 백제 문화의 정체성을 새롭게 살펴보면서 진행될 필요가 있다.

    더보기
    • 1 穴澤和光, "龍鳳文環頭大刀試論"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7 : 229-264, 1976
    • 2 유혜선, "한반도의 흑옥제품 출토 현황, 무령왕릉을 格物하다" 국립공주박물관 194-291, 2011
    • 3 김원용, "한국미술의 역사 - 선사시대에서 조선시대까지" 시공사 2003
    • 4 李蘭暎, "한국 고대의 금속공예"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2
    • 5 유혜선, "채색 및 감장 안료 분석, 武寧王陵 출토 유물 분석 보고서 (I)" 국립공주박물관 7-59, 2005
    • 6 국립공주박물관, "진묘수 - 고대 동아시아 무덤의 수호신" 국립공주박물관 2018
    • 7 조효숙, "직물의 종류와 제직 특성, 무령왕릉 출토유물 분석보고서(I)" 국립공주박물관 128-167, 2005
    • 8 이한상, "장신구 사여체제로 본 백제의 지방지배" 서경문화사 2009
    • 9 국립경주박물관, "오색영롱 한국 고대 유리와 신라" 국립경주박물관 2020
    • 10 차순철, "삼국시대 고분에 나타난 불교미술" 한국불교미술사학회 (53) : 113-140, 2019
    • 11 최기은, "비파괴 분석법을 활용한 무령왕릉 출토 금제유물의 제작 특성 연구, 武寧王陵 출토 유물 분석 보고서 (III)" 국립공주박물관 133-199, 2007
    • 12 김규호, "비파괴 분석법에 의한 무령왕릉 도자기의 특성 고찰, 武寧王陵 출토 유물 분석 보고서(II)" 국립공주박물관 245-271, 2006
    • 13 이송란, "백제 한성시기 금속공예의 투각 연속육각문의 수용과 전개" 백제문화연구소 1 (1): 205-233, 2012
    • 14 주경미, "백제 사리장엄과 동아시아 불교문화"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74-103, 2016
    • 15 주경미, "백제 불교금속공예의 양상과 특징"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10 (10): 1-41, 2009
    • 16 조효숙 ; 이은진 ; 전현실, "백제 무령왕릉 출토 金銅履 수착 직물 연구" 한국복식학회 57 (57): 2007
    • 17 샤오레이, "백제 무령왕릉 출토 도자기의 효용과 조형(造型) 및 출처 등 문제, 武寧王陵 새로운 반세기를 준비하며" 공주시·국립공주박물관·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158-219, 2020
    • 18 박서영, "백제 무령왕릉 두침과 족좌의 용도와 성격" 한국미술사학회 289 (289): 05-34, 2016
    • 19 심연옥, "백제 무령왕릉 금(錦) 신발 재현을 위한 제작기법 분석연구, 武寧王陵: 새로운 반세기를 준비하며" 공주시·국립공주박물관·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73-106, 2020
    • 20 장남원, "백제 무령왕릉 埋納 중국도자의 성격과 제작지, 武寧王陵 출토 유물 분석 보고서(II)" 국립공주박물관 221-243, 2006
    • 21 이송란, "백제 무령왕과 왕비 관의 復元試論과 도상, 무령왕릉 출토유물 분석보고서 (II)" 국립공주박물관 43-183, 2006
    • 22 이귀영, "백제 금속공예 제작기법의 전개양상" 백제학회 2 : 155-184, 2009
    • 23 이송란, "백제 金花 冠飾: 가시화된 세계수" 한국미술사교육학회 38 : 45-69, 2019
    • 24 마르시아 포인턴, "미술사학 입문" 동문선 2000
    • 25 로리 슈나이더 애덤스, "미술사방법론" 서울하우스 2014
    • 26 앤 댈리바, "미술사 방법론과 이론" 비즈앤비즈 2015
    • 27 주경미, "미륵사지 석탑 사리장엄구의 구성과 의의" 백제연구소 (59) : 73-114, 2014
    • 28 姜友邦, "무령왕릉을 格物하다 - 무령왕릉 발굴 40주년 기념 특별전" 국립공주박물관 146-175, 2011
    • 29 김영심, "무령왕릉에 구현된 도교적 세계관" 한국사상사학회 (40) : 211-251, 2012
    • 30 김나영 ; 이윤희 ; 김규호, "무령왕릉 출토 황색 및 녹색과 박 유리구슬의 고고화학적 고찰" 백제문화연구소 1 (1): 83-109, 2011
    • 31 유혜선, "무령왕릉 출토 탄목제품의 과학적인 분석을 통한 명칭재고 및 한반도 내 출토 현황 검토" 백제문화연구소 1 (1): 33-66, 2012
    • 32 朴承元, "무령왕릉 출토 직물의 종류와 성격, 무령왕릉을 格物하다" 국립공주박물관 202-2017, 2011
    • 33 국립공주박물관, "무령왕릉 출토 유물 분석보고서(II)" 국립공주박물관 2006
    • 34 주경미, "무령왕릉 출토 금속공예품의 현황과 의의, 武寧王陵: 새로운 반세기를 준비하며" 공주시·국립공주박물관·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112-149, 2020
    • 35 이귀영, "무령왕릉 출토 관식 재검토" 한국고대사학회·국립공주박물관·공주대학교역사박물관·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75-97, 2021
    • 36 권오영, "무령왕릉 진묘수의 계보와 사상적 배경, 武寧王陵 출토 유물 분석 보고서(II)" 국립공주박물관 89-141, 2006
    • 37 최수빈, "무령왕릉 유물에 담긴 도교적 연관성 및 그 의미와 사상에 대한 고찰 - 銅鏡과 誌石을 중심으로" 국립공주박물관 15-43, 2018
    • 38 김규호, "무령왕릉 유리제품의 특성분석 (II), 武寧王陵 출토 유물 분석 보고서 (III)" 국립공주박물관 103-131, 2007
    • 39 李容喜, "무령왕릉 발굴 목·칠기유물의 옻칠 및 채색기법, 무령왕릉을 格物하다" 국립공주박물관 188-193, 2011
    • 40 국립공주박물관, "무령왕릉 발굴 50년: 1971-2021 새로운 반세기를 준비하며" 국립공주박물관 2021
    • 41 김수철, "무령왕릉 목관재 및 칠기의 수종과 칠 기법 연구, 武寧王陵 출토유물 분석보고서 (III)" 국립공주박물관 201-231, 2008
    • 42 에케하르트 캐멀링, "도상학과 도상해석학" 사계절 1997
    • 43 국립김해박물관, "고대의 빛깔 옻칠" 국립김해박물관 2019
    • 44 주경미, "고대 한반도 출토 서역계 유리 및 금속공예품, 고대 한국의 외래계 문물 - 다름이 만든 다양성" 국립경주박물관 168-175, 2021
    • 45 송진, "고대 삼국과 중국 왕조의 사신 왕래와 물자 교류-무령왕릉 발견 오수전의 유입 경위 고찰을 중심으로-" 한국고대학회 (61) : 97-121, 2019
    • 46 국립공주박물관, "龜甲文과 鬼面文" 국립공주박물관 1990
    • 47 이연재, "飾履塚 출토 金 銅飾履의 문양 硏究" 한국미술사연구소 27 : 129-156, 2006
    • 48 金元龍, "韓國美術史硏究" 一志社 1987
    • 49 李蘭暎, "韓國古代金屬工藝硏究" 一志社 1992
    • 50 町田章, "硏究論集 III" 奈良文化財硏究所 77-110, 1976
    • 51 안휘준, "百濟의 美術"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413-436, 2007
    • 52 최응천, "百濟의 美術"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13-257, 2007
    • 53 姜友邦, "百濟의 冠" 국립공주박물관 1-30, 2011
    • 54 尹龍二, "百濟遺蹟 發見의 中國磁陶를 통해 본 南朝와의 교섭" 진단학회 66 : 200-205, 1988
    • 55 劉毅, "百濟武寧王陵出土的南朝靑瓷" 紫禁城出版社 12 : 539-546, 2006
    • 56 三上次男, "百濟武寧王陵出土の中國陶磁とその歷史的意義" 吉川弘文館 2 : 151-191, 1978
    • 57 趙載勳, "百濟武寧王陵" 충청남도·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351-364, 1991
    • 58 吉村怜, "百濟武寧王妃木枕に描かえらた天人誕生圖" 早稲田大学美術史学会 14 : 29-47, 1977
    • 59 李成美, "百濟時代 書畵의 對外交涉, 百濟 美術의 對外交涉" 도서출판 예경 169-204, 1998
    • 60 李蘭暎, "百濟 金 屬工藝의 對外交涉 - 금공기법을 중심으로, 百濟 美術의 對外交涉" 도서출판 예경 205-233, 1998
    • 61 이귀영, "百濟 龜甲文 考察" 신라사학회 (18) : 267-317, 2010
    • 62 주경미, "百濟 王興寺址 出土 舍利莊嚴具와 6세기 동아시아 불교문화" 백제연구소 (67) : 51-86, 2018
    • 63 岡內三眞, "百濟 武寧王陵と南朝墓の比較硏究"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11 : 223-277, 1980
    • 64 이귀영, "百濟 冠 象徵體系의 變遷樣相" 백제문화연구소 1 (1): 67-101, 2012
    • 65 강우방, "玉龍論 과 金 冠論" 국립중앙박물관 고고부 17 : 657-721, 2011
    • 66 이한상, "武寧王의 環頭大刀, 武寧王陵 출토 유물 분석 보고서(II)" 국립공주박물관 9-49, 2006
    • 67 엄기표, "武寧王陵의 佛敎的 要素와 熊津時期 百濟 佛敎의 推移" 한국문화사학회 (34) : 5-37, 2010
    • 68 伊藤秋男, "武寧王陵發見の金製耳飾について"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5 : 199-211, 1974
    • 69 樋口隆康, "武寧王陵出土鏡と七子鏡" 史学研究会 55 (55): 1-17, 1972
    • 70 金弘男, "武寧王陵出土盞의 중국도자사적 의의"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 : 153-174, 1991
    • 71 周裕興, "武寧王陵出土文物探析之一 - 以“琉璃童子像”爲例" 忠淸文化財硏究院 2 : 51-60, 2006
    • 72 伊藤秋男, "武寧王陵出土の「寶冠飾」の用途とその系譜について" 朝鮮學會 97 : 47-69, 1980
    • 73 成周鐸, "武寧王陵出土「童子像」에 對하여"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10 : 109-119, 1979
    • 74 주경미, "武寧王陵出土 銅托銀盞의 硏究, 武寧王陵 출토 유물 분석 보고서(II)" 국립공주박물관 51-87, 2006
    • 75 尹世英, "武寧王陵出土 冠飾에 關하여 - 단선설에 대한 반론"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 : 131-151, 1991
    • 76 국립공주박물관, "武寧王陵: 새로운 반세기를 준비하며" 공주시·국립공주박물관·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20
    • 77 加島勝, "武寧王陵 金 工品과 法隆寺 獻納寶物 - 承台付有蓋鋺(銅托銀盞)의 裝飾文樣과 加飾技法을 중심으로"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국립공주박물관 209-227, 2001
    • 78 이한상, "武寧王陵 裝身具의 國際的 性格 - 耳飾과 帶金具를 중심으로"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국립공주박물관 159-173, 2001
    • 79 文化財管理局, "武寧王陵 發掘調査報告書" 三和印刷株式會社 1973
    • 80 국립공주박물관, "武寧王陵 新報告書 V - 출토유물 2(금속류)" 국립공주박물관 2019
    • 81 정의도, "武寧王陵 出土 靑銅匙箸硏究" 한국고대학회 (30) : 213-283, 2009
    • 82 정상기, "武寧王陵 出土 中國陶磁에 대한 檢討, 武寧王陵 출토 유물 분석 보고서(II)" 국립공주박물관 185-209, 2006
    • 83 장석오, "武寧王妃 頭枕에 그려진 魚龍文의 實體" 백제문화연구소 1 (1): 213-242, 2013
    • 84 林良一, "東洋美術の裝飾文樣 - 植物文篇" 同朋舍出版 1992
    • 85 小田富士雄, "日本の古墳出土銅鋺について-武寧王陵副葬遺物に寄せて"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6 : 199-220, 1975
    • 86 小田富士雄, "日本にける武寧王陵系遺物の硏究動向" 公州大學校 百濟文化硏究所 20 : 75-106, 1991
    • 87 샤오레이, "摩羯紋의 東晉過程에 관한 약간의 문제 - 百濟武寧王妃 木枕에 그려진 魚龍紋의 基源에 대하여" 5 : 115-132, 2006
    • 88 吉村怜, "天人誕生圖の硏究" 東方書店 91-105, 1999
    • 89 毛利光俊彦, "古墳出土銅鋺の系譜" 日本考古學會 64 (64): 1-27, 1978
    • 90 주경미, "北魏時代 平城地域 출토 금속공예품의 국제성" 중앙아시아학회 25 (25): 47-86, 2020
    • 91 林良一, "佛敎美術の裝飾美文樣 ⑪ - 葡萄唐草" 毎日新聞社 117 : 81-107, 1978
    • 92 吉村怜, "中國佛敎圖像の硏究" 東方書店 117-134, 1983
    • 93 주경미, "三國時代 耳飾의 製作技法" 고대학회 5 : 105-140, 1997
    • 94 주경미, "三國時代 耳飾의 硏究 - 慶州地域出土 垂下付耳飾을 중심으로" 한국미술사학회 211 : 5-28, 1996
    • 95 Kim, Hongnam, "China's Early Datable White Stonewares from the Tomb of King Muryong (d.A.D. 523). Paekche, Korea" (spring) : 17-34, 1991
    • 96 유혜선 ; 노지현, "A Study on the Provenance of an Opacifying Agent(PbSnO3) in Yellow and Green Glass Beads Excavated from the Korean Peninsula"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34 (34): 305-311,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후보
              •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9 0.89 0.9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5 0.83 1.542 0.5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