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 작업에 의한 디자인 프로세스 실험 연구 : 3을 주제로 한 Versus Book Project를 중심으로 = An Experimental Study of Design Process by Group Work
저자
강소은 (이화여자대학교 조형예술대학 시각디자인)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4-26(13쪽)
제공처
소장기관
디자인 행위의 의미는 그 결과보다는 원천과 과정에서 찾을 수 있으며 디자인 과정을 개선하는 행위 자체가 창의적인 작업으로 이어질 수 있다. 본 연구는 디자인 프로세스에 적용할 수 있는 사례로 공동 작업을 통한 디자인 과정을 제시한다. 이 과정은 ‘Versus’를 주제로 한 수업 프로젝트에서 진행된 것으로 세 명의 작업자가 공동으로 작업하였다. 주어진 주제를 일대일 대응관계에서 셋의 대응관계로 재해석하고 두 유형으로 분류하여 각각 세 가지의 프로세스를 적용하였으며 ‘공동 조합’, ‘디렉터 선정’, ‘공통 규칙’, ‘직관적 수용’, ‘합의 후 전달’, ‘단계별 역할 수행’ 등 총 여섯 가지의 디자인 프로세스를 실험하였다. 결과물을 예측할 수 없다는 점을 공동 작업의 어려움으로 볼 수 있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상호간의 신뢰와 커뮤니케이션이 전제되어야 한다. 공동 작업을 통한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다양한 의견을 교류함으로써 시야를 넓힘과 동시에 다른 작업자와의 비교를 통해 자신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는 자신의 스타일을 확립하고자 하는 단계의 디자이너에게 필수적인 부분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디자인 교육 과정에서도 공동 작업의 핵심인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향상을 위해 지속적인 훈련을 할 수 있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본다.
더보기The meaning of designing act can be found in the source and process, rather than the results, and the act itself to improve the design process can lead to creative work. This study is the case of being applied to the design process and suggest the design process through group work. This process proceeded in a class project with the theme of 'Versus', working with three co-workers together. A given theme was reinterpreted from one-to-one corresponding relationship to three corresponding relationship, categorized into two types and applied to three process. Total of six design process such as 'joint union', 'directing', 'common rule', 'intuitive acceptance', 'consensus and relay' and ' performing a role by step' were tested. The difficulties of predicting the outcome was the issue of collaboration and in order to overcome this issue, mutual trust and communication was a prerequisite. By exchanging diverse opinions in the design process through group work, the range of vision can be expanded and at the same time, grasping oneself is possible compared with other workers, and this is essential part for designer who are, I think, in the phase to establish one's own style. Consequently, in the process of design education, it needs the course for training the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skills consistently which is the core of group work.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