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묻지마 범죄의 학문적 재정립 : 이상동기 범죄의 개념화 및 통계적 관리방안 = Academic Redefinition of Motiveless Crime: Conceptualization and Statistical Management of Abnormally Motivated Crim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83-100(18쪽)
제공처
As a series of violent incidents and murders were announced, sparked by the Sillim Station stabbing incident, citizens’ fear of random crimes reached its peak. However, related organizations and academia are unable to properly perform their functions regarding abnormal crimes, which are rapidly emerging as a major public security issue. Not only h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rime in question not been sufficiently identified, but it has not even been academically conceptualized or statistically compiled. With the recent announcement of the Prime Minister’s statement, there is an atmosphere in which the terminology is being unified as abnormally motivated crime, but the basis is still weak and the definitional function of the concept is not properly performed.
In this study, the reason for using abnormal motive crime as an alternative to the term ‘crime without question’ was revealed, and then the definition of abnormal motive crime (proposing abnormal crime as a higher-level concept) and judgment criteria were proposed. And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crime statistical data and examining the possibility of statistical approaches, a statistical management plan for abnormally motivated crimes was proposed. The core lies in the three-stage evaluation system: awareness of candidate incidents, qualitative assessment by crime analysts, and deliberation by an expert group. Additionally, the importance of the concept of self-regulation in abnormally motivated crimes and social management measures for abnormally motivated crimes were discussed.
신림역 흉기난동 사건으로 촉발된 일련의 무차별적 강력사건과 살인 예고가 속출하면서 한때 묻지마 범죄에 대한 시민들의 공포가 극에 달했다. 그러나 주요 치안이슈로 급부상한 묻지마 범죄에대해 관련 기관과 학계는 적절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해당 범죄의 특징이 충분히 규명되지 않은 것은 물론, 학술적 개념화와 통계적인 집계조차 되지 않고 있다. 잇따른 묻지마 범죄 이후 국무총리가 담화문을 발표하여 이상동기 범죄로 용어가 통일되는 분위기지만, 여전히 근거가 빈약하여 용어의 정의(定義)적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묻지마 범죄’ 용어의 대안으로 이상 범죄와 이상동기 범죄라는 위계적 분류체계및 판단기준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범죄통계자료를 분석하여 통계적 접근 방식의 가능성을 검토한다음 이상동기 범죄의 통계적 관리방안을 제안하였다. 그 핵심은 후보사건의 인지, 범죄분석관의 질적 평가, 전문가 집단에 의한 심의라는 3단계 평가체계에 있다. 추가적으로 이상동기 범죄에서 자기조절 개념의 중요성과 이상동기 범죄의 사회적 관리방안에 관해 논의하였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