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인체유래물은행 관련 법제도의 한계점과 개선방안: 동의 능력이 없거나 불완전한 성인 인체자원 기증자에 대한 보호를 중심으로 = Limitations and Improvements of the Legal System in Relation to Human Material Banks: Focusing on Protections for Adult Human Resource Donors Who Lack or Have Incomplete Capacity to Consent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9-55(27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유전체 분석 기술과 빅데이터 활용 기술의 발달 등으로 인해 인체유래물은행에 보관 중인 인 체자원은 의생명과학 연구 분야에서 훨씬 다양하고 보다 폭넓게 활용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인체자원은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이하 “생명윤리법”이라 한다)」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적법하게 인체자원 기증자로부터 적법하게 동의를 취득한 것이어야 활용이 가능하다. 이와 관련 하여 본 연구에서는 치매환자를 중심으로 하여 동의 능력이 없거나 불완전하여 취약한 성인 인체 자원 기증자에 대한 보호 관점에서 인체유래물은행 관련 법제도 상 어떠한 한계점이 있는지 살펴보고 그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법제도 상 한계점으로는 「생명윤리법」 상 대리인 동의 획득의 근거가 될 수 있는 조항이 미비하다는 점, 인체유래물은행 운영에 대한 조사· 감독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위원 대상 전문교육이 제공되고 있지 않다는 점, 기관생명윤리위원회 평가·인증제도 상 인체유래물은행 기관생명윤리위원회에 대한 평가가 적절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준이 필요충분하게 마련되어 있지 않다는 점, 대리인으로부터의 동의 획득이 필요한 경우를 포함하여 일반적으로 획득된 인체유래물등의 기증 동의서 에 대한 적절성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체계가 미흡하다는 점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실질적인 개선방안을 제언하였다.
더보기Due to the development of genome analysis technology and big data utilization technology, human resources stored in a human material bank can be used in a much more diverse and broader range of biomedical research fields. These human resources can only be used if the consent of the human resource donor has been lawfully obtained in accordance with the method prescribed by the Bioethics and Safety Act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Bioethics Act”).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limita- tions of the legal system in relation to the human material bank from the perspective of protecting vulnerable adult human resource donors who lack or have incomplete capacity to consent, with a focus on dementia patients, and to seek ways to improve them. Limitations include the lack of provisions in the Bioethics Act that can serve as a basis for obtaining consent from a representative, the lack of professional training for members of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to investigate and oversee the operation of human material banks, the lack of sufficient standards to ensure proper evaluation of the Institu- tional Review Board under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System, and the lack of a system to monitor the adequacy of consent forms for donations of commonly acquired human materials, etc., including the need to obtain consent from the representative. We proposed practical remedies to improve this.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