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캐릭터 디자인의 산업적 특성과 교육의 중요성 = Industrial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Importance of Character Desig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2
작성언어
Korean
KDC
601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1-34(14쪽)
제공처
캐릭터 산업이라는 단어가 사회에 널리 통용된 지 8여년이 되어 간다. 그동안 우리나라의 캐릭터 산업은 IMF 등을 거쳐가면서 숱한 우여곡절 끝에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초기부터 우리나라는 캐릭터의 개념이 없었는데 그러한 현상은 아직까지도 크게 개선되지 않았다. 그러나 사회 곳곳에서 캐릭터의 의미를 이해하고 기획을 기반으로한 마케팅과 유통을 접목하면서 우리나라의 캐릭터 산업은 서서히 성장기의 첫 시발점에
놓이게 되었다. 초기에는 팬시 캐릭터 류가 사회 전반에 퍼졌으며, 때를 같이 하여 포토스티커 열풍과 함께 우리나라는 캐릭터를 희화화(캐리커쳐) 시켜 상품으로 배출 시켰다. 그 후 인터넷의 붐을 타고 엽기 류의 캐릭터들이 시장에 진입하였으며, 현재는 핸드폰의 기술발전과 위성을 통한 무선 인터넷의 보급으로 모바일 캐릭터가 현재와 미래의 캐릭터 산업의 주류로 부상하고 있다. 그러나 교육은 아직 제자리를 찾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우리나라의 캐릭터관련과가 46개교인데 그중 캐릭터란 단어가 들어간 학교는 4개교이며, 또 그들의 커리큘럼도 전문성을 띠지 못한 채 겉돌고 있어 앞으로 캐릭터 산업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해야할 교육계를 쇄신하지 않고서는 안된다는 생각이 본 논문의 요지이다. 따라서 캐릭터 파생산업에서 필요한 것은 무엇이며, 앞으로 우리의 과제는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과 해답을 본 논문은 하고 있다.
The term character industry has been used universally for decade. However, we have not understood appropriately thconcept of the character industry and many improvemen have not been made. However, our character industry is in turning point in which our understanding of the charact industry is emerging in conjunction with marketing. In beginning, fancy characters were popular, when photo stick and caricature products featuring popular comic characte
came into the market. Since then, "bizarre" characters havcame into the market. Presently, the mobile characters are t main current with the diffusion of wireless internet by t technical developments of cellular phone and communicatio
satellite. However, the educational systems for the profession development lag way behind the technical development. Thterm character is used as the department name only in founiversities out of 46 that have the character-related academ
departments. The present study intended to suggest that th academic curricula needs to be specialized to meet the nee of the character industry. The requirements and the futu problems of the character-related industry have bee
discussed.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