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황해도 동학농민군과 기독교 선교사의 접촉과 소통 -매켄지(William J. McKenzie) 선교사를 중심으로- = The Encounter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Tonghak Peasant Army and William J. McKenzie in Hwanghae Provinc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38(34쪽)
KCI 피인용횟수
8
DOI식별코드
제공처
The Tonghak [Eastern Learning] was founded opposing the western learning, especially the Catholic belief, and it also criticized Christianity, protestant churches. While Tonghak followers requested the rehabilitation of their founder and sought the expulsion of foreigners, they made clear the anti-western stance. However, there was no direct confrontation between those two forces because westerners, fear of anti-western movements, avoided the confrontational spots.
Interestingly, there was a Christian missionary who spent seven months among the Tonghak peasant army. The missionary was William J. McKenzie who came from Canada. He found that Christianity and the Tonghak have some common grounds in terms of the concept of God and religious doctrines. Even he noticed that some persons among the Tonghak peasant army arrived at the deep understanding of Christian doctrines while carrying the New Testament Bible. McKenzie also sought and studied the Tonghak canons. The similarity between two belief systems provided the favorable conditions for religious conversion.
The Tonghak peasant army arose for the eviction of foreign forces and for the regime reform while Christian missionaries like McKenzie came to Korea for Christian mission. Two forces had very different aims and purposes and met each other in Changyŏn Country, Hwanghae province in fall 1894. Two parties considered each other to be absorbed into each circle. However, their encounter and communication implied the possible communality between two religions in the context of Korean national crisis.
동학은 서학(가톨릭)을 반대하여 창립되었고 기독교(프로테스탄트)에 대해서도 반대하였다. 동학교도들은 교조신원운동을 진행하면서 척왜양(斥倭洋)의 기치를 들어 서양종교에 대한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하였다. 그러나 양자는 직접적인 충돌을 일으킨 적은 거의 없다. 동학군이 외세를 배격했기 때문에 서양인은 봉기의 현장을 회피하였다.
그런데 황해도 동학농민군 속에서 7개월을 머물며 견뎌낸 기독교 선교사가 있었다. 캐나다 출신의 매켄지가 바로 그 사람이다. 그는 동학농민군과 소통하면서 기독교와 동학이 하나님의 개념이나 교리의 측면에서 유사한 점이 적지 않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동학농민군 중에도 신약성경을 가지고 다니며 깊은 이해에 도달한 자가 없지 않았다. 매켄지도 동학경전을 구하여 동학의 교리를 탐구하였다. 양자의 유사성은 개종의 유리한 조건이 되었다.
황해도 동학농민군은 외세의 축출, 체제의 개혁을 위해 봉기하였고, 매켄지는 조선선교의 사명을 지고 입국하였다. 두 주체는 상이한 목표와 방향성을 지닌 콘텍스트 속에 놓여 있다가 1894년 가을 황해도 장연지방이라는 시공간에서 조우하였다. 양자는 타자를 자기의 콘텍스트로 편입시켜야 할 대상으로 간주하였지만, 이때의 접촉과 소통은 이후 민족적 위기 속에서 두 종교간 연대의 가능성을 내재하였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04-21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Society For Korean Church History -> The Society of the History of Christianity in Korea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3 | 0.43 | 0.5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 | 0.64 | 0.945 | 0.13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