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청양토박이 여성노인의 생애이야기와 민요 향유 = Elderly women Cheongyang native’s life story and folk song enjoyment
저자
조순자 (독립연구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51-287(37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This study analyzed each narrative structure and narrative form through the life stories of the elderly women born and bred in Cheongyang, and examine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folk songs enjoyed by narrators.
The life story of the narrators was creating a common narrative structure of ‘ordeal-overcoming’ in a large frame. In their life stories, the texts of poverty and the Korean War were common factors of ordeal, and their children’s “filial piety” and “stable old age” served as common elements of happiness. In their narrative, who focused on child care and housework as a homemaker, intimate family members such as fathers, husbands and sons were identified as the main factors of ‘happiness’ and ‘ordeal’.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narrator C, 10 years of experience as the “president of women’s society” was interpreted as a factor of happiness. The difference between the other narrators was that self-actualization through social activities served as a mechanism for achieving happiness.
The characteristics of folk songs enjoyed by the narrators are as follows. First, the songs enjoyed by the narrator A and the narrator B are all Chang-gok such as Gyeonggi folk songs, Gangwon-do folk songs, and Shin-Minyo (new folk songs), etc., and the ones enjoyed by a narrator C are all Chungcheong-do folk songs, Saseol. Second, the characteristic of folk song enjoyment was found in the purpose of singing and the functional difference. Narrator A used the folk song to unravel the story of the ordeal that reflected her life, while narrator B used it for the purpose of being recognized by the public through singing and enjoying an individual’s entertainment. Narrator C’s singing was not a show of entertainment or satisfying her grudge, but a manifestation of her willingness to summon a happy childhood and overcome the difficult reality of the ordeal. These characteristics are related to the narrative structure that appeared in the analysis of the life stories of narrators.
Since this study was based on oral testimony of three elderly women living in Cheongyang, there is a limitation that characteristics of learning and enjoyment of folk songs cannot be generalized and applied.
본 연구는 청양토박이 여성노인들의 생애사를 구술 채록하여 그들이 들려준 생애이야기의 서사구조 및 서술형식을 분석하고, 구술자들이 향유하는 민요의 유형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구술자들의 생애이야기는 큰 틀에서 ‘시련-극복’의 공통적인 서사구조를 형성하고 있었다. 그들의 생애이야기에서 가난과 6.25전쟁이라는 텍스트가 시련의 공통 요인이었으며, 자녀의 ‘효도’와 ‘안정된 노후’가 행복의 공통요소로 작용하였다. 가정주부로서 육아와 가사노동에 집중했던 그들의 서사에서 아버지, 남편, 아들 등 친밀한 가족구성원이 ‘행복’과 ‘시련’의 주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구술자C의 경우 10년간의 ‘부녀회장’ 경험이 ‘행복’의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사회활동을 통한 자아실현이 행복획득 기제로 작용한 점에서 다른 구술자들과의 차이점으로 나타났다.
구술자들의 민요향유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구술자A와 구술자B가 향유하는 노래는 모두 경기민요, 강원도민요, 신민요 등등 창곡단위요이며, 구술자C는 모두 충청도 토속민요로 사설단위요 이다. 둘째, 구술자들의 민요향유의 특징은 노래를 부르는 목적과 기능적 차이에서 발견되었다. 구술자A는 민요를 자기 삶의 반영으로서 시련의 이야기를 노래로 풀어낸 반면, 구술자B는 노래하기를 통해 대중들로부터 인정받고 개인의 ‘유흥’을 즐기는 목적으로 활용하였다. 구술자C의 노래하기는 ‘유흥’이나 ‘한풀이’가 아니라 행복한 어린 시절을 소환하고 시련기 현실극복을 위한 의지의 표명이었다. 이러한 특징들은 구술자들의 생애이야기 분석에서 나타난 서사구조와 무관하지 않다.
본 연구는 청양에 거주하는 세 명의 여성노인의 구술증언을 토대로 작성된 점에서 사례의 제한점이 있기에 민요의 학습과 향유에 대한 특성을 일반화하여 적용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6 | 0.36 | 0.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2 | 0.48 | 0.862 | 0.04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