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신라 중대의 대신과 재상 -<성덕대왕신종명>을 중심으로- = Daesin and Jaesang in The Middle Period of Silla -Focusing on the Bell of King Seongdeok of Silla-
저자
김수태 (충남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99-333(35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Centered on the inscription on the Bell of King Seongdeok of Silla, this paper focuses on matters regarding two government positions during the middle period of Silla, Daesin and Jaesang.
Then, based on such a review, a new view on the noble gathering council during the middle period of Silla will be presented. I hope that this attempt will be an opportunity to call attention to the study of the history of political institution during the middle period of Silla, which is now in a lull.
In the inscription on the Bell of King Seongdeok the Great of Silla which was made in the period of king Hyegong, the mentioned word ‘Sin’ in relation to Kim Ong and Kim Yang-sang, who were responsible for the production, means Daesin.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exclusive use of word 'Sin' was intended to emphasize their distinction from other people. In addition, through acknowledging the existence of Daesin, the council of Daesin could have been able to differentiate from the noble meetings.
Meanwhile, Kim Ong appears as a Prime Jaesang in the inscription on the Bell of King Seongdeok the Great of Silla. On the other hand, Kim Yang-sang, who was also one of the chief supervisor, does not appear as Jaesang. The inscription on the Bell of King Seongdeok the Great of Silla provides a profound help in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aesin and Jaesang. This is because not all Daesin could become Jaesang. In addition to the fact that Jaesang was elected from Daesin, it shows the possibility that the council of Jaesang could have specifically existed.
The fact that there were various types of noble gatherings during the middle period of Silla demonstrates that the royal authority was even more strengthened during this era. It is also evident that the nobles who participated in those councils of state affairs would have become more bureaucratic. In addition, it can be said that the excessive concentration of powers pursued by the Silla regime of the middle period led to a decentralization of power by internal collapse.
이 글에서는 <성덕대왕신종명>을 중심으로 신라 중대로 한정시켜서, 대신과 재상의 문제를 다시 다루어보고자 한다. 이어서 그러한 검토를 바탕으로 신라 중대의 귀족회의에 대해서도 새로운 견해를 제시해볼 것이다. 이러한 시도가 현재 소강상태에 놓여있는 신라 중대의 정치제도사연구에 대한 관심을 촉구시킬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기를 바란다.
혜공왕대 만들어진 성덕대왕신종의 명문에서서 종을 제작한 책임자인 김옹과 김양상과 관련해서 언급된 ‘신’은 바로 대신을 말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들에게만 ‘신’을 사용한 사실은 이들이 여러 다른 인물들과는 구별되는 특별한 존재임을 부각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이러한 대신의 존재를 통해서 귀족회의에서 대신회의를 새롭게 상정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성덕대왕신종명>에는 김옹이 상재상으로 나오고 있다. 이와 달리 역시 최고 실력자의 한 명이었던 김양상은 재상으로 나오고 있지 않다. 이는 <성덕대왕신종명>은 재상과 대신의 관계를 이해하는데 커다란 도움을 준다. 대신이라고 해서 모두가 재상이 되었던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리고 대신 안에서 재상이 나왔다는 사실과 함께, 재상회의가 구체적으로 존재했을 가능성을 알려주고 있다.
이와 같이 중대에 여러 형태의 귀족회의가 존재했다는 사실은, 중대의 왕권이 더욱 전제화된 모습을 보여준다고 이해된다. 그리고 중대의 여러 국정회의에 참여한 귀족들은 더욱 관료화되는 양상을 띠게 되었을 것임이 분명하다. 아울러 중대정권이 추구한 지나친 권력집중이 오히려 내부붕괴에 의한 권력분산을 초래하였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 | 0.5 | 0.4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1 | 0.58 | 0.981 | 0.0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