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디지털 퍼블리싱에 대한 포털사이트 사용기록을 통한 동향 연구 : 빅데이터의 LDA 토픽 모델링 기법을 중심으로 = Trend Research Based on Usage of Portals on Digital Publishing : Centered on LDA topic modeling technique of Big Data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0
작성언어
-주제어
KDC
6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91-200(10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현시점에서 Apple News+와 Apple One과 같은 번들 서비스의 시작은 소유의 개념에서 접속의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는 글로벌 출판 산업의 동향을 보여준다. 한국의 침체된 출판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서 디지털 퍼블리싱의 최근 동향을 고찰하고 분석하여 과도기적 상황에 처한 디지털 퍼블리싱에 대한 새로운 정의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 퍼블리싱에 대한 트렌드 및 동향에 한정해서 빅 데이터 분석을 실시하였다. 빅 데이터 분석을 통해 디지털 퍼블리싱의 현 상황을 진단함으로써 국내 디지털 퍼블리싱의 발전을 위해 지향해야 할 부분과 개선되어야 할 부분들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빅 데이터 분석 방법은 TF-IDF 빈도 분석과 LDA 토픽모델링 분석을 중심으로 비정형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현재의 디지털 퍼블리싱은 크게 플랫폼, 디지털 퍼블리싱과 산업, 서비스 이용 패턴, 미디어 환경에 따른 콘텐츠 접근의 4개 주제로 설명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써 다양한 콘텐츠와 스트리밍 구독 서비스의 등장으로 급변하는 디지털 퍼블리싱 산업의 방향성을 제시함으로써 출판 산업 전체의 지속 가능성에 일조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Currently, the launch of services bundles such as Apple News+ and Apple One demonstrates that shift of the global publishing industry from the concept of ownership to a way of access. In order to revitalize Korea’s stagnant publishing industry, we need to redefine digital publishing, which is in transitional stage, by reviewing and analyzing the latest trends in the industry. Thus, we conducted a big data analysis solely on the trends of digital publish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directions for the future and areas for improvement in the Korean digital publishing market through the big data analysis. The research methodology was based on unstructured data analysis such as TF-IDF and LDA topic modeling.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four main topics of digital publishing were platform, digital publishing and industry, pattern of service usage, and content access depending on the media landscape. We hope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sustainability of the entire publishing industry by presenting future directions of the digital publishing market which has been under rapid developments with the launch of a variety of content and streaming subscription services.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