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한국어 준말의 표기 규범과 사용 양상 연구 = Study on the spelling norms and errors in the use of Korean abbreviations
저자
손춘섭 (광신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47-70(24쪽)
제공처
한국어 어문 규범인 한글 맞춤법 제4장 제5절 제32항부터 제40항에서는 한국어 준말들의 표기에 대해 자세한 규정을 두고 있다. 하지만, 실제 한국어 사용자들은 준말의 표기와 사용에 있어서 규범과는 크게 다른 사용 양상을 보이거나, 바른 사용에 많은 혼란을 겪고 있다. 또한, 한국어의 현실에서는 잘 쓰지 않는 말들도 규범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한국어 준말에 대한 규범을 체계적으로 정리해 보고 실제 사용 양상과의 괴리를 검토해 볼 필요성이 있다.
본고에서 한국어 준말의 표기 규범과 사용 양상에 대해 파악한 내용들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규범상의 준말 표기를 사용하는 빈도가 현저하게 낮은 형태들이 있었다. ‘뭣이, 무에, 봬서, 쌔어, 폐다’ 등이 그 예이다. 둘째로, 규범상의 준말 표기와 잘못된 준말 표기 둘다 어느 정도의 사용 빈도를 보이는 형태들이 있었다. 예를 들면 ‘디뎌:*딛어’, 섭섭지:*섭섭치’ 등이 이에 해당한다. 셋째로, 어떤 준말의 본말이 현실 언어에서 거의 쓰이지 않는 형태들이 있었다. ‘가았다, 서었다, 펴었다’ 등이 그 예이다. 넷째로, 동일한 유형의 준말들 중에도 규범적인 형태의 사용 빈도가 높은 것들이 있는가 하면 오류 형태의 사용 빈도도 상당한 예들이 있었다. 예컨대 같은 유형의 준말인데도 ‘요컨대:*요건대’는 규범 형태의 사용 빈도가 높지만, ‘간편케:*간편게’는 두 형태의 사용 빈도가 비슷했다. 본고의 이러한 논의가 한국어 사용자들의 준말 표기에서의 혼란을 줄이고, 외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학습에도 도움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 아울러 한국어 준말에 대한 표기 규범 수립에도 참고가 될 것으로 판단한다.
Chapter 4, Section 5, Paragraphs 32 to 40 of the Hangul Orthography, which is the Korean language norm, provides detailed regulations on the spelling of Korean abbreviations. However, actual Korean speakers show usage patterns that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norms when it comes to spell and use of abbreviations, or experience a lot of confusion about normative usage. In addition, words that are not commonly used in the Korean language appear to be included in the norms.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systematically organize the norms for Korean abbreviations and examine the gap with actual usage patterns.
To summarize what I learned about the writing norms and usage patterns of Korean abbreviations in this paper, it is as follows. First, there were forms that used the normative abbreviation with significantly lower frequency. Examples include ‘‘mwosi, mue, bwaeseo, ssaeeo, pyeda’, etc.
Second, there were forms of both normative abbreviation and incorrect abbreviation that showed a certain degree of usage frequency. For example, ‘didyeo:*dideo’, seopseopji:*seopseopchi’, etc.
Third, there were examples in which the original forms of some abbreviations was rarely used in real use. Examples include ‘gaatda, seoeotda, pyeoeotda’, etc.
Fourth, among the same type of abbreviations, there were some examples where the normative form was used frequently, while there were also examples where the incorrect form was used frequently. For example, even though it is an abbreviation of the same type, ‘yokeondae:*yogeondae’ has a high frequency of use in the normative form, but the frequency of use of the two forms of ‘ganpyeonke:*ganpyeonge’ was similar.
It is hoped that this discussion in this paper will reduce confusion among Korean users regarding abbreviated spelling and help foreign learners learn Korean. In addition, it is believed that it will be a reference in establishing liguistic norms for Korean abbreviation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