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국내 항공산업의 ESG 경영분석 - 대한항공의 ESG 보고서를 중심으로 - = ESG Management Analysis of the Domestic Aviation Industry - Focusing on ESG Reports of Korean Air -
저자
유정연 (세종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한국항공경영학회지(Journal of the Aviation Management Society of Korea)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57-72(16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본 연구는 대한항공의 2006년, 2016년, 2024년 ESG 경영 보고서를 대상으로 빅데이터 분석 기법 중 하나인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과 의미연결망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활용하여 항공 분야의 ESG 핵심가치, 거버넌스, 주요 이슈와 동향을 탐구하였다. 먼저, 정제된 ESG 보고서에서 동시 출현하는 핵심어를 추출하여 Bigram 분석을 수행하였고, 상위 75개 빈출 단어를 기반으로 1-mode 메트릭스를 생성하였다. 이를 토대로 CONCOR(Convergence of Iteration Correlation) 분석을 통해 각 시점의 핵심어 군집을 도출하고, 시계열에 따른 군집의 변화 양상을 살폈다. 아울러, 3개 시점의 1-mode 메트릭스를 활용하여 네트워크 밀도(Density) 및 연결성(Ties) 등을 측정하고, QAP(Quadratic Assignment Procedure) 분석을 통해 네트워크 간 상관관계를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Bigram 분석에서는 2006년 환경(E) 부문 중심의 ESG 경영이 2016년 사회(S) 부문으로 확장되었으며, 2024년에는 지배구조(G) 부문까지 아우르는 ESG 경영 구조가 확인되었다. 둘째, CONCOR 분석에서는 시점별로 4개 군집을 도출하였으며, 2006년 항공유 및 연료 절감 군집이 2016년 문화 및 교육 군집으로 변화하였고, 2024년에는 협력과 이해관계자 군집이 새롭게 형성되는 등 시간의 흐름에 따른 군집 구조의 변화를 파악하였다. 셋째, Whole network measure 분석 결과, 2006년의 ESG 네트워크가 가장 높은 연결성과 밀도를 보였으며, 2024년, 2016년 순으로 네트워크의 응집도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QAP 분석에서는 2006년과 2016년의 ESG 네트워크 간 상관계수가 0.355로 높게 나타났고, 2024년 네트워크와의 상관계수는 0.243~0.253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상관성을 보이며, 2020년 이후 ESG 경영 보고서로의 전환 및 글로벌 ESG 이슈가 네트워크 구조에 영향을 미쳤음을 시사하였다.
이상으로부터 도출되는 시사점은, 첫째, 2006년 항공사의 ESG 보고서는 환경(Environment) 부문에 편중된 경향이 두드러졌으나, 2016년에는 사회(Social) 부문, 2024년에는 지배구조(Governance)까지 포함한 보다 균형 잡힌 ESG 경영 체계로의 진화를 보여주었다. 이는 항공산업이 환경적 책임에 국한되지 않고, 사회적 가치 실현과 투명한 지배구조 확립을 포괄하는 통합적 ESG 전략을 수립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둘째, 2024년 보고서 분석 결과, ‘이해관계자’가 핵심어로 부상한 것은 항공사가 전통적인 주주가치 중심의 경영 패러다임을 넘어, 공급망 참여자, 근로자, 소비자, 지역사회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이익을 통합적으로 고려하는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변화는 이해관계자 자본주의(stakeholder capitalism)의 실질적 구현이 기업 전략의 중심축으로 자리 잡고 있음을 방증하며, 향후 항공사는 의사결정 구조에 이해관계자의 참여를 제도화하고, 상생적 가치 창출 구조를 정착시켜야 할 것이다. 셋째, 최근 분석에서는 준법경영, 윤리경영, 사외이사 및 이사회 중심의 의사결정 구조 등 지배구조(G) 관련 키워드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이는 항공사가 ESG 위원회의 설치, 이사회 독립성 강화, 사외이사의 실질적 역할 제고 등 지배구조 관련 제도적 기반을 공고히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투명성과 책임성에 기반한 거버넌스 체계는 ESG 신뢰성을 제고하는 핵심축이기 때문이다. 넷째, Bigram 및 CONCOR 분석에 따르면, 2006년에는 연료 절감과 환경 대응 중심, 2016년에는 문화․교육 등의 사회적 요소, 2024년에는 협력과 이해관계자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volving dynamics of ESG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management in the airline industry through a longitudinal analysis of Korean Air’s ESG reports from 2006, 2016, and 2024. Employing advanced text min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the research identifies core ESG values, governance structures, and emerging issues within the sector. Bigram analysis was applied to extract co-occurring key terms from refined ESG texts, followed by the construction of 1-mode matrices based on the 75 most frequent terms. CONCOR (Convergence of Iterated Correlations) analysis revealed temporal clusters of ESG discourse, while network density and tie strength were evaluated using whole- network measures. Furthermore, QAP (Quadratic Assignment Procedure)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ssess structural similarities across the three time periods.
The findings demonstrate a clear transition from an environment-centric ESG approach in 2006 to a more balanced model incorporating social and governance dimensions by 2024. The emergence of “stakeholder” as a central term in 2024 signifies a paradigm shift from shareholder primacy to stakeholder capitalism, indicating growing emphasis on the interests of suppliers, employees, consumers, and local communities. The prominence of governance-related keywords such as compliance, ethics, and board independence highlights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transparent and accountable decision-making. The CONCOR results illustrate a dynamic evolution of ESG clusters—from fuel efficiency in 2006, to culture and education in 2016, and stakeholder collaboration in 2024—underscoring the need for adaptive ESG strategies. Notably, QAP analysis reveals structural divergence in the post-2020 period, likely influenced by global ESG norms and reporting standards.
This study provides substantive implications for both practitioners and policymakers. For airlines, it underscores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n integrated ESG framework that reflects shifting societal expectations and industrial risks. For regulators, the findings advocate for industry-specific ESG policies that account for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aviation sector, including high carbon emissions, safety imperatives, and global supply chain complexity. Ultimately, this research offers a data-driven foundation for refining ESG strategy in the airline industry and contributes to the broader discourse on sustainable corporate governance in high-impact sector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