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16세기 류트 타블라춰에 관한 연구 : 이탈리아, 프랑스, 독일의 타블라춰를 중심으로 = Concerning the 16th century lute tablature
저자
박을미 (부산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670.5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34(34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타블라춰는 음고를 문자, 숫자를 사용하여 표 형식으로 보여주는 기보체계로서, 14세기 초부터 서유럽에서 사용되었다. 가장 중요한 타블라춰 체계는 류트와 오르간을 위한 것이다. 류트는 16세기에 가장 인기 있는 악기였기 때문에, 많은 양의 류트 악보들이 그 시기에 출판되었다.
류트 타블라춰의 기본 원칙은 류트의 각 코스를 나타내는 가로선에 문자나 숫자를 기입하여 연주자의 손가락의 위치를 명시하는 것으로서, 류트 타블라춰 체계에서 가로선은 류트의 개방 현들을 나타내며, 숫자나 문자는 프렛과 코스의 교점을 나타낸다.
15세기 후반에 나라들 간에 다양한 유형의 타블라춰가 보급되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류트 타블라춰는 이탈리아, 프랑스, 독일에서 발전되었고, 이들은 16세기 동안에 널리 사용되었다, 비록 이 세 유형의 타블라춰는 근본적으로 같은 원칙에 기초하고 있지만, 선의 배열이나 표기 방식에 있어서는 서로 다르다.
본 논문은 16세기에 사용되었던 이탈리아, 프랑스, 그리고 독일의 류트 타블라춰의 특징들을 비교·연구하고자 한다. 또한 필자는 세 유형의 예로 스피나치노(Francesco Spinacino 1507활약)의 'Recercare no. 3'과 밀란(Luys Milán 1500경-1560 이후 사망)의 'Pavana del octavo tono,' 아테냥 (Pierre Attaingnant 1494경-1551/1552)의 류트곡집에 수록된 'Fortune a bien couru sur moi,' 그리고 유덴퀴니히(Hans Judenkünig 1445경/50-1526)의 'Das drit Praimel'을 보표 기보로 전사했다. 이 전사물들은 타블라춰 악보와 함께 본 논문의 마지막에 제시되고 있다.
Tablature is the system of notation using letters, numerals, or diagrams to specify pitch; it has been used in western European music from the early fourteenth century. The most important systems of tablature were those used for lute, and those used for organ. Because the lute was the most popular instrument in the sixteenth century, many lute books were published during the period as well as intabulations of vocal music.
The basic principle of lute tablature was to use the letters or numbers indicating frets of courses to be played, instead of showing the notes on a staff. In the systems of lute tablatures, lines represented the open courses of lute, and letters or numbers represented the intersections of fret and course.
In the second half of the fifteenth century, various types of tablature prevailed in different countries. From them, three principal types of lute tablature were developed in Italy, France and Germany, and they were widely used during the sixteenth century. Although those three types of tablature were based on the same fundamental principle, they differed from each other in detail.
This paper is to study and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talian, French, and German lute tablatures used in the sixteenth century. Francesco Spinacino's 'Recercare no.3,' Luys Milán's 'Pavana del octavo tono,' 'Fortune a bien couru sur moi,' from Pierre Attaingnant's book, and Hans Judenkünig's 'Das drit Praimel' are used as musical examples. The transcriptions of those pieces are presented with their original tablatures at the end of this paper.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