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왕양명의 심신 이론에 대한 현상학적 이해 = A Phenomenological Understanding of Wang Yang-Ming’s Mind-Body Theor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81-308(28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This article clarifies the main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mind-body theory of Wang Yang-Ming (1472-1528), a scholar in the middle of the Ming Dynasty, from a phenomenological point of view. The whole content is composed of three parts.
First, in order to examine the foundation of his mind-body theory, cosmology was considered. He suggested the constant flow and circulation of entire Qi and emphasized its vitality and laws. And the method of response was applied to explain the absolute inner sense of the universe and the mutual action and reaction between humans and objects. This cosmology presents the underground of nature in a phenomenological sense, and can be seen as dealing with the problem of the world horizon for the phenomenological ontology and epistemology of mind and body to be established. Next,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henomenology of his mind-body theory were described. He presented the innate constancy of life as an existential condition of the mind and body, defined its essence as spirituality and self-control, and defined its attributes as openness and orientation to the world. In particular, he defined the integrated orientation of the mind and body as perception. and its characteristics were described as automatically actualizing inevitable correlation with the world. Also, he emphasized that the intentionality of the mind inevitably includes properties and schema of the body itself.
이 글은 명대(明代) 중기의 심학자인 왕양명(1472~1528년)의 심신 이론의 주요내용과 특징을 현상학의 관점에서 해명하였다. 본 내용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그의 심신 이론의 토대를 살펴보기 위해서 우주론을 고찰하였다. 그는 일기(一 氣)의 부단한 유통(流通)을 제시하고 그것의 생기(生氣)와 생리(生理)를 강조하였다. 그리고 그 감응 방식을 우주의 절대적 내감(內感) 및 인간과 사물 사이의 적감(寂感)을 설명하는데 적용하였다. 이러한 우주론은 현상학적 의미에서 자연의 기저를 제시한 것으로 심신의 현상학적 존재론과 인식론이 성립하기 위한 세계지평의문제를 다뤘다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그의 심신 이론의 현상학의 내용과 특징을 서술하였다. 그는 심신의 실존적 조건으로 생명의 선천적인 항상성을 제시하고 그 본질을 영명성과 주재성으로규정하였고, 그 속성을 세계에 대한 개방성과 지향성으로 규정하였다. 특히 그는 심신의 통합적 지향성을 지각으로 정의하고, 세계와 근원적 상관관계를 자동적으로현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또한 왕양명은 마음의 지향성은 그 자체로 신체의 다양한 속성과 도식을 필연적으로 내포한다고 말하였다. 그래서 그는 마음의 본질과 속성을 현전과 충전성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므로 그가 제시한 본체공부(本體工夫)는 이처럼 현전하는 마음을 체인하는 공부이며 그 방법은 언어적 이론과 인식을 초월하여 현전하는 마음을 부단히 체화된 인지의 방식으로 자각하는 것이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