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1930년 『每日申報』 확장과 기관지의 모순 = Maeil Shinbo's Expansion in 1930 and Its Contradiction as Being an Propaganda Organ of the Colonial Government
저자
이혜인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역사연구소)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63-198(36쪽)
제공처
이 논문은 조선총독부 기관지였던 『매일신보』가 1930년 ‘확장’을 단행한 배경과 양상을 파악하고, 확장 이후 발생한 ‘근화(槿花)’ 문제를 통해 기관지 『매일신보』가 봉착해 있던 모순을 확인하고자 한다.
경성일보사는 1920년대 후반 이후 경성일보사가 봉착해 있던 재정적 문제를 『매일신보』 확장으로 해결하고자 했다. 또한 당시 총독부 수뇌부에서 논의되던 조선 자치와 관련하여 조선 사회 내 여론을 『매일신보』를 통해 환기하고자 했던 시도도 연관되어 있을 가능성도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매일신보』는 1930년 2월 회사규모, 지면, 인물이라는 측면에서 확장을 단행했다. 핵심은 박석윤(朴錫胤)으로 대표되는 조선인 책임자 체제의 형성과 경력기자 영입 등 ‘인물’ 측면에 있었다. 이를 통해 조선 사회의 목소리를 반영한다는 상징성을 획득하고 ‘팔리는 신문’을 지향했다.
그러나 이 시도는 1930년 2월 11일자 신문의 제호 배경과 활자크기 등을 문제삼았던 이른바 ‘근화’ 문제를 야기하였다. 이 사건으로 『매일신보』는 독립사상을 고취시킨다고 비난받았으며, 1930년 2월 확장의 핵심이었던 박석윤 및 경력 기자들의 영입도 공격받았다. 이러한 비난은 일본에서도 이어지면서 사이토 총독의 ‘문화통치’와 당시 논의되고 있던 조선 자치권 확장 문제까지 연쇄되었다. ‘근화’ 문제의 전개과정을 통해 기관지가 ‘팔리는 신문’을 지향하면서 시도했던 방식들이 ‘기관지’로서의 성격과 충돌하는 양상이 확인되는 것이다. 이는 식민권력의 ‘기관지’라는 것이 함축하고 있던 모순적 성격을 보여주는 한 사례라고 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background and aspects of the 1930 ‘expansion’ of the Maeil Shinbo, the organ of the Japanese Governor-General of Korea, and to identify the contradictions of organ papers through the ‘Geunhwa(槿花)’ issue that arose after the expansion.
The Gyeongseong Ilbo Company sought to address its financial difficulties in the late 1920s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Maeil Shinbo. Also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Maeil Shinbo was an attempt to reflect public opinion in Korea in terms of the self-government policy that was being discussed at the top of the Governor-General at the time. Against this backdrop, in February 1930, the Maeil Shinbo expanded in terms of size, circulation, and personnel. The key was in the ‘personnel’ aspect, including the formation of a Korean director represented by Park Seok-yoon and the recruitment of career journalists. Through this, the newspaper acquired the symbolism of reflecting the voices of Korean society and aimed to be a ‘profitable newspaper.’However, this attempt led to the so-called ‘Geunhwa(槿花)’ issue of the February 11, 1930 issue, which questioned the background and type size of the newspaper’s title. In this incident, Maeil Shinbo was accused of promoting independent thought, and the recruitment of Park Seok-yoon and other experienced journalists, who were key to the February 1930 expansion, was also attacked. These accusations were followed up in Japan, linking the “cultural rule” of Governor Saito to the issue of expanding self-government policy. The development of the ‘Geunhwa(槿花)’ issue shows that the ways in which the organ attempted to become a profitable newspaper were in conflict with the very nature of the organ itself.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