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사회 내 보안처분<sup>1)</sup>으로서 보호관찰의 실효성 제고방안 - 보호관찰 특별준수사항을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ffectiveness of Probation as a Security Measure in Society - Focusing on Special Observance for Probation -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0
작성언어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13-255(43쪽)
제공처
소장기관
보호관찰은 보호관찰대상자를 교정시설 내에 수용하여 생활하게 하는 대신 사회 내 에서 일정기간 준수사항을 지키는 것을 조건으로 보호관찰관 의 지도·감독을 통해 재사회화 목적을 실현하는 제도이다. 보호관찰 준수사항은 보호관찰관의 지도·감독의 지침이 되고, 대상자에게는 생활의 지침이 자 행위의 기준이 된다.
현재 우리나라에 도입되어 시행되고 있는 보호관찰은 크게 기소유예와 결합된 보호관찰, 집행유예 및 선고유예 그리고 전자장치부착명령 및 성충 동약물치료명령과 결합한 보호관찰, 형 집행 종료 후 보호관찰, 가석방심사 위원회 등 행정기관을 통한 가석방과 결합된 보호관찰, 치료감호 집행 중 치료감호심의위원회를 통한 가종료와 결합된 보호관찰, 소년범 등의 보호처분의 한 종류로서 보호관찰 등이 있다.
보호관찰 집행을 위한 기본법은 「보호관찰 등에 관한 법률」이고, 보호관찰대상자가 지켜야할 준수사항도 규정되어 있다. 그럼에도 최근 도입된 전자장치부착명령이나 성충동약물치료명령의 경우에는 필요적으로 보호관찰이 병과되고 각 개별법에 준수사항을 따로 정하고 있다. 그 내용이 「보호관찰 등에 관한 법률」상의 준수사항과 차이가 없음에도 이중으로 규정되어 있어 집행상의 혼란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기본법이라 할 수 있는 「보호관찰 등에 관한 법률」에서 통합해서 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법원 또는 보호관찰심사위원회에서 준수사항을 설정할 때에는 보호관 찰관이 작성하여 보고한 판결전조사서 및 사안조사 등이 중요한 결정인자로 작용하기 때문에 보호관찰관은 적극적으로 준수사항 부과에 대한 의견을 개진해야 한다. 또한 보호관찰관의 지도·감독에 대한 대상자의 반응에 따라 준수사항이 추가되거나 변경되는 등의 절차를 통해 다종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그 내용도 응보형 준수사항과 개선형 준수사항으로 구분 하여 부과하여야 한다.
보호관찰 준수사항의 문제점으로는 전자장치부착명령 등과 병과된 강 성적 보호관찰과 집행유예 등 재범위험성이 낮은 자에게 부과하는 연성적 보호관찰을 구분하지 않고 실시하고 있고, 성인대상자와 소년대상자를 구분 함이 없이 준수사항을 일률적으로 규정하고 있었다. 또한 소년 및 성인대상 자에게 특별준수사항이 부과되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준수사항만으로는 보호관찰관의 지도·감독에 한계가 예상되고, 준수사항으로 부과하는 일부 내용이 명확하지 않아서 대상자에게 그 의미가 정확하게 전달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음을 지적할 수 있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보호관찰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입법적 측 면과 보호관찰 준수사항의 집행 면에서 개선점을 도출하였다.
Probation is a system that realizes the purpose of re-socialization through the supervision and direction of probation officers who provide correctional programs to probationer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Probation observance is a guide for supervision and direction by probation officers, and a guideline to life and standards of conduct to probationers. The probation that is currently introduced and implemented in Korea is largely probation combined with suspension of prosecution, suspended sentence, electronic monitoring order and chemical castration order, after released and with parole through administrative agencies such as the parole review committee. medical treatment and custody review board, and probation as a protection measure for juvenile offenders.
The basic law for probation is the act on probation. There are also provisions to be followed by probationers. Nevertheless, in case of the recently introduced electronic monitoring order and chemical castration order, probation is required and probation observance eachindividual law is determined. Probation observance contents are doubled even though they are not different from the observance of the individual law on probation. It is desirable to integrate them in the law on probation.
When setting up probation observance matters in the court or probation review committee, probation officers should actively express their opinions on the imposition of compliance matters, since the preliminary investigations prepared and reported by the probation officer act as important determinants. In addition, since the probation observance items can be added or changed according to the response of the probationer to the guidance and supervision of the probation officer, the contents can be divided into retributive and improved compliance items.
Currently the problem of probation observance is not distinguished between soft probation and strong probation, and not divided into juvenile offender and adult offender. In case of not imposed special rule to juvenile offender and adult offender, there are certainly limits to probation officer's supervision and direction. It can be pointed out that the probation observance are vaguely defined, making it difficult for probation officer to supervise probationer.
Through the above discussion, in order to secure the effectiveness of probation, improvement points in legislative aspects and enforcement of probation were drawn.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