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군인 복지증진 방안 : 직업안정 및 주거지원 중심
저자
발행사항
[대전]: 대전대학교, 2001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大田大學校經營行政大學院 , 社會福祉學科 社會福祉學 , 2001
발행연도
2001
작성언어
한국어
주제어
KDC
338.000
발행국(도시)
대한민국
형태사항
v, 58 p..
소장기관
本稿는 戰鬪準備態勢의 중요한 부분인 직업군인에 대한 복지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사회복지와 외국군복지와의 균형과 형평성을 유지하고 직업군인의 현대적 추세인 소득 지향적 및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켜 우수한 군 인력의 誘引과 전투력향상에 기여 하고자 연구하였다.
연구의 범위가 광범위하여 직업군인의 직업안정성 및 근무여건과, 주거생활지원, 전역 후 생활안정지원에 한정하여 중점적으로 연구하였으며, 군 생활의 "질" 향상을 통한 군 간부의 사기진작과 군 기본임무수행여건보장에 초점을 두었다. 따라서, 지금까지 軍 內·外의 보편화되고 看過하여온 직업군인의 복지에 대한 무관심을 일소하고 공감대 형성을 통해 非合理的인 제도의 개선과 군 복지 예산의 計劃과 執行의 根幹이되는 군 복지정책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論者는 직업군인의 勤務意慾 증진과 自矜心의 기초는 報酬問題 해결에 있는 것이 아니라 안정된 직업성과 기초생활여건 보장에 있다는 것을 군 생활과 복지 업무분야 근무경험을 통해 늘 느껴왔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논문의 전후관계를 고려 군 복지에 관한 제반 이론을 검토하고, 직업군인의 복무환경 분석과 현실문제점을 도출하여 개선방향을 제시함으로써 결론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 자체가 斷片的이고 地峽的인 문제라는 지적도 있을 수 있다고 본다. 그러나 본 연구의 특징은 선진국가와 사회복지의 비교를 통해 복지의 주체인 국가의 許容範圍內에서 최대한 직업군인 및 군인가족들의 복지향상 방향을 제시한 점을 들 수 있다.
따라서, 논자는 劣惡한 군 복지의 물질적 원인과 심리적 원인을 분석하고 정리하여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노력하였으며 한국군의 變貌된 복지를 위해 제시된 핵심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군인의 직업성은 보장되어야하며, 직업군인 停年制度의 개선을 통해 군인 생애주기를 고려하여 適定水準 연장되어야한다.
둘째, 군 생활의 기초복지인 住居問題는 최단 기간 내 해결되어야한다.
셋째, 직업군인의 服務意慾 및 군 기본임무수행의 핵심요소인 전역 후 사회적응을 위한 생활안정지원은 보장되어야한다.
상기 제시한 바와 같이 論者가 맺은 결론은 기술집약형 군 구조에서 이러한 욕구가 충족될 때 戰鬪準備態勢 극대화가 가능하며 전투원의 자긍심과 긍지는 전장에서의 전승의 要諦이고 급변하는 국제 안보환경 적응과 미래군의 기반을 다지는 礎石이 될 것이라 확신한다.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