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요한네스 크리소스토무스와 예루살렘의 키릴로스의 성례 신비설교 —세례의 구조와 성례에 관한 신학적 의미를 중심으로 = Mystagogies of John Chrysostom and Cyril of Jerusalem —Focusing on Their Structures of the Baptismal Rites and Theological Meaning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71-106(36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많은 한국의 현대 교회들이 초기 기독교 예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 결과로 포기 기독교회들이 거행했던 예전적 전통을 오늘날 수용하는 기독교회들이 많아지고 있다. 특히 3세기와 4세기에 확립된 세례와 성만찬 예전의 모델을 기반으로 한국의 여러 기독교 교단들도 그들의 세례와 성만찬 예전을 갱신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초기 기독교가 신자들에게 성례전을 어떻게 교육시키고 세례 후보자들을 훈련을 시켰는지에 대한 관심 역시 커지고 있다. 특히, 초기 기독교에서는 성례와 그 의미들을 설교에 담아 세례가 끝난 주간에 새롭게 세례를 받은 자들과 신자들에게 가르쳤는데 이를 미스타고지, 성례 신비설교라고 한다. 필자는 이 논문에서 4‐5세기의 동방기독교 전통의 성례 신비 설교가로 불리던 두 신학자들(요한네스 크리소스토무스, 예루살렘의 키릴로스)의 성례 신비설교들을 연구하려한다. 또한 그들의 설교를 통해 크리소스토무스와 키릴로스가 새로 세례를 받은 자들에게 신비(mystyerion)라 일컫는 성례전을 어떻게 가르쳤는지를 연구하려고 한다. 이 연구를 통해 필자는 다음과 같은 결론에 이르렀다: 크리소스토무스는 성례가 기독교인의 삶을 윤리적이고 종말론적인 삶으로 지향하게 한다고 이해한 반면 키릴로스는 그리스도를 모방하는 성례는 기독교인들을 그리스도를 닮음이라는 차원의 존재론적인 변화를 하게 한다고 확신했다. 이 결론에 이르기 위해 필자는 먼저 이 주제에 관한 선행연구물들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요한네스 크리소스토무스와 예루살렘의 키릴로스의 성례 신비설교에 나타난 각각의 세례예전의 순서와 의미들 그리고 각 설교에 나타난 세례에 대한 신학적 이해의 특징들과 그들이 방법론들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 두 교부들의 세례 신비설교들의 연구들을 종합하여 결론을 내리고 이를 오늘날의 목회현장에 적용할 점에 대해 논하였다.
더보기Some Christian churches in Korea have been interested in the early Christian liturgy. As a result of their interests, the number of Christian churches, which have begun to follow the liturgies of the early Christian church have been increasing. Even, some of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denominations have renewed their Sacraments based on the rites of Christian initiation and Eucharist shaped in the third to fourth century. For this reason, these churches also have been interested in how the early church had educated the Sacraments, and had trained their baptismal candidates during the preparation period for baptism. The Christian churches in the fourth to fifth century, especially, taught the newly baptized and their congregations the holy Sacraments and their meanings within the form of preaching known as mystagogy, which means preaching about holy sacramental mystery. In this research, I probe the mystagogies of two key figures in the fourth and fifth century, John Chrysostom and Cyril of Jerusalem, who were called mystagogues, the preachers of the sacramental mystery. I also deal with how Chrysostom and Cyril taught the Sacraments, which is called ‘mysterion,’ to the newly baptized through their mystagogies. Through this research, I have arrived at a conviction as following: Chrysostom understood that the Sacraments enable the Christian lives to aim at the moral and eschatological dimension while Cyril assured that the Sacraments as imitation of Christ make the Christians transform ontologically into the dimension of likeness of Christ. To reach this conclusion, I probed the precedent researches regarding this topic by both domestic and foreign scholars, first. Then, I researched each of two scholars‘ mystagogy focused on the order of the rite of Christian initiation, theological meanings and interpretations, and methodologies they used to explain the sacramental mystery. Finally, I suggest my conclusion of this research, analyzing two mystagogies, and discuss to apply this conclusion to the ministry field of the Korean Christian church, today.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0 | 평가예정 |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1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기타) | |
2015-05-07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신학과선교 -> 신학과 선교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 | KCI후보 |
2009-06-0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목회선교연구소 -> 기독교신학연구소영문명 : Seoul Theological University -> Christian Theology Institute Center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