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광균 시 연구― 이미지의 조형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Kim, Gwang-Gyun’s Poetry - Focusing on Formation of Images
저자
박민영 (성신여자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53-179(27쪽)
KCI 피인용횟수
3
DOI식별코드
제공처
김광균이 「서정시의 문제」에서 말한 ‘형태의 사상성’은 자신의 시론을 함축하는 핵심어로서 이미지의 조형성과 연관 지어 이해할 수 있다. 필자는 이 논문에서 이미지의 조형성을 통해 표현된 정신의 풍경과 도시적 삶의 모습을 비유의 구성 양식, 감각의 재현, 대상과의 거리라는 시작(詩作)기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비유의 구성 양식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비유는 김광균 시에 나타난 이미지의 대표적인 조형 양식이다. 시 「秋日抒情」에서와 같이, 시인은 원관념인 자연을 보조관념인 도시생활과 관련된 사물과 연결함으로써 한층 자신의 정서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다. 3장에서는 감각의 재현 양상을 알아보았다. 김광균 시에서 감각의 재현은 주로 정서의 시각화로 나타난다. 김광균은 시 「해바라기 感傷」에서와 같이 사물 고유의 색채를 변화시킴으로써 자신의 내면세계를 드러낸다. 이때 나타나는 흰빛과 푸른빛은 본래의 색이 탈색되거나 변색된 것으로, 시인의 상처 입은 마음을 대변한다. 촉각 이미지는 시각이나 청각 이미지와 융합되어 공감각적으로 재현된다. 시 「瓦斯燈」에서의 “차단-한 불빛”이 그것이다. 4장에서는 시적 대상과 거리를 시 「눈오는 밤의 詩」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 시에서 시적 화자의 시선은 근경에서 중경으로, 다시 원경으로 확산되고 있으나, 원거리 풍경에 화자의 마음이 투사되면서 그것은 다시 내면의 풍경으로 전환된다. 김광균은 자신의 정서를 대상에 투사시킴으로써 주체와 대상과의 거리를 소멸시키고 있다. 이렇게 김광균은 자신의 정서와 감성을 전달하는 도구로서 이미지를 사용하고 있다. 그는 비유를 사용하고, 공감각적 표현을 통해 감각을 재현하고, 주체와 대상과의 거리를 소멸시킴으로써 이미지 속에 자신의 애상적인 정서와 상실감을 보다 효과적으로 담아내었다. 이러한 특성으로 김광균 시는 관념과 정서의 대립 개념으로 발생한 서구 모더니즘 시와 구별된다. 그러나 김광균이 모더니즘 시인으로서 가진 한계는 1930년대 한국모더니즘의 한계이기도 하다. 김광균은 서구적인 의미에서 정통 모더니즘 시인은 될 수 없었지만, 이미지를 조형하는 작업으로써 소박하게나마 자신의 시론인 ‘형태의 사상성’을 실천하고자 했다. 감상과 애상의 정서를 이미지의 조형을 통해 표현하고자 한 점은 이른바 ‘한국적 모더니즘 시인’으로서 그만이 가진 시적 개성으로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Thoughts of Forms’ Kim, Gwang-Gyun mentioned in his “Considerations on Lyrical Poems” can be understood in association with formation of images as the keyword that implies the Kim, Gwang-Gyun’s poetics. This study examines mental landscape and urban life expressed through formation of images in terms of three composition techniques of organizational patterns of metaphors,reproduction of senses, and distance from objects. Chapter 2 addresses the organizational patterns of metaphors. Metaphors are representative forms of the images in Kim, Gwang-Gyun’s poems. As in “Lyrical ballad on an Autumn Day,” the poet successfully delivers his sentiments by connecting the tenor of nature with the vehicle of objects related to urban life. Chapter 3 examines the reproduction of senses. It is mainly expressed through visualization in Kim, Gwang-gyun’s poems. For example, in his poem “Reflections on Sunflower,” the poet reveals his inner world by changing idiosyncratic colors of things. The white and blue in the poem are actually decolorized or discolorized colors, which symbolizes the poet’s wounded heart. Tactile images are represented synaesthetically in combination with visual or auditory images. The “cold lights” in “Street Lamp” is the example. Chapter 4 deals with the distance from poetic objects, especially in the poem, “A Poem on a Snowy Night.” The persona’s sight expands from close-range landscape to a little distant landscape to very distant landscape. The persona’s thought is projected to very distant view and returns to the internal landscape. In this poem, Kim, Gwant-Gyun eliminates the distance between the subject and object by projecting the persona’s mind to the distant landscape. Likewise, Kim, Gwang-Gyun utilizes images as a tool to deliver his sentiments and sensibility. He effectively expresses his sorrow and sense of loss in images by using metaphors, representing senses through synaesthetic expressions and eliminating the distance between subject and object. These characteristics distinguish Kim, Gwang-Gyun’s poems from Western modernist poems that emerged from the conflicts from ideas and sentiments. However, Kim, Gwang-Hyun’s limits as modernist poet can be accounted for as those of Korean modernism in the 1930s. Though Kim, Gwang-Gyun failed to be an authentic modernist poet from the standards of Western modernism, he tried to develop his simple poetics, ‘thoughts of forms,’ in his work of forming images. His trial to express sentiments of sensibility and sentiment of sorrow through formation of images should be given a credit for his unique poetic characteristics as a Korean modernist poet.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기타)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7-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1차)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 | 0.8 | 0.7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4 | 0.6 | 1.448 | 0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