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학문목적 학습자의 상호문화 의사소통 능력 함양을 위한 상호문화 감수성 연구 = A Study on Intercultural Sensitivity for the Development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 of Learners with an Academic Purpos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87-219(33쪽)
KCI 피인용횟수
4
DOI식별코드
제공처
The purpose of the study aimed to examine the intercultural sensitivity of Chinese language learners with an academic purpose attending Korean universities and to extract the educational components that needs in training programs for developing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ICC). As the intercultural sensitivity measurement tool, the Intercultural Sensitivity Scale(ISS) developed by Chen & Startosta(2000) was used after being modified for the Korean context. For the statistical processing, SPSS Win Ver. 24 program was used. T-test and one-way ANOVA were partially used, and the reliability was verified using the Cronback-α through a posteriori test. The overall average of the intercultural sensitivity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was 3.64, which was satisfactory on the 5 point Likert scale. In the lower five categories, the average score of respect for cultural differences was the highest(M=4.08), and the intercultural confidence was the lowest(M=3.20).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tercultural sensitivity measurement, six factors related to behavioral domain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 that predicts conflict and misunderstanding and respond to them sensitively and flexibly were deducted. These factors are designed for stimulus factors that can be included in the training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 development. The six factors were designated as stimulus variables, and the adequacy was tested using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six factors deducted through the test results were revealed to be stimulus factors with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having the ability to statistically explain the correlation of intercultural sensitivity and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 A follow-up study proved that the six factors extracted in the present study must be included in designing training programs for intercultural sensitivity and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 A further study is needed to expand the design of intercultural sensitivity development training for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thus they can develop Korean language communication skills appropriately and effectively for intercultural communication. Furthermore, in order to develop intercultural sensitivity, further studies on realistic education methodology from intercultural education perspective based o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 must be continued.
더보기본 연구의 목적은 학문목적 학습자의 상호문화능력 함양을 위해 국내 대학에 재학 중인 중국어권 학문목적 학습자의 상호문화 감수성을 측정하고 이를 토대로 상호문화교육에서의 상호문화능력 함양 훈련 프로그램에 포함되어야 할 교육적 구성요소를 추출하는 것이다. 상호문화 감수성 측정 도구는 Chen&Startosta(2000)가 고안된 상호문화 감수성측정도구(Intercultural Sensitivity Scale, ISS)를 한국의 문화적 맥락에 적합하도록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Win Ver.24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T검증(t-test)과 일원 분산 분석(on–way ANOVA)을 부분적으로 사용하였으며, 도구의 신뢰도(reliability) 검증은 Cronbach-α 사후검증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대상자의 상호문화 감수성 전체 평균은 3.64로 5점 리쿼트(Likert) 척도를 사용하였을 때 비교적 양호한 편으로 나타났다. 하위 5개 영역 중 문화차이 존중도의 평균점수(M=4.08)가 가장 높았으며 상호작용 자신도(M=3.20)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상호문화 감수성 측정 결과를 토대로 상호문화능력 배양 훈련에 포함될 촉진 요소 고안을 위해 의사소통 상황에서 갈등과 오해의 상황을 미리 예측하고 이에 민감하고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상호문화능력의 행동적 영역과 관련된 요소 6개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6개의 요소를 상호문화능력 촉진 변인으로 설정하여 요인분석(factor analysis)과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통하여 도구의 적합성을 판단해 보았다. 검사결과 추출한 6개의 요소는 상호문화 감수성과 정적 상관관계, 즉 유효한 설명력(explanatory power)을 갖춘 촉진 요소로 밝혀졌다. 향후 상호문화 감수성과 상호문화능력 배양 프로그램 고안에 있어서 본고에서 추출한 6개 요인이 포함되어야 함을 밝힌다. 후속 연구를 통해 향후 상호문화 감수성 배양 훈련이 고안되어 한국어 학습자가 상호문화 의사소통의 상황에서 적합성(Appropriateness)과 효과성(Effectiveness)을 갖춘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하기를 기대해 본다. 또한 상호문화 감수성 배양을 위해 상호 문화적 능력을 토대로 한 상호문화교육(Intercultural education)의 관점에서 실제적인 교육 방법론에 대한 후속 연구도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1 | 1.01 | 1.0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5 | 1 | 1.563 | 0.13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